• 제목/요약/키워드: 12-weeks Resistance Exercise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6초

복합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인슐린저항성 지표와 C-반응단백, 아디포넥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12 Weeks Combind Exercise on C-reactive protein, Adiponectin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e Middle School Girls)

  • 전재영;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419-1425
    • /
    • 2007
  • 비만 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 12주간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체중감소와 체지방의 감소에 따른 CRP와 아디포넥틴 농도의 개선을 기대하였지만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1. 12주간의 중강도 운동 프로그램은 혈장 CRP와 혈장 아디포넥틴의 유용한 개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운동에 의한 인슐린저항성은 이러한 특별한 혈장 염증 지표들의 농도 변화에 의해 설명되어지지 않는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처방된 운동프로그램은 신체조성과 인슐린저항성의 변화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이러한 인자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CRP와 아디포넥틴 농도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16주 이상의 운동기간과 운동강도에 따른 복합운동 프로그램의 실시가 CRP와 아디포넥틴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CRP의 발현에 관련인자인 $TNF-{\alpha}$, IL-6 등과 같은 인자들의 변화에 미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12주 규칙적인 유산소 트레이닝이 제 2형 당뇨(T2DM) 환자의 간 효소(Hepatic enzyme)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2 Weeks Regular Aerobic Training on Hepatic Enzym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patients.)

  • 김영일;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04-80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12주 유산소 트레이닝 전에 비해 트레이닝 후, 간 기능을 나타내는 효소들이 모두 감소함을 나타냈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못했으며 이는 트레이닝이 간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선행연구[5,15]들에서와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부분적으로 전체 대상자 13명 중 3명(23%)의 간 효소들 즉, 임상적 비정상을 나타낸 알부민(albumin), 토탈빌리루빈(total bilirubine), AST가 트레이닝 후, 정상적인 임상수치로 돌아와 규칙적인 12주 유산소 트레이닝이 제 2형 당뇨(T2DM) 환자의 간 효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못했지만 임상적 판단 수치에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모든 비정상적인 간 기능 효소가 정상으로 회기한 것도 아니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도 나지못했기 때문에 제 2형 당뇨환자(T2DM)의 간 기능 효소를 증진시키는 데 있어 운동 트레이닝의 효과는 성급히 판단하기 어려우며 운동 강도와 기간 등 좀 더 세분화고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만성 허리통증 환자에게 슬링과 기구저항운동이 통증과 능동 뻗은발올림 동안 근활성도, 골반 회전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ling and Resistance Exercises on Muscle Activity and Pelvic Rotation Angle During Active Straight Leg Raises and Pai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 김대현;김태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13-121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 more effective intervention in sling and resistance exercise for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METHODS: Seventy (70)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sling group (SG) and resistance exercise group (REG). Muscular activity of the internal oblique (IO), external oblique (EO), rectus abdominis (RA), and pelvic rotation angle during active straight leg raise (ASLR), a pressure pain threshold (PPT) and a visual analog scale (VAS) were measured. Sling and resistance exercises were conducted for 12 weeks. Intermediate measurements were taken after 8 weeks and final measurements were taken after 12 weeks. RESUL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RA muscle activity and significantly increased IO muscle activity (p<.05). Additionally, EO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REG, bu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G (p<.05), while the pelvic rotation angle and VA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G (p<.05). The pressure pain threshol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p<.05).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12-week intervention seems to be effective at improving back pain in both groups. However, a lower VAS was seen in the sling group after 8 weeks of interven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sling be applied first when establishing a chronic back pain treatment program to shorten the treatment period and reduce the pain period.

12주저항트레이닝 운동시 천연단백질과 분리유청단백질 섭취의 차이가 근육량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Between Natural Protein and Whey Protein Intake During the 12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Exercise on Changes in Solt Lean Mass and Body Composltion)

  • 박원덕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220-123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20s university student bodybuilders' protein intake differences with resistant exercise(weight training) by 12 weeks on solt lean mass and body composltion. Natural protein(Chicken breast meat) intake group and Whey protein isolates(WPI) intake group are the experimental groups. Conventional meal intake group is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proposes a efficient protein diet for weight trai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experimental group(natural protein intake), muscle mass and lean body ma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body fat percenta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WPI intake), muscle mass and lean body ma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body fat percenta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conventional meal intake), muscle mass and lean body mass was insignificantly increased, but body fat percentage was insignificantly decreased. In addition,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intake groups, and also not a differentiated effect between natural protein and WPI intake. In conclusion, natural protein and WPI made muscle mass and lean body mass rise, body fat percentage reduced effectively. Only WPI intake(without natural protein intake) was the efficient mean to increase muscle mass and lean body mass, and to decrease body fat percentage.

탄력저항을 이용한 하지근력 강화 운동이 여성노인의 정적 및 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Elastic Resistance on Balance on Elderly Women)

  • 이한주;한상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9-6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elastic resistance on balance on elderly women. Methods: Twenty four women who were over 65 years old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the exercise programme (n=12) or to the control group (n=12) that continued normal activities except programme. Exercises included the following 7 different activities; chair squat, knee flection, extension, hip flection, extension, calf muscle raise, ankle dorsiflection. All the participants were subject to 3 tests, including One-Leg Standing Test, Functional Reaching Test, and Up & Go Test. The measurements were made before the excercise, 4 and 8 weeks after the exercis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two way repeated ANOVA.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compared with change of balance capacity between group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up and go test (p<.05), but not in balance performance clinical test of OLST (p>.05) and FRT (p>.05). Conclusion: Th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elastic resistance for the elderly women had some positive effects on the balance. Therefore this intervention can be broadly applied to other elders for preventing falls.

  • PDF

저항성 운동이 골격근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Beadarray 분석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on Skeletal Muscle Gene Expression in Rats: a Beadarray Analysis)

  • 오승렬;오상덕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6-12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저항성 운동 후 골격근에서 저항성 관련 유전자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총 32두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분양 받은 후 4주차 통제군(4 wks CON, n=8), 8주차 통제군(8 wks CON, n=8), 4주차 운동군(4 wks REG, n=8), 8주차 운동군(8 wks REG, n=8)으로 집단을 분류하였다. 저항성 운동군은 꼬리에 무게를 달고 동물용 사다리(1-m vertical, 85 degree incline)를 오르는 저항성 사다리 운동을 1회 10번, 주당 3일, 4주와 8주간 점증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골격근 조직은 저항성 운동 후 장무지굴근(flexor hallucis longus; FHL)을 적출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적출한 골격근에서 total RNA를 분류한 후, 대규모 유전자 발현분석을 위하여 Illumina RatRef-12 Expression BeadChip을 이용한 Beadarray를 시행하였으며, Beadarray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qPCR (real-time quantitative PCR)를 실시하였다. 유의성 검증은 Beadstudio software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Beadarray 데이터 중 Detection p-value to <0.01, M-value {M= $log_2$ (condition)-$log_2$ (reference)} to >1.0, DiffScore to >20인 유전자만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유전자로 선택하였다. 4주차 저항성 운동 후 통제집단에 비해 2배 이상 유의하게 발현이 증가한 유전자는 30개였으며, 6개의 유전자가 감소하였다. 8주차 저항성 운동 후에는 5개의 유전자가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12개의 유전자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연구결과 다음의 유전자를 포함한 저항성 운동과 근비대와 관련 후보 유전자를 도출하였다; 1) 세포 성장 조절(IGFBP1, PLA2G2A, OKL38); 2) 근육발생(CSRP3); 3) 조직 재생과 근육 발달(MUSTN1, MYBPH); and 4) 비대 모델(CYR61, ATF3, NR4A3); and 5) 당대사(G6PC, PCK1). 이러한 연구결과는 차후 저항성 운동과 관련된 다양한 생리학적 변인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비만 여대생들의 12주간 복합운동 순서 차이가 복부지방구성 및 혈중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rder for 12 Weeks of Obese College Females on the Composition of Abdominal Fat and Blood Lipid Profiles)

  • 신혜선;서수연;이종민;김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35-243
    • /
    • 2014
  • 비만 여대생을 대상으로 유산소(걷기운동) 운동, 무산소(저항운동) 운동의 순서를 다르게 적용하여 복부지방 구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비만 감소와 예방을 목적으로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운동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하였다.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 12명, 유산소운동 후 저항운동 집단 12명으로 분류하여 측정변인으로 복부지방검사는 내장지방면적, 피하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피하지방면적 비, 혈중지질 분석은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방단백질, 저밀도지방단백질을 분석하였다. 첫째, 복부 피하지방에서는 상호작용이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분석 결과,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이 복부 피하지방의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혈중 지질은 중성지방 요인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분석 결과,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이 중성지방 감소에 효과가 나타났다. 여대생의 비만 감소와 예방을 목적으로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운동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 저항운동 후 유산소 운동이 복부 피하지방 및 중성지방에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Consumption of a high-fat-high-sucrose diet partly diminishes mechanical and structural adaptations of cardiac muscle following resistance training

  • Boldt, Kevin;Mattiello, Stela;Joumaa, Venus;Turnbull, Jeannine;Fedak, Paul W.M.;Herzog, Walter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14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high-fat high-sucrose (HFHS) diet on previously reported adaptations of cardiac morphological and contractile properties to resistance training. [Methods] Twelve-week-old rats participated in 12-week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and consumed an HFHS diet. Echocardiography and skinned cardiac muscle fiber bundle testing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structural and mechanical adaptations. [Results] Compared to chow-fed sedentary animals, both HFHS- and chow-fed resistance-trained animals had thicker left ventricular walls. Isolated trabecular fiber bundles from chow-fed resistance-trained animals had greater force output, shortening velocities, and calcium sensitivities than those of chow-fed sedentary controls. However, trabeculae from the HFHS resistance-trained animals had greater force output but no change in unloaded shortening velocity or calcium sensitivity than those of the chow-fed sedentary group animals. [Conclusion]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led to positive structural and mechanical adaptations of the heart, which were partly offset by the HFHS diet.

걷기와 저항운동이 30~40대 비만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alking and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Lipid Profile of Obese Women in their 30~40s)

  • 송민선;유용권;김남초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12-419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walking and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lipid profile in obese women. Methods: Fourty three women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n=21) or control group (n=22). The walking and resistance exercise using elastic band was provided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Weight, h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percentage, abdominal fatness, skeletal muscle mass, body fatness,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Paired and independent t-tests were performed using SAS program. Results: Weight (t=-5.35, p<.001), body mass index (t=-4.12, p<.001), body fat percentage (t=-2.33, p =.026), and body fatness (t=-4.32, p<.0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skeletal muscle mass (t=2.09, p =.044)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walking and resistance exercise. Also, total cholesterol (t=-3.03, p =.006) and LDL cholesterol (t=-2.70, p =.01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HDL cholesterol (t=2.05, p =.046)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xercise program. Conclus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exercise led a positive outcome on obese women in their 30~40s. The walking and resistance exercise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ing body composition and lipid profile in this population.

유산소성 저항트레이닝 써킷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건강체력, 혈중지질 및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Resistance Training Circuit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Blood Lipids and Cortisol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 정민진;김도연;김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50-559
    • /
    • 2017
  • 본 연구는 12주간의 유산소성 저항트레이닝 써킷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건강체력, 혈중지질 및 코티졸(cortisol)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운동집단(10명)과 통제집단(10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유산소성 저항트레이닝 써킷 프로그램은 12주간 주 3회 회당 70분을 실시하였다. 유산소운동은 5가지 종목을 HRmax의 50-70% 강도로 종목당 1분씩 5세트로 구성하여 25분 동안 실시하였으며, 저항운동은 대상자 개인의 체중을 이용하여 8가지 종목을 주관적 운동자각도에 따라 횟수 및 세트 수를 증가시켜 25분 동안 실시하였다. 운동프로그램 실시 전과 12주 후 변인들을 측정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운동집단에서 체중 및 BMI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심폐지구력, 근력 및 유연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운동 실시 후 집단 간 심폐지구력 및 근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운동집단의 TC, TG 및 LDL-C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C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집단에서 운동 실시 후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코티졸은 운동 실시 후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폐경 후 비만여성에게 유산소성 저항트레이닝 써킷의 적용은 건강체력, 혈중지질 및 코티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며, 다양한 연령층의 비만개선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