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0m Walking Time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4초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ckward Walking wit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n Gait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 현동수;최종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237-6245
    • /
    • 2013
  • 본 연구는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21명의 뇌졸중 환자를 무작위로 세 집단으로 나누었고, 실험군I은 전방 보행 훈련 군, 실험군II은 후방 보행 훈련군, 실험군III은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 군으로 집단마다 7명씩 실험하였다. 실험은 3주간 주 5회 30분씩 실시하였으며 실험 전과 3주간의 실험 후에 각 실험군의 10m 보행 검사,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기능적 팔 뻗기 검사를 하였고, biodex gait trainer 2를 사용하여 활보장과 보장비대칭 비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각 군내의 실험 전 후 비교에서 보행속도, 보행대칭성, 균형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변화량을 비교했을 때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보행속도, 보행대칭성과 균형에서는 실험군III, 실험군II, 실험군I 순으로 효과적이였고, 활보장에서는 실험군II와 실험군III이 실험군I보다 효과적이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 운동을 실시할 때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이 보행속도, 보행대칭성과 균형의 향상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스위스볼을 이용한 코어 저항 운동이 농업 여성노인의 근감소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re exercise with swiss ball on sarcopenia index in agriculture older women)

  • 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349-1357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코어 저항 운동이 농업 여성노인들의 근감소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피검자는 65세 이상의 천안시 거주 농업 여성노인 15명과 통제군 여성 15명으로 하였다. 코어 운동군은 주 2회 60분간 코어 강화 운동을 실시하였고, 종속변인인 근감소증 지표로는 악력, 의자 앉았다 일어서기, 근육의 면적과 단기운동수행력으로 4m 보행, 2.44m 걷기 및 400m 걷기를 실시하였다. 코어 저항 운동 결과 의자 앉았다 일어서기의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나 근단면적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단기운동수행 능력 중 4m 보행속도에서 유의한 상호 작용과 2.44m 왕복걷기와 400m 걷기에서는 유의한 개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코어 저항 운동은 근육의 활성화로 인해 하체근육 및 단기 운동수행능력을 개선을 가져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보행 시 생체신호분석을 통한 신발 착용 유무에 따른 마찰 특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riction with/without shoes by Analyzing Bio-signals during walking)

  • 오성근;김진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59-66
    • /
    • 2018
  • 보행 시 지면에 대한 수직력에 대한 전단력의 비율, 즉 보행자가 사용한 마찰계수(UCOF)는 미끄러짐 발생 가능성 있는 시점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신발보행은 신발창 두께와 경도, 뒤꿈치 모양, 밑창 문양 등의 신발 디자인이 사용마찰계수를 변화시킬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 시 신발 착용 유무에 따른 사용마찰계수(UCOF)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성인남녀 21명(여자 10명, 남자 11명, 나이: $25.2{\pm}2.3yrs$, 키: $165.6{\pm}7.2cm$, 몸무게: $62.2{\pm}7.8kg$)을 대상으로 보행속도, 지면반력, 사용마찰계수(UCOF) 최대 시점, CoP-CoM-수직선 각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사용마찰계수(UCOF)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행 시 신발 착용으로 인해 체중수용기(제동기)의 더 이른 시점에 사용마찰계수가 최대치에 도달하고, 또 그 크기도 증가한다. 둘째, CoP-CoM의 Tangent 값과 사용마찰계수(UCOF1)와의 상관관계는 오른발 제동 초기시점(UCOF1_h)보다 추진 후기에 발생하는 왼발(다음발) 착지시점(UCOF2_h)에서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제동기 보다는 추진기(다음 발 제동기)와의 연관성을 시사한다.

보행속도변화와 동시 인지과제가 보행 가변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lking Speeds and Cognitive Task on Gait Variability)

  • 최진승;강동원;탁계래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9-5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트레드밀 보행 시, gait dynamics 측면에서 보행의 속도 변화와 인지과제 수행 시 보행 변인의 가변성(variability)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은 인지과제의 동시수행 유/무에 따른 5가지 속도(선호속도의 80%, 90%, 100%, 110% and 120%)에 의한 보행 실험으로 구성되었다. 인지과제의 종류는 학습기능이 없는 인지과제(2-back task)를 수행하였다. 인지과제는 피험자의 트레드밀 보행 시, 3m 앞에 놓여진 스크린에 주어지고 무선마우스를 통해 응답하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실험의 모든 과정은 3차원 동작분석기를 통해 동작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이를 통해, 5가지 보행 시간 변인과 3가지 공간 변인을 추출하였다. gait dynamics 측면의 분석을 위해, 가변성의 크기를 살펴볼 수 있는 방법인 분산계수(coefficient of variance)와 변동량의 구조적 자기 유사성을 추론할 수 있는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DFA)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보행 속도 변화에 따라 보행 변인의 평균값과 분산계수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고, 인지과제의 수행 유/무에 따라서는 DFA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는 인지과제의 수행에 의해 보행의 발생과 조절 능력에 영향을 끼쳤다고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명백히 하기 위해 더 많은 수의 피험자 실험과 추가 실험이 필요할 것이다.

뇌졸중 환자에서 Figure-of-8 walk test의 신뢰도와 타당도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igure-of-8 Walk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 김양호;임재헌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9-37
    • /
    • 201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intra-rater, inter-rater, test-retest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figure-of-8 walk test in people with stroke.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 stroke. Subjects were tested twice by the same raters, with 1 day between tests. Subjects were assessed by two physical therapists. Test-retest reliability was calculat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 The concurrent validity was demonstrated by spearman correlation of F8WT with 10m walking test (10MWT), timed up and go test (TUG), Berg balance scale (BBS), dynamic gait index (DGI) and four square step test (FSST). Results : Intra-rater, inter-rater, test- retest of F8WT time, showed high reliability. Intra-rater, inter-rater, test-retest of F8WT steps demonstrated high reliability. Intra-rater, inter-rater, test-retest of F8WT total smoothness score showed below moderate relia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F8WT time with 10MWT, TUG, FSS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of F8WT time with DGI, BB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F8WT steps with 10MWT, TUG, FSS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of F8WT steps with DGI.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F8WT test total smoothness score with BBS. Conclusion : The time, and number of steps in F8WT show high inter, intra-rater, test-retest reliability. The F8WT smoothness shows below moderate reliability. The F8WT shows high concurrent validity with other comparable balance, and walking tests. The F8WT i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for assessing walk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a stroke.

Lower Extremities' Joint Stability during the Elderly Woman's Walking

  • Ryu, Ji-Seo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5-52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iodicity of the lower extremity joint flexion/extension angle to compare the local stability between young and elderly women during walking on a treadmill. Method: Eighteen young women (mean $age=21.2{\pm}1.6y$; mean $mass=57.1{\pm}6.1kg$; mean $height=1.61{\pm}0.04m$) and 18 elderly women (mean $age=66.4{\pm}1.2y$; mean $mass=55.4{\pm}8.3kg$; mean $height=1.56{\pm}0.04m$) participated in this study. Approximate entropy (ApEn) was used to determine the periodicity in the lower limb joint angles. Results: The ApEn values of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greater in the surrogate data test than in the original time series data (p<.05). The periodicity of the hip and ankle flexion/extension angles decreased in the elderly women group compared with the young women group (p<.05). The periodicity of the lower extremity joint flexion/extension angle showed that the ankle joint increased dominatingly in both groups (p<.05); the hip joint decreased compared with the knee joint in the young women group; and the knee joint decreased compared with the hip joint in the elderly women group (p<.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wer extremity joint flexion/extension angles of the young and elderly women during walking contained random noises as well as biological signals.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the periodicity in the lower extremity joint between the young and elderly women may provide some insight in predicting potential falls and be used as a characteristic indicator for determining local stability in elderly women during walking.

The Effects of a 7000-Step Goal and Weekly Group Walking Program for Overweight and Obese Elderly People in Sarawak, Malaysia: A Quasi-experimental Study

  • Saad, Mohd Fakhree;Cheah, Whye Lian;Hazmi, Helmy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3호
    • /
    • pp.199-207
    • /
    • 2021
  • Objectives: Physical inactivity is the fourth leading global risk factor for mortality, followed by obesity. The combination of these risk factors is associated with non-communicable diseases, impaired physical function, and declining mental functi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recommends physical activity to reduce the mortality rate.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a 12-week walking program for elderly people in Samarahan, Sarawak, Malaysia with a 7000-step goal and weekly group walking activitie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involving 109 elderly people with a body mass index (BMI) ≥25.0 kg/m2. BMI, body composition, and average daily steps were measured at baseline, 6 weeks, and 12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6.0, and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ith the paired t-test for post-hoc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In total, 48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61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completed the study. A significant interaction was found between time and group. The post-hoc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within the intervention group). The post-intervention analysis revealed an increase in the mean number of daily steps by 3571.59, with decreases in body weight (-2.20 kg), BMI (-0.94 kg/m2), body fat percentage (-3.52%), visceral fat percentage (-1.29%) and waist circumference (-2.91 cm). Skeletal muscle percentage also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1.67%). Conclusions: A 12-week walking program combining a 7000-step goals with weekly group walking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previously inactive and overweight/obese elderly people.

고령자의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군집보행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lking Speed of Crowd for Safety Evacuation Design of the Elderly)

  • 홍해리;서동구;하스미 유지;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9-26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의 급격한 고령화추세와 그에 대응하기 위해 증가하고 있는 고령자시설의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일반인과 고령자의 군집형성시의 보행속도를 고령자의 위치와 비율에 차이를 두어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고령자가 전방에 배치되었을 때 평균 0.81m/s로 가장 감소하였으며, 고령자의 비율이 50%인 10명 배치되었을 때 0.85m/s로 가장 감소하였다. 국내의 경우 피난행통특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며 또한 실제적인 성능설계나 피난계획이 미홉한 실정이므로 향후 피난안전설계틀 위하여 고령자의 피난행동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를 통한 DATA 확보가 시급할것으로 판단된다.

뇌졸중 환자의 지팡이 높이에 따른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ne Height on Walking and Balance for Stroke Patients)

  • 서태화;두영택;정대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3권4호
    • /
    • pp.250-257
    • /
    • 2018
  • 본 연구는 성인 뇌졸중 환자의 보행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보행보조기의 가장 이상적인 길이를 제시함으로써 뇌졸중 환자만을 위한 전문화된 맞춤형 보행보조기 길이의 사용을 독려하기 위하여 실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 지팡이 높이에 따른 성인 뇌졸중 환자의 보행균형, 보행분석에서 보행의 속도 증가를 위해서 몸통 굴곡을 통한 무게 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하고, 하지근육의 활성도 증가를 위해서 몸통 신전을 통한 무게 중심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척추 기립근의 수축으로 뇌졸중 환자의 지팡이 높이에 따른 균형과 보행 변화의 근거를 제시한다.

ICF 구성요소 기반 이중과제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ual Task Training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on Walking Ability and Self-Efficacy in Chronic Stroke)

  • 이정아;이현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1-129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ual-task training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on walking ability and self-efficacy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22 chronic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either the single-task group (n=11) or the dual-task group (n=11). Both groups had physical training three a week for 4 weeks, and at a three-week follow-up.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10m walking test (10MWT), figure of 8 walk test (F8WT), dynamic gait index (DGI), and Self-efficacy scale.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for Windows. Between-group and within-group comparison were analyzed by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nged-rank test respectively. RESULTS: In the dual-task group, the 10MWT, time and steps of F8WT, DGI, and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p<.05). The Chang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values of 10MWT (p<.05), DGI (p<.05), and self-efficacy scale (p<.0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ual-task group and single-task group. CONCLUSION: Participants reported improved walking ability and self-efficacy, suggesting that dual-task training holds promise in the rehabilitation of walking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is study showed that ICF-based on a dual-task protocol contiributes to motor learning after chronic stro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