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4-첨가

검색결과 9,190건 처리시간 0.042초

쑥 첨가방법이 유화형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항산화, 총미생물수 및 아질산염 소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Method of Mugwort on Antioxidant Effect, Total Plate Counts, and Residual Nitrite Content of Emulsified Sausages during Cold Storage)

  • 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2-128
    • /
    • 2011
  • 제조 방법을 다르게 처리한 쑥을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첨가하여 냉장온도($4{\pm}1^{\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pH, TBARS, 총 미생물수, 아질산염잔존량 및 육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쑥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쑥 분말 첨가구는 T1, 쑥 즙 첨가구는 T2, 쑥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는 T3, 쑥 중탕 추출물 첨가구를 T4 등 5개 처리구로 나누어 0, 1, 2, 3 및 4주간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으로 대조구와 T4는 유의성이 없었고, T1과 T2 및 T3는 저장기간 동안 다소 낮았다(p<0.05). TBARS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쑥 즙과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쑥의 첨가는 지방산화를지연시켰고, 특히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인 T3에서 TBARS값은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p<005). 총 미생물수는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모든 첨가구에서 증가하였고, 저장 0주에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처리구간에는 T3가 유의적으로 낮은 미생물수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는데 T3에서 다른 시험구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육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CIE $L^*$값과 CIE $b^*$값은 감소하였고 CIE $a^*$값은 증가하였으며, 처리구간에는 CIE $L^*$값과 CIE $a^*$값은 쑥 첨가구에서 낮았고, CIE $b^*$값은 대조구와 T1에서 높은 결과로 쑥 추출물의 첨가는 소시지 색을 어둡게 하는 경향이었다. 결론적으로 쑥 에탄올 추출물 첨가는 지방의 산화와 미생물 성장 억제 및 아질산염잔존량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잎 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by Different Amount of Bamboo Leaf Flour)

  • 안기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4-111
    • /
    • 2010
  • 대잎 분말 첨가 설기떡의 관능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 수분 함량과 색도를 측정하였다. 대잎분말의 첨가량은 0%인 대조군을 BP0으로 하였으며, 1% 첨가군을 BP1, 2% 첨가군을 BP2, 3% 첨가군을 BP3, 4% 첨가군을 BP4로 표기하였다. Textureanalyzer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설기떡에 대잎 분말 첨가량을 증가하면 할수록 견고도가 증가하고, 부착성과 점착성, 씹힘성, 응집성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탄력성은 다른 처리구와 다르게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수분 함량은 대잎 첨가 설기떡의 경우 37~39%를 유지하였으며, 색도는 대잎 분말의 첨가 수준이 증가될수록 L값은 감소되며 a, b값은 증가 되는 경향이었다. 관능평가 결과는 색과 촉촉한 정도에서 BF3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BF3의 첨가구가 가장 바람직한 첨가 비율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맛과 기능적인 면에 대한 것도 기대를 걸어보며, 앞으로 후속 연구가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 PDF

감잎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added Persimmon Leaves Powder)

  • 강우원;김귀영;김종국;오상룡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6-341
    • /
    • 2000
  • 감잎분말의 함량을 달리하여 밀가루에 첨가하고, 부재료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필수적으로 첨가해야할 소금, 설탕, 효모를 가하여 식빵을 제조한 후, 여러 가지 물리적,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잎분말을 0%에서 2%까지 첨가한 식빵의 수분함량 및 수분활성도는 그 첨가량에 관계없이 각각 45%, 0.97로 나타났다. 2. 감잎분말을 1%까지 첨가한 식빵에서는 무첨가 시료에 비교해서 비체적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았다. 3. 빵껍질의 색은 감잎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 a, b및 ΔE값이 감소하였으며 기호도 또한 감소하였고, 내부의 색도는 감잎분말을 1% 첨가할 때까지는 기호도가 증가하였다. 4. 물성적인 품질 특성인 텍스쳐 및 관능검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의 감잎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기호도가 가장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사료내 Zeolite 첨가가 비육돈의 생산성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Zeolite Treated on th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 김재황;김삼철;고영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555-564
    • /
    • 2005
  • 본 연구는 비육돈에 대한 황토의 주성분인 zeolite의 첨가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증체량, 사료요구율, 육질, 악취제거 및 경제성 등을 조사하였으며 생후 93일령의 비육돈 120두(4처리$\time$3반복$\time$10두)를 공시하여 출하시까지 70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일당증체량은 비육돈 전기의 경우 zeolite 4% 첨가구가 1.00kg으로서 대조구의 0.8kg에 비하여 약 25%로 크게 향상되었다(P<0.05). 그러나 비육돈 후기의 일당 증체량은 대조구(0.78kg)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0.74-0.83kg으로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사료요구율은 시험 전기간 동안 대조구에서는 3.43으로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zeolite 1%구와 2%로서 각각 3.24와 3.13이었으며 zeolite 3% 첨가구는 3.00으로서 약 7.4%의 개선효과가 나타났다(P<0.05). 시험 전기간 동안의 $NH_3$ 가스 발생량은 zeolite 4%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33.9-53.9%의 개선효과가 나타났다(P<0.05). 도체중과 등지방 두께는 대조구와 zeolite 첨가구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A등급 출현율은 zeolite 4% 첨가구가 60.00%로서 대조구의 36.67%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 결과, 증체 kg당 사료비는 zeolite 4% 첨가구는 910원, 2% 첨가구는 919원, 1% 첨가구는 941원 및 대조구는 982원으로서 zeolite를 4% 첨가함으로써 개선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비육돈에 대하여 zeolite를 4% 수준으로 첨가․급여하면 사료요구율, 육질 A등급 출현율, 분내 암모니아가스 발생량 및 경제성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담수토양중 부식물질에 대한 diazinon의 흡착 (Adsorption of Diazinon on Humic Substances in Submerged Soil)

  • 송재영;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5-40
    • /
    • 1993
  • 담수토양중 diazinon의 거동에 미치는 토양유기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담수토양에 토양유기물분획인 humin, humic acid, fulvic acid 와 diazinon을 처리하여 각 부식물질의 농도별 (0.1%, 0.5% 1.0%) diazinon 1.8ppm과 5.0ppm의 흡착률을 조사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8ppm diazinon의 흡착률은 humin > FA > HA의 순으로 많았고, 최대흡착률은 1.0% humin 첨가구에서 12.4%, 1.0% HA 첨가구에서 10.44%, 1.0% FA 첨가구에서 11.86% 이었다. 2. 5ppm diazinon의 흡착률은 1.0% humin 첨가구에서 10.21%, 1.0% HA 첨가구에서 10.4%, 1.0% FA 첨가구에서 10.64%를 보였다. 즉, diazinon의 첨가량 증가는 흡착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3. 부식물질별 diazinon의 흡착경향은 humic acid와 fulvic acid에서는 4시간 이내에 최대흡착률을 보였으나, humin에서는 4시간 이후에도 계속 흡착이 이루어 졌다. 4. 부식물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iazinon의 흡착률도 증가하였으며, humin 처리구에서 그 경향이 가장 뚜렷하였다.

  • PDF

쌀가루 첨가량에 따른 자색고구마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rple Sweet Potato Muffins Containing Rice Flour)

  • 박금순;김경은;박신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33-840
    • /
    • 2012
  • 다양한 생리기능을 지닌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머핀에 쌀가루 첨가량을 달리하여 고품질의 자색고구마 쌀머핀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 및 관능적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머핀의 무게와 높이는 쌀가루를 첨가 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분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쌀가루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pH는 높아졌으며 반면 산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쌀가루 첨가 자색고구마 머핀에서 색도는 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와 황색도(b)는 감소하였고 적색도(a)는 증가하였다. 경도는 P0(대조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탄력성은 P4(100% 첨가군)가 가장 높았다. 응집성, 씹힘성과 부서짐성은 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쌀가루 첨가 자색고구마 머핀의 항산화활성은 55.07~58.34로 나타났으며 P0(대조군)에 비해 P3(75% 첨가군)와 P4(100% 첨가군)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쌀가루 첨가 자색고구마 머핀 관능검사 결과 외부색에서는 P2(50% 첨가군)에서 내부색은 P0(대조군)와 P1(25% 첨가군)이 높았으며 향미에서는 시료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감 중 촉촉한 정도는 P0(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2(50% 첨가군), P4(100% 첨가군)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씹힘성에서는 P0(대조군), P1(25% 첨가군) 보다 P2(50% 첨가군), P3(75% 첨가군), P4(100% 첨가군)가 더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3(75% 첨가군), P2(50% 첨가군), P4(100% 첨가군), P1(25% 첨가군)순으로 기호도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P2(50% 첨가군)와 P3(7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p<.05) 쌀가루 첨가 자색고구마 머핀 제조시 쌀가루 첨가량을 밀가루 대비 쌀가루 첨가 50~75%를 적정한 비율로 판단되었다.

Zeolite의 첨가수준이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Zeolite Levels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s)

  • 민병석;김영일;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1-38
    • /
    • 1988
  • 본 시험은 국내산 zeolite의 첨가수준이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육계사요에 zeolite를 0,2,4 및 6% 첨가한 4개 처리에 육계 Arbor-Acre계 초생추 360 수를 공시하여 1986년 8월 25일부터 10월 12일까지 7주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증체양은 zeolite 2% 첨가수준에서 2,012.1 g으로 가장 높았으며, 4% 첨가수준 이상에서는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성향을 보였다 (P<0.05). 2. 사요섭취량은 4,204.l∼4,225.6 g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zeolite의 첨가수준간에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3. 사요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 zeolite 4% 첨가수준에서 2.12로서 차이가 없었으나 6% 첨가구에서 2.16으로 다소 높은 경향이 있었다( P<0.05) 4. 생존율은 95.6∼97.8%로서 처리간에 육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5. 계분의 수분함양은 대조구(73.5, 81.0%)인데 반해 첨가구 ( 67.3∼70.8%, 73.6∼79.4% )로서 zeolite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철저히 감소하였다 (P<0.01 ). 6. 도체율은 첨가구에서 6.86∼68.9% 및 복강지방축적율은 2.49∼2.57%로서 처리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7. 수당 소득은 .zeolite 2% 첨가구가 378.13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zeolite 4% 첨가수준까지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zeolite 6% 첨가구에서 329.32원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P<0.05).

  • PDF

개미산과 유산균제 첨가 베일 사일리지의 발효 차이가 반추위 발효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silage of Rye Treated with Formic Acid and Lactic Acid Bacteria Inoculant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 김자연;;방금휘;정순우;박설화;오영균;김종근;김경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44-250
    • /
    • 2020
  • 본 실험은 개미산 첨가 방법으로 제조한 제한발효 사일리지의 효용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반추위 발효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유산발효 사일리지와 비교하였다. 호밀 재배 포장에서 4종의 베일사일리지(무첨가, 유산균제 첨가, 개미산 첨가, 개미산칼슘염 첨가)을 제조하였고, 18주 후에 각각 4개의 베일을 선택하여 발효품질을 조사하였다. 재료초의 건물 함량이 50% 정도로 비교적 높았던 무첨가 사일리지와 유산균제 첨가 사일리지는 예건 사일리지와 유사한 발효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개미산과 개미산칼슘염 첨가 사일리지는 무처리 사일리지 보다 낙산 함량이 4배 정도 높았고(P<0.05), 총 질소중 NH3-N의 평균 농도도 무첨가 보다 2배 높은 (P<0.05) 낙산발효 특징을 보여주었다. 반추위 발효 특성 조사는 반추위 캐뉼라가 장착된 4두의 홀스타인 암소(평균체중 563kg)를 공시하여 4×4 Latin square design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료섭취 후 1, 2, 3 시간에서 유산균제 첨가 사일리지가 개미산 첨가 사일리지보다 반추위 propionic acid 비율(%총 VFA)이 높은 경향(P=0.1)을 보였고, 개미산 첨가 사일리지와 개미산칼슘염 첨가 사일리지를 섭취한 공시축의 반추위 낙산 비율은 사료섭취 후 1, 2, 3, 5시간 모두에서 무처리와 유산균제 첨가 사일리지 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이상에서 보여주고 있는 반추위 발효 양상의 차이를 볼 때, 유산균제 첨가 사일리지와 함께 제한발효 사일리지 도입은 사일리지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감귤과피 물 균질액을 첨가한 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Citrus Peel Water Homogenate)

  • 권수경;이예경;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397-406
    • /
    • 2002
  • 감귤과피 분말을 l~5% 함유하는 물 균질액을 첨가한 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pH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산도는 반대로 높아졌다. 반죽의 부피와 빵의 loaf volume은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3% 첨가빵의 total carotenoids, hesperidin 및 naringin 함량은 각각 0.14 mg%, 38.4 mg% 및 25.3 mg%이었다. 빵의 hardness는 감귤과피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1%를 첨가한 경우의 strength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며 그 이상으로 첨가할수록 높아졌다. Cohesiveness는 1% 첨가는 대조구와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3~5% 첨가구는 크게 감소하였다. Springiness는 0, 1 및 3% 첨가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 첨가군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색상, 맛, 향, 씹힘성 및 종합적인 기호도로 평가한 결과 3% 첨가구가 가장 양호하였다.

  • PDF

동계사료작물 사일리지를 첨가한 TMR 급여가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Total Mixed Rations Containing Different Winter Forage Crop Silages o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Korean Black Goats)

  • 정기웅;조익환;황보순;이성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9-398
    • /
    • 2009
  • 본 연구는 동계사료작물 사일리지를 첨가한 TMR을 급여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 섭취량, 일당 증체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흑염소에 대한 동계사료작물의 사료가치 평가의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흑염소 12두(♂)를 4처리구(T1: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 T2: 유채사일리지 첨가구, T3: 호밀 사일리지 첨가구 및 T4: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 첨가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개체별 대사케이지 에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 두당 건물, 유기물 및 조단백질 섭취량은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조단백질 및 ADF 가소화 섭취량 또한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p<0.05). 1일 증체량은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 호밀 사일리지 첨가구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 첨가구가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건물, 조단백질 및 섬유소 소화율은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질소섭취량과 질소축적율은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동계사료작물 중 유채 사일리지 첨가시 사료 섭취량 및 질소 축적율 증가로 인해 흑염소의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