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0 Years Longitudinal Study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32초

Relation of Alcohol/Tobacco use with Metastasis, Hormonal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 Status and c-erbB2 Protein in Mammary Ductal Carcinoma

  • Leon-Hernandez, Saul Renan;Padilla, Eleazar Lara;Algara, Alfredo Cortes;Rodriguez, Noemi Cardenas;Sanchez, Esau Floriano;Cruz, Jaime Lopez;Barradas, Cesar Miguel Mejia;Bandala, Cindy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709-5714
    • /
    • 2014
  • Background: An association between alcohol/tobacco use and risk of metastasis in breast cancer has been clearly shown. Materials and Methods: The present study explored, in 48 samples of tissue from mammary ductal carcinoma (taken from Mexican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58.2{\pm}10.9$ years), the association of risk of metastasis with the status of hormonal receptors and the c-erbB2 protein (by immunohistochemistry) as well as clinical, histopathological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Results: Of 48 patients, 41.6% (20/48) presented with metastasis, 43.8% were positive for the estrogen receptor (RE+), 31.3% for the progesterone receptor (RP+) and 47.7% for c-erbB2 (c-erbB2+). The following combinations were found: RE+/RP+/c-erbB2+ 8.3%, RE+/RP+ 22.9%, RE+/RP- 20.8%, RE-/RP+ 8.3%, RE-/RP-/c-erbB2- 22.9% and RE-/RP- 47.8%. There were 12 patients who used alcohol/tobacco, of which 91.6% did not present metastasis and 81.9% were RE-/RP-. Compared to the RE-/RP-/c-erbB2+, the RE+/RP+/c-erbB2+ group had a 15-fold greater risk for metastasis (95%CI, 0.9-228.8, p=0.05). The carriers of the double negative hormonal receptors had a 4.7 fold greater probability of being (or having been) smokers or drinkers (95%CI, 1.0-20.4, p = 0.03). Conclusions: There was a clear protective effect of using alcohol and/or tobacco, in the cases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of mammary ductal carcinoma, associated with double negative hormonal receptors. However, this association could be due to a protective factor not measured (Neyman bias) or to a bias inherent in the rate of hospitalization (Berkson fallacy). This question should be explored in a broad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여성 과학기술 인력의 미국 박사학위 취득과정 및 진로이행 실태분석 (An Analysis on Korean Women's U.S. Ph.D. Degree-seeking Process and Career Development in the Field of Science and Engineering)

  • 이수영;진미석;이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395-40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과학기술 분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여성 고급인적자원의 학위 취득과정 및 학위 취득 후 진로활동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에서 매년 수행하고 있는 박사학위취득자 조사(Survey of Earned Doctorates: SED)의 2004년 원 자료 가운데 한국인 박사학위취득자들에 관한 자료를 기초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인 미국 박사학위취득자 가운데 여성박사의 비율은 약 25% 정도이며, 이 비율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과학기술분야 여성박사 학위 취득자는 대학 졸업 후 대략 10년 정도 후에 박사학위를 취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평균적인 연령은 33.3세로 나타났다. 이들 중 3분의2 이상은 연구조교나 강의조교를 통해 재원을 충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여성 미국 박사학위취득자들의 졸업 후 진로계획과 진로상황을 살펴보면, 학위취득 당시 약 51.8%는 취업이나 포스트 닥으로 확정된 상황이며, 나머지 48.2%는 미정인 상황이었다. 본 연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해외 여성 고급인적자원의 학위 취득과정과 진로활동에 관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50인 미만 소규모사업장의 보건관리 실태 (Current State of Occupational Health in Small-Scale-Enterprises of Korea)

  • 윤순녕;김영임;정혜선;김순례;유경혜;송영숙;김화중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0-104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and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working in small-scale-enterprises (SSE) employing less than 50 workers. Samples were chosen among the two thousands employees working in 838 factories where located in Youngdungpo-Ku, Seoul, Korea.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ed: 1. Most factories investigated in the study were manufactures (68.6%) which were established in 5 to 10 years ago (29.2%), employing less than 5 workers (72.9%) and registered in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23.0%). 2. Health screening was undertaken in 24.9% workplaces for periodic health examination and in 1.5% for special health examination. Environmental monitoring was done in 3.3% factories. Very few factories displayed Material Substance Data Sheet (MSDS) in 3.1% among the total factories. 3. Workplaces usually had their own toilets in 75.9% and washing basin in 58.6% as types of sociowelfare facilities. 4. Employees responded in the study were mostly in the range of age from 30 to 39 in 34.7%. male in 84.8%. the married in 70.3%. manual workers in 42.0%. mostly working regularly 51 hours per a week in 48.2% and earned 710.000 Won to 1.000.000 Won per month in 35.0%. Medical utilization for employees were covered by factories sponsored medical insurance in 12.7% and by provincial sponsored medical insurance in 83.4%. 5. Two point six percents of employees were suffered by diseases. The health complaints indicated were mainly digestive problems in 46.7% and hypertension in 24.4%. 6. Employees wor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 for work such as gloves in 48.1%. safety shoes in 30.5%. ear plug in 5.5% and mask in 6.9%.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we recommend that various types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workplace working condition of each factory.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health strategies. we think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monitor and to allocate how effectively they operate each other on the basis of longitudinal continuity. Besides, we would like to insist that these all management effort should be focused on prevention of disease and occupational health education of employees.

  • PDF

교육 형평성을 위한 고등학교 수학 교사 교육 시행 효과: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영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Equity: Focusing on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 김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4호
    • /
    • pp.751-774
    • /
    • 2017
  • 모든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수학 교사들의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교육 형평성의 관점에 기반을 둔 교사 교육을 읍면지역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세 명의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실행하였다.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자신의 수학적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교육 형평성을 실현하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인데, 이를 위해서는 상당한 양과 질의 지식과 판단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사 교육을 두 해 동안 받은 교사들이 가르치는 수학 수업을 받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학생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이 인상적으로 성장하였음을 본 연구는 보고한다. 그러한 변화는 수학 교실에서 상당히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관련이 있었다. 학생들의 수학과에 대한 정의적 영역의 신장을 위해 교육 형평성에 기반을 둔 수학 교사 교육의 장기간 실행에 논의한다.

다극화 지수와 지니 계수를 이용한 사교육비 양극화 추이 분석 (A Longitudinal Analysis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n KLIPS Using A Polarization Index and Gini Coefficient)

  • 양정호;한희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제20권6호
    • /
    • pp.3139-3153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의 2001년부터 2016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사교육비 지출 격차에 대한 추이분석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종 분석대상은 해당 년도마다 한국노동패널 조사에 참여한 전국의 약 1,300개에서부터 1,800개 가구이다. 분석을 통한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2001년도 이후 사교육비 지출은 계속적으로 늘었으며, 5분위 집단으로 나눈 집단간 비교에서도 사교육비 지출에 격차가 크게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사교육비 지출에서 사교육비 지출이 적은 1분위의 사교육비 지출비용은 월평균 10만원에 머무르고 있는데 반해서 사교육비 지출이 많은 5분위의 사교육비 지출비용은 월평균 100만원을 넘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교육비 지출 1분위와 5분위의 사교육비 지출격차는 지속적으로 늘어나 최근 11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이후 사교육비 양극화 추이를 브라운지수평활방법을 이용해 5년간을 예측한 결과는 사교육비 양극화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교육비에 대한 교육정책 수립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학교보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chool Health in Korea)

  • 정정심;김정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5-95
    • /
    • 2004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end of school health research by analyzing articles related to school health for the last 10 years.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to guide research direction for the future. Methods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hat analyzed annual data. using an objective frame of evaluation about the methodology and research domain in each paper, all the papers included in the journals concerning school health from January 1993 to December 2000 were analyzed. The data was processed statistically by frequency and percentage. Results : 455 papers in 9 journals related to school health were publishe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had 204 articles, the highest number of any journal. most of the articles were descriptive, but the number of experimental studies increased over time. the most common research subjects were students were the greatest ones, but the trend to study both parents and teachers increased near the end of the sampling period. the most common selection of subjects appeared to be based on convenience, but probability sampling gradually increasing annually. the most common research instrument was the questionnaire and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instruments were described in approximately half of the studies. The survey wa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data collection. The papers that met ethical issue in data collection were less than those that did not. In addition, the papers that provided the rationale for the calculation of sample size were less than those that did not. parametric statistics were the main methods of data analysis, but some advanced statistics were used more often than simple descriptive statistics in the latter part of the sampling period. In general, limit of the studies were not frequently mentioned but more recommendations were made.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area, the assesment domain was remarkable. The rate of school health problem assesment was the highest among research subjects. Sex- related subjects were the highest in detail research subjects. Conclusions : The research of school health has increased quantitatively, but it is difficult to ascertain its qualitative development.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completed up until now, more school-based intervention studies and longitudinal studies need to be another target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e school health service. as well, policy suggestion through international and cross-sectional comparison studies are needed to assist in the establishment of the long term direction of school health.

Lifestyle modifications in an adolescent dormi­tory: a clinical trial

  • Abu-Kishk, Ibrahim;Alumot-Yehoshua, Michal;Reisler, Gadi;Efrati, Shai;Kozer, Eran;Doenyas-Barak, Keren;Feldon, Michal;Dagan, Zahi;Reifen, Rami;Berkovitch, Matitiahu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12호
    • /
    • pp.520-525
    • /
    • 2014
  • Purpose: Childhood obesity is an increasing public health issue worldwide. We examined dietary patterns among adolescents in a dormitory school, identified obese adolescents and tried to intervene to improve food habits and physical activity. Methods: We conducted an experimental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based on 36 obese (body mass index $[BMI]{\geq}95th$ percentile) adolescents (aged 12-18 years) compared with controls (healthy children: normal age-appropriate BMI ($BMI{\leq}85th$ percentile). Six months' intervention included lifestyle-modification counseling (once a week by a clinical dietician), and an exercise regimen twice a week, 60 minutes each time, instructed by a professional pediatric trainer). Both groups underwent baseline measurements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and 6 months later (arterial stiffness, blood pressure, pulse, weight and height, hemoglobin, creatinine, liver enzymes, highly sensitive C-reactive protein and complete lipid profile). Results: Twenty-one participants completed the study. Low compliance from participants, school staff and parents was observed (participation in planned meetings; 71%-83%). BMI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32.46{\pm}3.93kg/m^2$ to $30.32{\pm}3.4kg/m^2$ (P=0.002) in the study group. Arterial stiff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2 groups and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fter 6 months' intervention (P=0.494). No significant changes in CRP and lipid profile were observed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Making lifestyle modifications among adolescents in a dormitory school is a complex task. Active intervention indeed ameliorates BMI parameters. However, in order to maximize the beneficial effects, a multidisciplinary well-trained team is needed, with emphasis on integrating parents and the school environment.

알츠하이머병과 경도인지장애에서 헤모글로빈 농도와 인지기능과의 연관성 (Association of Hemoglobin Levels and Cognitive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박준경;이강준;김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1호
    • /
    • pp.94-101
    • /
    • 2016
  • 연구목적 본빈혈은 노인 환자들에서 흔한 내과적 문제이다. 최근 연구는 빈혈이 인지기능 저하 및 알츠하이머병 치매와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에서 헤모글로빈 농도와 알츠하이머병 치매 및 경도 인지기능 장애와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 법 116명의 대상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평균 연령 : 74.67세, 여성 : 60.3%).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 임상치매평가척도(CDR), 전반적 퇴화척도(GDS)를 사용하여 대상자들을 평가하였고, 혈액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들이 경도인지장애군과 정상군에 비해서 유의미하게 낮은 헤모글로빈 농도와 적혈구 용적율을 가진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헤모글로빈 농도는 MMSE-K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overall CDR 및 GDS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한국 노인들에서 낮은 헤모글로빈 농도는 인지기능손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알츠하이머병 치매는 빈혈과 연관이 있었으며, 이를 통해 낮은 헤모글로빈 농도가 알츠하이머병의 유용한 임상적 표지자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치매에 대한 위험 요소는 더 광범위한 환자 군에서 전향적 종단 연구에 의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에 관한 연구: 전기와 후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Depression in Female Seniors Living Alone: A Comparison Between the Young-old and the Old-old Adults)

  • 임진섭;김제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149-162
    • /
    • 2024
  •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가장 취약한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여성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패턴을 갖는지 그리고 이러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종단연구이다. 동시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노인일지라도 연령에 따른 차이가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여성 독거노인을 전기(the young-old)와 후기노인(the old-old)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이 서로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패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건적 모형에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궤적의 초기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그 외 도시보다는 대도시 지역에 사는 노인이,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운동을 하지 않는 노인이 초기 우울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의 변화율(기울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대도시에 사는 노인이,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친교활동이 적을수록, 사회활동을 많이 할수록 우울수준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의 초기값과 기울기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사이에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후기노인의 경우 초기에 사회활동 참여정도가 높을수록 우울의 변화폭은 커지는 반면 전기노인은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없었다. 전기노인이 후기노인 보다 초기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우울의 변화폭이 컸다. 후기노인에게서만 초기에 주기적으로 운동을 하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초기 우울값이 높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온실 열손실 분석용 기상정보 및 온실방위 조사 분석 (Investigation and Greenhouse Heat Loss based on Areas and Weather Information)

  • 김영화;강석원;백이;장재경;성제훈;강연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4-7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풍환경에 따른 열손실을 분석하는데 있어 필요한 풍속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요 11개 해안지역 중 온실밀집지역을 선정하여 기상환경 및 온실방위를 조사 분석하였다. 대상지역은 난방온실 재배면적과 풍환경 기준으로 선정하였고 온실밀집지역은 $50,000m^2$ 이상인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11곳의 기상자료 중 기온, 풍속, 풍향을 대상으로 30년간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기온은 최저, 평균, 최고 기온을 나누고 풍속 및 풍향 기준은 기상청 분석 기준을 적용하였다. 온실의 배치방향은 형태가 대칭인 점을 감안하여 $0{\sim}180^{\circ}$ 범위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각 지역마다 풍향이 있으며 온실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적용되는 풍향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상대풍향으로 지칭하고 중복되는 점을 고려하여 $0{\sim}90^{\circ}$ 범위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11개 지역의 기온은 중부지방에 있는 보령, 영광 지역과 남부지방에 있는 9개 지역의 기온차이가 구분되었다. 중부해안 대상지역은 1월 최저기온은 약 $3{\sim}4^{\circ}C$ 정도 온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평균기온은 약 $3^{\circ}C$ 정도 높았으며 월별 기온 중 최저기온을 선정할 때에 1월 기온을 고려해야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지역의 주풍향에 대한 월별 차이는 크게 발생하지 않았으며 풍향 분포에 따라 지역별로 서해안측, 서해 및 남해 경계 해안측, 남해안측으로 구분되어졌다. 풍속은 영광을 제외한 10개 지역은 월간 풍속 포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지역의 온실의 방향은 길이방향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보령과 영광, 남해 지역은 60%이상 집중되어 있는 방향이 존재하였고 해남, 통영지역은 약 90% 집중되어있는 방향이 존재하였으며 이는 경지정리로 인하여 방향이 편향되어있는 지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