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0-diene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4초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로부터 방사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Hydrocarbon 류의 정량적 비교 분석 (Quantitative Comparison of Radiation-induced Hydrocarbons from Irradiated Beef, Pork and Chicken)

  • 김경수;김은아;이해정;양재승;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01-307
    • /
    • 1999
  •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를 방사선 조사시켜 생성된 hydrocarbon류의 양을 비교 분석하였다. 쇠고기와 닭고기의 지방추출은 n-pentane과 isopropanol 혼합용매 (3 : 2, v/v)를 사용하였다. 돼지고기는 가열 융해시켜 지방을 추출한 뒤 florisil로 충전한 column을 이용하여 hydrocarbon류를 분리하였으며, GC-FID 및 GC/MS 분석기기로 성분을 확인하였다. $0.1{\sim}10\;kGy$의 선량별로 조사된 각 육류에서 방사선 조사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hydrocarbon류 함량이 조사선량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선량으로 조사된 시료임에도 방사선 조사에 의해 생성된 hydrocarbon류의 함량이 각각 다르게 정량되었다. 특히 쇠고기의 linoleic acid로부터 유도된 6,9-heptadecadiene과 1,7,10-hexadecatriene은 돼지고기나 닭고기로부터 생성된 것보다 적은 함량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닭고기에서 생성된 hydrocarbon류의 함량이 적었다. 각 시료에 가장 많이 함유된 지방산인 oleic acid로부터 유도된 8-heptadecene과 1,7-hexadeca diene이 방사선 조사에 의해 생성된 주된 지방분해산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모든 시료에서 1,7-hexadecadiene의 함량이 가장 많이 동정되었다.

  • PDF

전지 대부분의 유지산화에 미치는 인자 (Factors Affecting Lipid Oxidation In Full-fat Soy Flour)

  • 김철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32-738
    • /
    • 1991
  • Corsoy 79 대두를 8-와 24-mesh 입자 크기의 전지 대부분으로 분쇄하였다. 입자크기 분석으로 8mesh 전지 대부분은 기하학적 평균 크기 와 표준편차가 24 mesh 전지 대두분 보다 켰다. 분포계수는 두 전지 대두분 모두 동일하여서 거의 완벽하게 원하는 입자 크기로 분쇄됨을 알 수 있었다. 대두의 분쇄 시작부터 그 후 24시간의 짧은 저장기간 동안 두 전지 대부분에서 유지를 추출하여 가수분해와 산화에 의한 유지의 변패를 측정하였다. 유지의 과산화물가나 conjugated diene의 증가는 없었으며, 수분함량 10.7%, 이하에서 hexanal 함량증가도 없었다. 수분함량 14.9% 이상에서 유지산패는 수분함량과 저장기간의 증가로 그 값이 증가하였다. 대두의 수분함량이 4%에서 18%로 증가함에 따라서 가수분해에 의한 산패 즉 유리지방산가는 0.06%만이 증가하였으므로 실질적으로 분쇄후 24시간 저장동안 전지대부분 변질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원료대두의 수분함량이 11%이하이면 전지 대부분으로 분쇄하고 그 후 24시간동안 저장하여도 유지나 향미의 변패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못함을 발 수 있었다.

  • PDF

사람의 Low Density Lipoprotein에 대한 녹차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toward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 박춘옥;진성현;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50-858
    • /
    • 1996
  • 본 연구는 녹차를 열수로 추출하여 LDL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연구한 결과이다. 녹차 1.25 g에 열수 500 ml를 가하여 추출한 후 다시 500 ml를 가하여 재추출하였으며 이를 증발, 건조한 결과 추출액의 건물량은 4.67 mg이었다. 녹차잎의 함량이 1.25%가 되도록 조절한 녹차에는 항산화 활성이 강한 polyphenol 화합물중 (-) epicatechin gallate 54.1%, (-) epicatechin gallate 26.2%, (-) epigallocatechin 10.7%, (-) epicatechin 이 7.0% 및 catechin이 1.8% 함유되었다. 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산화에 있어서 LDL은 $CuSO_4$ 존재하에서 macrophage와 배양시켰더니 빠르게 산화를 일으켰다. 그러나 $5\;{\mu}M\;CuSO_4$ 매개 LDL의 산화에 50 및 $100\;{\mu}g/ml$ 농도의 GTE를 넣어 배양하면 거의 완전히 산화를 억제하였다. $5\;{\mu}M\;CuSO_{4}$ 존재하에서 산화시킨 LDL의 전기영동 이동거리는 native LDL보다 높았다. 또 50 및 $100\;{\mu}g/ml$ 농도의 GTE는 J774, human monocyte derived macrophags 및 vascular endothelial cells에서 유도되는 LDL의 산화를 억제하였다. $CuSO_4$ 및 cell 유도에 의하여 산화되는 LDL은 native LDL보다 더욱 많은 양이 human macrophage에 의하여 분해되고 GTE는 macrophage에 의한 $^{125}I-LDL$의 산화를 강력히 억제하였다. 그리고 GTE는 cell 매개 LDL의 macrophage에 의한 축적 또는 분해를 억제하였다. LDL을 $5\;{\mu}M\;CuSO_4$, 존재하에서 산화시킬 때 GTE를 50 및$100\;{\mu}g/ml$ 농도로 넣어 배양하면 공액 dienes의 생성이 억제되고, 또한 Oxid LDL macrophage derived human monocytes에서도 축적이 억제되었다.

  • PDF

수유 기간의 경과에 따른 인유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산 조성, 아실 탄소수 및 종의 변화 (Changes in Total Fatty Acids, Total Number of Fatty Acid Acyl Carbon Atoms and Species of Triglycerides from Human Milk Lipids during the Course of Lactation)

  • 윤태헌;임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9-46
    • /
    • 1985
  • 수유 기간의 경과에 따른 인유의 트리글리세리드조성의 변화를 자유 섭취하는 수유부들로부터 분만 후 70일까지 채취한 인유 69시료에 대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와 TLC-FID 법 등을 사용하여 살펴 보았다. 트리글리세리드의 포화 지방산 중에서 유선의 alveolar cell에서 합성되는 지방산들(8:0, 10:0, 12:0, 14:0)은 수유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액으로부터 유래되는 포화 지방산들 중 16:0, 22:0, 24:0 등의 지방산들은 초유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18:2w6과 18:3w3은 수유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한 반면 18:1w9와 w6 및 w3계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대사 산물들은 유의하게 감소하여 갔다. 트리글리세리드의 아실 탄소수의 범위는 30-60으로서 주요 글리세리드는 아실탄소수 44-52개를 가진 것이었는데 수유 기간의 경과에 따라 탄소수 46이하일 때는 유의한 증가의 경향을 띄었고, 50 이상일 때는 감소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트리글리세리드의 종 중에서 saturates는 수유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한 증가치를 보인 반면 dienes는 감소의 양상을 띄었다.

  • PDF

Lymphocyte DNA damage and plasma antioxidant status in Korean subclinical hypertensive patients by glutathione S-transferase polymorphism

  • Han, Jeong-Hwa;Lee, Hye-Jin;Choi, Hee Jeong;Yun, Kyung Eun;Kang, Myung-H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3호
    • /
    • pp.214-222
    • /
    • 2017
  • BACKGROUND/OBJECTIVES: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forms a multigene family of phase II detoxification enzymes which are involved in the detoxification of xenobiotics by conjugating substances with glutathion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antioxidative status and the degree of DNA damage in the subclinical hypertensive patients in Korea using glutathione S-transferase polymorphisms. SUBJECTS/METHODS: We examined whether DNA damage and antioxidative status show a difference between GSTM1 or GSTT1 genotype in 227 newly diagnosed, untreated (systolic blood pressure $(BP){\geq}130mmHg$ or diastolic $BP{\geq}85mmHg$) subclinical hypertensive patients and 130 normotensive subjects (systolic BP < 120 mmHg and diastolic BP < 80 mmHg). From the blood of the subjects, the degree of the DNA damage in lymphocyte, the activities of erythrocyte superoxide dismutase, the catalase, and the glutathione peroxidase, the level of glutathione, plasma total radical-trapping antioxidant potential (TRAP), anti-oxidative vitamins, as well as plasma lipid profiles and conjugated diene (CD)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227 subjects studied, 68.3% were GSTM1 null genotype and 66.5% were GSTT1 null genotype. GSTM1 null genotype had an increased risk of hypertension (OR: 2.104, CI: 1.38-3.35), but no significant association in GSTT1 null genotype (OR 0.982, CI: 0.62-1.55). No difference in erythrocyt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or glutathione peroxidase, and plasma TRAP, CD, lipid profiles, and GSH levels were observed between GSTM1 or GSTT1 genotype. Plasma levels of ${\alpha}-tocopherol$ increased significantly in GSTT1 wild genotype (P < 0.05); however, plasma level of ${\beta}-carotene$ increased significantly in GSTT1 null genotype (P < 0.01). DNA damage assessed by the Comet assa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STM1 null genotype than wild genotype (P < 0.05). CONCLUSIONS: These results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GSTM1 null genotype and risk of hypertension as they suggest that GSTM1 null genotype leads to an increased oxidative stress compared with wild genotype.

잔디류식물에 있어 생장억제제시용효과에 관한 연구 (Growth Regulation of Ko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with Several Growth Retardants)

  • 심재성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9-52
    • /
    • 1989
  • Native Kerean lawngrass (Zeysia japonica steud.) and Manilagrass ( Zeysia matrella Merr.) are frequently used as sport turf and lawn in Kerea and ether Asian countries because of its excellent summer qualities and superior winter-hardiness compared to ether warm-season turfgras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lant growth retardants ( PGR ) en the inhibition (d the growth of the two Kerean native turfgrasses. Ke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were treated with [2 RS , 3 RS] -1- [4- chlorophenyl ] -4, 4-dimethyl -2- [1 H -1, 2, 4- tiazol -1- y] pentan -3- ol ( PP -333) at 93 and 930 gha -j ; 5-[4- chlorphenyl ]-3, 4, 5, 9, 10- peiitaaza - tetracyclo [5, 4, 1, 0 2 6 . o ~'~I -3, 9- diene ( BAS -106) at 16 and 160 gha ; [ E I-] - cyclohexyl -4, 4- dimethyl -2- [1, 2, 4- triazol -1- yl ]-1-pentene - 3- ol ( NTN -821) at 56 and 560 gha ', and 4- chloro -2- [$\alpha$- hydrozybenzy I isonicotin anilide ( CGR -811) at 92 gha in pot study . All PGR treatments were effective in reducing the plant height, with the exception of BAS -106 at 16 gha for Korean lawngrass ; however , all increased quality to some degree , with the exception of PP -333 at 93 gha . The low PGR rates significantly increased Korean lawngrass height during late jtily aitd mid-August . On the other hand , BAS -106 significantly increased Manilagrass height {rom 24 Septeml)er onwards . All PGR treatments haol higher turfgrass quality than untreatments , and also the high rates of PGIt treatments were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quality than the low rates observed on 8 October . Meanwhile , Manilagrass quality was increased to some extent than Korean lawegrass . PP - 333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reducing clipping yield and the same results were found with the application of NTN -821 at 560 gha -l for both Ko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 BAS -106 at 160 gha for Korean lawegrass , and CGR -811 at 92 gha for Manilagrass . The high PGR rates had higher turfgrass shoot weight observed on 8 October than the low rates , and there were little increases obtained with the low rates of PP -333 for Korean lawngrass and BAS - 1 06 for Manilagrass . Effeets on stolon growth varied between growth retardants , and between retardant treatments ; the high rates of PGR as well as the low rate of NTN -821 elongated stolon of Korean lawngrass and manoilagrass . However , PP -333 at 93 gha and BAS -106 at 16 gha - shortened stolons of Korean lawugrass , resulting in inhibition or little difference of stolon dry weight . NTN -821 at 560 gha and CGR -811 had no positive effect on the stolon length of Manilagrass . 101) -333 and the low rate of BAS -106 and NTN -821 decreased root weight of Korean lawng - rass All PGR rates had negative effect on the root weight of Manilagrass with the exception of BAS -106 CR -811 and the high rate of NTN -821 which made no difference in root weight between retarolant treatments and the control .

  • PDF

3-Amino-1,2,4-triazole이 Maleated HDPE/Maleated EPDM 블렌드의 미세구조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3-Amino-1,2,4-triazole on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of Maleated HDPE/Maleated EPDM Blend)

  • 김태현;장영욱;이용우;김동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1호
    • /
    • pp.24-30
    • /
    • 2014
  • 3-Amino-1,2,4-triazole(ATA)을 비상용성 블렌드인 maleated HDPE(mHDPE)/maleated EPDM (mEPDM)(50 wt%/50 wt%)에 용융혼합에 의해 2.5 phr, 5.0 phr 첨가하였으며, ATA 첨가에 따른 블렌드의 미세구조, 기계적물성 및 유변물성을 FT-IR, FE-SEM, 인장시험, DMA 및 ARES를 이용하여 각각 조사하였다. FTIR 및 DMA 분석결과 용융혼합 과정에서 ATA가 mHDPE 및 mEPDM의 말레무수물과 반응하여 초분자적 수소결합이 형성되며, 이로부터 물리적 가교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E-SEM 분석결과 mHDPE/mEPDM 블렌드는 플라스틱인 HDPE가 연속상을 이루고 고무상인 EPDM이 분산상을 이루며 ATA를 첨가함으로써 모폴로지가 더욱 미세해짐을 알 수 있었다. 인장물성시험결과 ATA에 첨가에 의해 형성된 물리적가교구조로 인해 인장강도, 모듈러스, 파단신율 값 및 탄성복원력이 증가되었으며, 용융레올로지 특성 분석결과 ATA가 첨가됨으로써 블렌드의 저장탄성율과 용융점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HDPE/EPDM/Boron Carbide/Triphenyl Phosphate 블렌드의 상용화제 첨가에 따른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 연구 (A Study on Flamm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DPE/EPDM/Boron Carbide/Triphenyl Phosphate Blends with Compatibilizer)

  • 신범식;정승태;전준표;김현빈;오승환;강필현
    • 폴리머
    • /
    • 제36권5호
    • /
    • pp.549-554
    • /
    • 2012
  • 난연제 triphenyl phosphate는 HDPE(high-density polyethylene)/EPDM(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boron carbide 내에서 miscibility가 좋지 못하여 고분자의 기계적 물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HDPE/EPDM/boron carbide/triphenyl phosphate 블렌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용화제로 PE-g-MAH(polyethylene-graft-maleic anhydride)를 사용하여 블렌딩하였다. Triphenyl phosphate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를 크게 저하시킴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상용화제 첨가로 인하여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riphenyl phosphate의 분산성의 향상은 SEM 분석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HDPE/EPDM/boron carbide/triphenyl phosphate의 내열성과 난연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TGA 분석과 LOI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산성이 향상됨에 따라서 triphenyl phosphate 첨가제의 기본적인 특성인 내열성과 난연성이 향상되었으며, 그 결과로 자기 소화성인 21% 이상의 한계산소지수(LOI)를 가지는 HDPE/EPDM/boron carbide/triphenyl phosphate 블렌드를 얻을 수 있었다.

Human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hACAT) Inhibitory Activities of Triterpenoids from Roots of Glycine max (L.) Merr

  • Lee, Jin-Hwan;Ryu, Young-Bae;Lee, Byong-Won;Kim, Jin-Hyo;Lee, Woo-Song;Park, Yong-Dae;Jeong, Tae-Sook;Park, Ki-H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3호
    • /
    • pp.615-619
    • /
    • 2008
  • Eight triterpenoids, six lanostanes 1-6, one lupenane 7, and one oleanane 8, were isolated by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ethylacetate extract from roots of Glycine max (L.) Merr. All isolated compounds were examin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human ACAT-1 (hACAT-1) and human ACAT-2 (hACAT-2). Among them, three triterpenoids showed potent hACAT inhibitory activities, (24R)-ethylcholest-5-ene-3,7-diol (1) and 3b -hydroxylup-20(29)-en-28-oic acid (7) exhibited more pote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hACAT-1 (1: IC50 = 25.0 1.2 and 7: IC50 = 11.5 0.4 m M) than hACAT-2 (1: IC50 = 102.0 5.4 and 7: IC50 = 33.9 3.7 m M), respectively. Interestingly, 5a ,8a -epidioxy-24(R)-methylcholesta-6,22-diene-3b -ol (4) has proven to be a specific inhibitor against hACAT-1 (IC50 = 38.7 0.8 m M) compared to hACAT-2 (IC50 >200). In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that triterpenoids of G. max have potent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hACAT-1 and hACAT-2.

분무건조법을 이용한 참취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미세캡슐화 (Microencapsulation of Aster scaber and Aster glehni by Spyay Drying)

  • 강윤창;최경구;김공환;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2-220
    • /
    • 2002
  • 미세캡슐화 기술을 이용하여 산채류 추출물의 저장성의 향상과 식품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산채류에 적절한 캡슐물질은 gum arabic에 dextrin과soluble starch를 각각 3 : 1 비율의 혼합물로 나타났으며, 분무건조기의 최적 공정조건은 투입 공기온도가 21$0^{\circ}C$, 시료공급속도 10 $m\ell$/min이었을 때 가장 높은 건조 효율성을 보였다. 미세캡슐화는 추출물의 색도 변화를 2~6배 감소시켰다. 대조구(대두 경화유)에 첨가한 참취와 미역취 추출물은각각 16, 48%의 산화 억제율을 나타냈고, 캡슐 분말은 각각46~58%, 72~88%의 산화 억제율을 나타냈다. 이것은 산채류 추출물이 유지의 유리 지방산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유지의 자동산화를 방지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산채류 추출물을 미세캡슐화하면, 산소 및 온도 등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아 저장성이 향상된다. 또한 gum과 같은 점질물을 많이 함유하여 점도가 높아 식품에 적용하기 힘든 단점을 분무 건조하여 분말화 함으로서 산채류를 이용한 음료 및 식용유지산업에서의 천연 항산화제 등 여러 가지 식품분야에 효과적인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