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3-Butadiene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8초

카르복실화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의 중합시간 단축과 안정성 개선을 위한 연구 (Study for Reducement of Polymerization Time and Improvement of Stability in Manufacturing Carboxylated Styrene-butadiene Latex)

  • 조을룡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7권1호
    • /
    • pp.31-38
    • /
    • 2002
  • 카르복실화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의 중합시간은 사용되는 부타디엔 모노머가 공액 이중결합을 가진 화학적 구조로 인하여 라디칼 중합시 홀 전파의 비편재화로 인해 아크릴 에멀젼의 제조시 보다 중합시간이 매우 길다. 또한 라텍스 자체가 고분자와 분산매의 분리 없이 사용되기 때문에 라텍스의 안정성은 대단히 중요하다. 물성의 저하없이 반응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연쇄이동제인 사염화탄소 대신 tert-dodecylmercaptane 과 ${\alpha}$-methylstyrene dimer를 혼합 사용하여 반응시간을 14시간에서 12시간으로 줄일 수 있었다. 반응 성장단계에서 아크릴산의 투입량을 0.3 part로 제한하여 라텍스의 점도 상승을 막고 초기중합단계 직후에 아크릴아미드를 0.1 part 첨가하여 라텍스 입자의 내부영역과 외부영역의 고분자 사슬의 상호간확산을 막아 단단하면서도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라텍스의 합성 결과를 얻었다.

MEH-PPV와 TPB 다층박막의 광발광 및 전기적 특성 (Luminescent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MEH-PPV and 1,1,4,4-Tetraphenyl-1,3-butadiene Double Layer films)

  • 이명호;김영관;신동명;최종선;김정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3-166
    • /
    • 1997
  • Electroluminescent(EL) dcvice based on organic thin layers have attracted lots of interests because of thier possible application as large-area light-emitting displays. It was known that MEH-PPV and 1, 1, 4, 4, -Tetraphenyl-1, 3-butadiene(TPB) has red and blue emission peak at 580nm and 480nm, respectively. In this study, MEH-PPV films and TPB films were prepared by spin coating and vacuum deposition method, respectively. Films of MEH-PPV and TPB double layer were also prepared by the same method. Photoluminescent(PL) characteristics of these single and doubler layers were investigated, where a cell structure of glass substrate/ITO/MEH-PPV and/or TPB/Al was employed. It was found that the photoluminescent efficiency of TPB film was higher than that of MEH-PPV film with a single layer and also with a double structure. These films have also different I-V characteristics.

  • PDF

1,3-부타디엔과 부텐 올리고머 공동 생산을 위한 바이오 정유 공정의 설계 및 분석 (Process Development and Analysis of Diorefinery for the Coproduction of 1,3-Butadiene and Butene Oligomer)

  • 안병찬;박진남;원왕연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618-635
    • /
    • 2021
  • Environmental issues caused by our dependence on fossil fuels have caused our society to move toward new renewable sources of energy and chemicals. In this study, we develop an integrated process that co-produces butene oligomer (i.e., biofuels) and 1,3-butadiene (i.e., monomer for the production of synthetic rubber). To minimize utility consumption, we conduct heat integration. Then, we conduct a range of techno-economic analysis and life-cycle assessment to investigate economic and environmental feasibility of the proposed process.

1-Chlorobutadiene-Butadiene Copolymer의 수가교반응(水架橋反應)에 관한 연구(硏究)(I) (A Study on Curing Reaction of 1-Chlobutadiene-Butadiene Copolymer by Moisture)

  • 유종선;백남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22권3호
    • /
    • pp.195-203
    • /
    • 1987
  • 본(本) 연구(硏究)는 기능성(機能性) elastomer 개발(開發)의 일환(一環)으로서 1-chlorobutadiene-butadiene copolymer(CB-BR)의 수가교(水架橋)에 의(依)한 기능성(機能性)의 향상(向上)에 그 목적(目的)을 두었으며 가교제(架橋劑)로서 3-aminopropyltriethoxysilane을 이용(利用)하여 CB-BR의 활성염소(活性鹽素)와의 용액반응(溶液反應)을 속도론적(速度論的)으로 해석(解析)하였다. 그리고 APS와 CB-BR을 실제공정(實際工程)에서 배합(配合)하여 수중가교반응(水中架橋反應)을 진행(進行)시켜 이에 따른 물성(物性) 검토(檢討)를 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CB-BR은 용액계(溶液系)에서 APS와 용이(容易)하게 반응(反應)하며 이때의 반응(反應) 속도상수(速度常數) 및 활성화(活性化)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2. CB-BR+APS 수가교체(水架橋體)의 최적(最適) press 조건(條件)은 $150^{\circ}C{\cdot}20$분(分)이고 이들 가교체(架橋體)의 물성(物性)을 고무탄성체(彈性體) 이론(理論)에 의하여 가교진행(架橋進行)의 타당성(妥當性)을 검토(檢討)한 결과 이론치(理論値) q=1에 근접(近接)함을 알았다.

  • PDF

Butadiene Polymerization Catalyzed by Tri(aryloxo)aluminum Adduct of Cobalt Acetate

  • Park, Ji Hae;Kim, Ahreum;Jun, Sung Hae;Kwag, Gwanghoon;Park, Ka Hyun;Lee, Junseong;Lee, Bun Yeou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2호
    • /
    • pp.4028-4034
    • /
    • 2012
  • Tris(2-phenylphenoxo)aluminum ($(2-PhC_6H_4O)_3Al$) exists as a dimeric form in toluene. When toluene-insoluble anhydrous cobalt acetate is treated with tris(2-phenylphenoxo)aluminum in toluene, the toluene-soluble adduct $(2-PhC_6H_4O)_3Al{\cdot}Co(OAc)_2$ is formed. The 2-phenylphenoxo ligand in the adduct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aryloxo ligand to give (aryloxo)$(2-PhC_6H_4O)_2Al{\cdot}Co(OAc)_2$ (aryloxo = 2-methylphenoxo, 2-isopropylphenoxo, 4-methylphenoxo, 4-isopropylphenoxo, or 4-tert-butylphenoxo). These complexes are active for butadiene polymerization without gel formation when activated with an equivalent amount of $(2-PhC_6H_4O)AlEt_2$ for 2 h. The highest activity, 175 kg/mol-Co (turnover number, 3200) was achieved with $(2-PhC_6H_4O)_3Al{\cdot}Co(OAc)_2$ at $65^{\circ}C$ for 2 h. The microstructure of the polymer chains is mostly trans-1,4-configuration (70-75%) with the remaining being 1,2-vinyl. The cis-1,4-configuration observed by IR is minimal (1-5%). By replacing the 2-phenylpheoxo with a 4-alkylphenoxo ligand, the amount of 1,4-configuration slightly increases, resulting in increase in the endothermic melting signal at $-30{\sim}50^{\circ}C$ in the DSC curve. The molecular weights of the polymers are high ($M_n$: 300000~800000) with a fairly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_w/M_n$, 2.0-2.7).

몰리브덴늄 (0)-알카디엔화합물의 합성 및 확인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olybdenum (0) Complexes with Various Alkadienes)

  • 윤석승;최윤동;장인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30-437
    • /
    • 1990
  • 금속원자 반응기를 사용하여 몰리브덴 금속증기와 1,3-butadiene 유도체를 반응시켜서 (${\eta}^4$-CH$_2$CRCR'CH$_2$)$_3$Mo(R, R'= H 또는 CH$_3$)를 합성하였으며, 이 때 생성된 유기금속화합물에 대한 1,3-butadiene 유도체의 메틸치환기 효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몰리브덴 금속증기와 다른 몇 가지 알카디엔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유기금속화합물이 형성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은 공기 중의 실온에서 쉽게 분해 되었다. 또한 (${\eta}^4$-CH$_2$CCH$_3$CCH$_3$CH$_2$)$_3$Mo와 일산화탄소를 반응시켜서 (C$_6$H$_{10}$)$_2$(CO)$_3$Mo를 합성하였으며 이 화합물의 금속-리간드 결합에 관하여 논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