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4-diphenyl-l

검색결과 626건 처리시간 0.021초

강황지하부 부산물에서 분리한 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7-O-${\alpha}$-L-rhamnopyranoside가 선충의 수명연장에 미치는 영향 (Lifespan Extension Property of 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7-O-${\alpha}$-L-rhamnopyranoside from Curcuma longa L. In Caenorhabditis elegans)

  • 안달래;이은별;김반지;이소연;안민실;은재순;신태용;김대근
    • 생약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75-281
    • /
    • 2014
  • After harvesting the medicinal parts of Curcuma longa, the remaining underground parts were discarded. From the remaining underground parts of Curcuma longa 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7-O-${\alpha}$-L-rhamnopyranoside (Q37) was isol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in vitro and lifespan-extension effect of Q37 were elucidated using the Caenorhabditis elegans.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Q37 showed similar potent activities in comparison with vitamin C. Q37 also showed potent superoxide quenching activities as measured by the riboflavin- and xanthine-originated superoxide quenching activity tests. Q37 prolonged lifespan of worms under normal culture condition. In terms of protective effect of Q37 on the stress conditions such as thermal and oxidative stresses, Q37-treated worms exhibited enhanced survival rate, as compared to control worms. To know the possible mechanism of Q37-mediated increased lifespan and stress resistance of worms, we examined the activities of Q37on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invest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The results revealed that Q37 was able to elevate SOD activity of worms and reduce intracellular ROS accumul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함초(Salicornia herbacea L.)의 채취 시기별 이화학적 특성 탐색 (Detec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 차재영;정재준;김용택;서원석;양현주;김진숙;이용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83-690
    • /
    • 2006
  • 함초의 생리활성 물질을 활용하여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함초의 채취 시기별 함초의 수용성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건물 중량 100 g당 6월 0.682%, 8월 1.005% 및 10월 0.754%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6월 1.015%, 8월 1.158% 및 10월에 0.953%로 8월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함초 수용성 추출물의 betaine 성분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6월, 8월, 10월에서 각각 0.248%, 0.269% 및 0.204%로 나타났다. 함초 성숙 단계별로 채취한 시료의 주요 구성 아미노산 함량(mg%)이 6월, 8월, 10월에서 각각 glutamic acid (582: 519: 664), proline (552: 471: 322), phenylalanine (480: 431: 424), aspartic acid (322: 297: 330), 및 arginine (282: 321: 483)이었으며, 주요 유리 아미노산 함량 (mg%)은 6월과 8월에 각각 proline (9.7: 3.4), asparagine (6.7: 1.4), hydroxyproline (6.4: 2.8), valine (3.9: 2.5) 및 arginine (1.7: 3.0) 이었다. 그러나 10월에 채취된 함초의 유리 아미노산은 유일하게 amonium chloride 0.27 mg%와 1-methyl-L-histidine 0.18 mg%만 함유되어 있었다. 채취 시기별 함초의 미네랄 성분 함량 (mg%)은 전체적으로 Na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K, Mg, Ca, P 순이었다. 채취 시기별로 미네랄 함량이 각각 Na (5695: 7536: 5529), K (1640: 963: 931), Mg (359: 428: 348), Ca (221: 234: 251) 및 P (207: 189: 259)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6월에 K, 8월에 Na와 Mg, 10월에 Ca과 P가 각각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전자공여능(EDA) 측정에서는 0.05% BHT> 8월> 6월> 10월 순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함초의 이화학적 성분은 채취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폴리페놀 화합물 및 베타인의 생리활성 성분은 8월에 채취한 함초에서 가장 높았다.

톳(Hizikia fusiformis), 무화과(Ficus carica) 및 배(Pyrus pyrifolia)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생선커틀릿용 튀김옷의 기능성 (Functional Evaluation of Fish Cutlet Batter Made from the Extracts of Hiziki Hizikia fusiformis Fig Fruit Ficus carica and Pear Pyrus pyrifolia)

  • 김민용;김종덕;김보영;신영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721-730
    • /
    • 2017
  • This study determined the optimal mixing ratio of functional materials to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batter for fish cutlets. An optimal mixing ratio of the hiziki Hizikia fusiformis, fig fruit Ficus carica L. and pear Pyrus pyrifolia Niitaka extracts (HFP extract) of 3:1:1 was fou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ixture were as follows: total phelonic contents of $1187.29{\pm}41.55mg/L$, 1,1-diphenyl-2-picry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61.50{\pm}2.33%$, ascorbic acid content of $23.68{\pm}0.02g/100g$, ${\beta}-carotene$ content of $51{\pm}3.92{\mu}g/100g$, and sugar content of $12.7{\pm}0.1Brix^{\circ}$. A mixture of the extract, Korean herbal powder, and wheat flour was prepared as the fish cutlet batter. The fish cutlet prepared with the batter had a hardness of $166-202g/cm^2$ and Hunter's color scale values L of $31.14{\pm}2.1$ to $34.62{\pm}1.3$, a of $-4.89{\pm}0.21$ to $-2.26{\pm}0.19$ and b of $-20.65{\pm}2.65$ to $28.93{\pm}3.14$. The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nd VBN (volatile basic nitrogen) of the fish cutlets were measured to evaluate functionality and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ratio for cold storage at $-12^{\circ}C$, $-18^{\circ}C$, and $-24^{\circ}C$. The optimum mixture ratio of extracts /Korean herbal powder/ wheat flour was 1:6:3.

개망초꽃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활성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Erigeron annuus L. Flower)

  • 이미란;전아림;강창희;부희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17-725
    • /
    • 2016
  • 본 연구는 개망초꽃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효능에 관하여 조사한 것이다. 개망초꽃 에센셜 오일은 용매추출법으로 추출하였다. 개망초꽃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효능은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 효능 측정으로 확인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 효과는 $500{\mu}g/ml$ 농도에서 98.6%, DPPH 라디칼 소거는 48.3%로 좋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항균 활성은 S. aureus와 P. acnes, E. coli 균에 대하여 paper disc법과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값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S. aureus 균주에 대해서는 MIC 값과 MBC 값이 모두 0.31 mg/mL 농도에서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P. acnes 균에 대해서는 disc법에서 14 mm의 clear zone 형성과 MIC, MBC에서 각각 0.31 mg/mL, 0.63 mg/mL로 좋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항염 활성에 관련하여 NO 억제 측정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을 억제시킴을 확인하였고,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alpha}$, IL-6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개망초꽃 에센셜오일은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산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잎의 생리활성 기능 검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Leaves from Korean Rosa davurica Pall.)

  • 김준범;최승필;이득식;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0-105
    • /
    • 2004
  • 생열귀나무의 잎을 시료로 생리활성 기능을 검색하기 위해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및 물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 대하여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성 효과와 S. th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용매별 추출수율은 물 추출물이 24.8%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메탄을 추출물 (21.3%), 에탄올 추출물 (17.0%) 및 클로로포름 추출물 (5.6%) 순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각 추출물의 수소전자공여능 $IC_{50}$/(Inhibition concentration)을 측정한 결과 물, 메탄올,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 대조구인 butyl-hydroxytoluene, 비타민 C, 알구토코페놀과 유사하게 나타나 항산화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열귀나무 잎의 메탄을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는 TA98 균주에 대하여 세 종류의 변이원 물질 모두 농도 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나타내었으며, 생열귀나무 잎의 클로르포름 추출물 결과는 TA98 균주에 대하여 3가지 변이원 물질 모두 농도 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 TA98 균주에 대하여 200 $\mu\textrm{g}$/plate의 농도를 첨가하였을 때 B($\alpha$)P에 대해 79.8%의 억제율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생열귀나무 잎의 물 추출물은 TA98 균주에 대하여 200 $\mu\textrm{g}$/plate의 농도 첨가에서 B($\alpha$)P에 대해 67.2%의 억제율을 보였다.

식물 생장을 촉진할 수 있는 구리 내성 세균의 분리 (Isolation of copper-resistant bacteria with plant growth promoting capability)

  • 김민주;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51-256
    • /
    • 2017
  • 구리 스트레스를 받는 식물에 구리 내성을 부여하며 생장을 촉진할 수 있는 여러 구리 내성 근권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주 Pseudomonas veronii MS1과 P. migulae MS2는 금속 킬레이트제인 siderophore를 각각 0.13과 0.26 mmol/ml 생성하였으며 또한 20 mg/L Cu 수용액에서 각각 64.6과 77.9%의 구리에 대한 생물흡착능을 나타내었다. 구리는 생물체에서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유해한 자유 라디칼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MS1과 MS2 균주의 1,1-diphenyl-2-picryl hydrazyl 라디칼 제거능과 항산화능은 24시간 배양 후 대조군에 비해 각각 82.6과 78.1% 증가하였다. 이들은 식물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인 에틸렌의 수준을 낮추는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deaminase 활성을 각각 7.10과 $6.42{\mu}mol$ ${\alpha}$-ketobutyrate mg/h 나타내었으며 한편 비생물적 스트레스 하의 식물 생장을 도울 수 있는 indole-3-acetic acid와 salicylic acid도 생성하였다. 이 모둔 결과들은 이 구리-내성 근권세균들이 식물에 구리 내성을 부여하며 생장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용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탐색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of Solanum nigrum L.)

  • 김아람;김동현;변수민;정강원;권재환;여충원;이정석;정귀택
    • KSBB Journal
    • /
    • 제29권6호
    • /
    • pp.421-425
    • /
    • 2014
  •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actions (methanol, hexane, methylene chloride, butanol, ethyl acetate and water) of Solanum nigrum L. extract was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of each fractions of methanol, butanol,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hexane and water are $4.41{\pm}0.23%$, $5.57{\pm}0.35%$, $9.89{\pm}0.19%$, $9.86{\pm}0.19%$, $1.89{\pm}0.04%$, and $3.18{\pm}0.06%$, respectively. For assay of antioxidant activity, 1,1-diphenyl-2-picry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re evaluated.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highest effect was obtained from the fraction of ethyl acetate. Reducing power is ordered as ethyl acetate > methylene chloride > methanol. In nitrite scavenging activity, the highest activity was 5.5% (butanol fraction), whereas hexane fraction did not detected. Overall, antioxidant activities are closely relate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 in extracts of S. nigrum L.

소목(蘇木)이 산화적 손상 및 Raw 264.7 cell과 HUVEC에서의 염증 유관 인자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aesalpinia Sappan L. on Oxidative Damage and Inflammatory Relevant Factor in RAW 264.7 Cells and HUVEC)

  • 강성순;김명신;조재준;최성안;양의호;전상윤;최창원;홍석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0-111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Caesalpinia sappan L. on oxidative damage and inflammatory relevant factor in RAW 264.7 cells an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Methods : We determined whether fractionated EtOH extracts of Caesalpinia sappan L. (CSL) inhibit free radical generation such a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nitric oxide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RAW 264.7 cells and HUVEC. Result : 1. DPPH removal capacity was increased by CSL. 2. LPS-induced ROS, and NO inhibitory capacity were increased by CSL. 3. LPS-induced cell death of Raw 264.7 cells was decreased by CSL. 4. The amount of cytokine generation in Raw 264.7 cell was decreased significantly by CSL. 5. The amount of cytokine generation in HUVEC was decreased significantly by CSL.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SL supplement may attenuate oxidative stress by elevated antioxidative processes, and suppress inflammatory mediator activation.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Ovotransferrin from Egg White

  • Moon, Sun-Hee;Lee, Jae-Hoon;Lee, Yong-Ju;Paik, Ji-Yeon;Ahn, Dong-Uk;Paik, Hyun-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12-617
    • /
    • 2012
  • The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ovotransferrin were investigated in vitro. The antioxidant capacity of ovotransferrin was evaluated using the 2,2-Diphenyl-1-picryl 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method, antimicrobial effects using the agar well diffusion method, and cytotoxicity using the 3-(4,5-dimethylthizol-2-yl)-2,5-diphenylate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The DPPH radical-scavenging capacity of ovotransferrin at 1 mg/mL level reached approximately 60% after 48 h of reaction.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ovotransferrin against common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KCCM 32395, Bacillus cereus KCCM 40935,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5313,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95, and Helicobacter pylori HpKCTC 26695 were dose dependant. Gram-positive bacteria was more sensitive to ovotransferrin than gram-negative bacteria. Ovotransferrin showed stronger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L. monocytogenes than other gram-positive bacteria tested. The cytotoxicity of ovotransferrin was evaluated in human cancer cell lines, various tissue origins, including the larynx (Hep-2), stomach (AGS), lung (SK-MES-1), liver (HepG2), breast (MCF-7), cervix (HeLa), and colon (HT-29). Ovotransferrin displayed relatively high cytotoxicity (${\leq}60%$ inhibition effects) at 40 mg/mL. At lower concentrations (${\leq}10mg/mL$), however, ovotransferrin cytotoxic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in all cancer cell lines test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votransferrin has potential to be used as an antioxidant or antimicrobial agent in foods or a pharmaceutical agent against cancers.

벌나무 추출물의 황생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와 항산화 활성 (Antibacter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Acer tegmentosum Maxim Ethanol Extract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 황진우;박찬휘;안해연;장예원;강현;이성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339-346
    • /
    • 2022
  • 본 연구는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효능과 FRAP법을 사용한 환원력을 측정하여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검증하였고, Paper disc법, MIC 및 MBC법을 통하여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검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66.66 ㎍ GAE/mg와 6.46 ㎍ QE/mg이었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 소거능을 보였고,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RC50 값은 각각 21.49, 12.81 ㎍/mL이었다. 환원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 FRAP 분석에서 벌나무 추출물은 0.73 ± 0.19 mM FeSO4 E/mg의 효능을 보여주었다. Paper disc법을 이용한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벌나무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2 mg에서 3 mm의 저해환을 보여주었으며, 최소 저해농도 연구에서는 1 mg/mL 이상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억제력을 보여주었고, 16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최소저해 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최소살균농도 연구에서는 32 mg/mL에서 최소살균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벌나무 추출물을 사용한 항산화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 벌나무 추출물의 아토피피부염에 유효한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