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2-diglyceride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산 마의 지질 성분의 분리 및 분석 (Fraction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Lipid Components in Korean Yam (Dioscorea) Tubers)

  • 정혜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509-515
    • /
    • 1994
  • 한국산 마의 주요 품종인 Dioscorea batatas, D. aimadoimo and D. japonica 3가지 품종의 시료들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든 다음 지질의 추출,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지질의 분획,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한 지질의 분리 및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지방산 조성 등을 행하였다. 총지질의 함량은 D. japonica가 다른 마에 비해 적은 편이었으며, 지질을 분획한 결과 3가지 품종 모두 중성지질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당지질, 인지질 순으로 나타났다. 분획한 각 지방의 구성 지질로는 중성지질이 sterolester, triglyceride, 1,3-diglyceride, 1,2-diglyceride 및 monoglycerid였고, 당지질에서 acylsterylglycoside, sterylglycoside, digalactosyldiglyceride 및 sulfolipid였고, 인지질에서 phosphatidylethanolamine, phosphatidylcholine 및 phosphatidylinositol 이었다. GC에 의한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팔미트산과 리놀레산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포화지방산 함량보다 많았다. 또한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도 총 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 조성과 같은 양상을 보여 주었다.

  • PDF

밤 지질(脂質) 성분(成分)의 분석(分析) -제2(二)보. 구성 지질(脂質) 및 구성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 (Analysis of the Lipid Components in Chestnut(Castanea crenata) -II.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Neutral Lipid , Glycolipid and Phospholipid-)

  • 이종욱;김은선;김동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1호
    • /
    • pp.19-27
    • /
    • 1983
  • 은기(銀寄), 녹조(鹿鳥), 상피(霜被)의 3가지 밤 품종(品種)의 지질(脂質)성분으로 부터 분획한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구성지질(脂質)과 구성지방산(脂肪酸)을 thin-layer chromatography 및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리 정량하였다. 유리지질(遊離脂質) 중의 중성지질(中性脂質)로는 glyceride, free sterol, esterified sterol 주성분이었으나 결합지질(結合脂質)에는 triglyceride는 거의 없었고 free fatty acid와 monoglyceride가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외과육(外果肉)의 유리지질(遊離脂質)에는 triglyceride가 25.7%로 훨씬 많았으나 결합지질에는 거의 함유되지 않은 것이 특이하였고 기타 성분은 미량 존재하였다. 유리지질(遊離脂質)중의 당지질(糖脂質)은 digalactosyl diglyceride, esterified steryl glycoside가 주성분이었으나 결합지질(結合脂質)은 digalactosyl diglyceride가 주성분이었다. trigalactosyl diglyceride가 유리지질에는 극히 적으나 결합지질에는 2.0% 함유되어 있다. 유리지질 중의 인지질(燐脂質)은 lyso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inositol,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glycerol,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결합지질(結合脂質) 중에는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inositol이 주성분이었다.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linoleic acid가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에 각각 49.3%, 45.1%로 제일 많았고 linolenic acid, palmitic acid가 역시 주요 지방산(脂肪酸)이었다. 당지질(糖脂質)과 인지질(燐脂質)에 있어서도 그 경향(傾向)은 비슷하였으나 palmitic acid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포화지방산 함량이 중성지질보다 훨씬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결합지질에 포화지방산 함량이 많았다.

  • PDF

1,3-디글리세리드의 선택적 합성에 있어서 상용 고정화 효소의 영향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Commercialized Immobilized Lipases on the Selective Synthesis of 1,3-Diglyceride)

  • 정대원;조미혜
    • 공업화학
    • /
    • 제21권4호
    • /
    • pp.452-456
    • /
    • 2010
  • 최근 1,3-디글리세리드(1,3-DG)는 트리글리세리드(TG)와 대사 기구가 달라, 체지방으로 체내에 축적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정화 리파제인 Lipozyme을 사용한 1,3-DG의 선택적 합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글리세린과 올레인산(OA)의 몰비를 1 : 2로 고정한 후에 진공 하에서 수행한 에스테르 합성 반응에서 있어서, 반응 온도 및 리파제의 양에 따른 모노글리세리드(MG), DG, TG 및 DG 중의 1,3-DG의 함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또한 리파제의 사용량이 늘어날수록 OA의 감소 속도로 측정한 반응 속도는 빨랐으며, DG 함량이 최대치에 도달한 이후에는 MG, DG 및 TG의 함량에는 많은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ovozym을 사용하여 동일한 실험을 한 기존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반응성은 Novozym 쪽이 높았으나, 1,3-DG의 선택성은 Lipozyme이 월등하게 높아서, $50^{\circ}C$ 반응에서 DG 중의 1,3-DG 함량이 98%에 달했다.

고정화 효소를 이용한 1,3-디글리세리드의 선택적 합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mobilized Lipase-Mediated Selective Synthesis of 1,3-Diglyceride)

  • 정대원;조미혜
    • 공업화학
    • /
    • 제20권4호
    • /
    • pp.443-448
    • /
    • 2009
  • 최근 1,3-디글리세리드(1,3-DG)는 트리글리세리드(TG)와 대사 기구가 달라, 체지방으로 체내에 축적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을 받고 있다.본 논문에서는 고정화 리파제를 사용한1,3-DG의 선택적 합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글리세린과 올레인산(OA)의 몰비를 1 : 2로 고정한 후에 진공 하에서 수행한 에스테르 합성 반응에서 있어서, 반응 온도 및 리파제의 양에 따른 모노글리세리드(MG), DG, TG 및 DG 중의 1,3-DG의 함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또한 리파제의 사용량이 늘어날수록 OA의 감소 속도로 측정한 반응 속도는 빨랐으며, DG 함량이 최대치에 도달한 이후에는 MG, DG 및 TG의 함량에는 많은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응 온도가 높을수록 또는 고정화 리파제를 10 wt% 사용하였을 때는 DG 및 1,3-DG의 함량이 현저하게 저하되면서 TG가 주생성물이 되었다.

식용유(食用油)(해바라기)의 저장후건(貯藏候件)에 따른 지질성분(脂質成分)의 변화(變化) (Changes in the Lipid Components of Edible Oil (Sunflower Seed Oil) under Storage Conditions)

  • 황주호;윤형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25
    • /
    • 1981
  • 국내산(國內産) 해바라기 종자유(種子油)를 사용(使用)하여 가열산화(加熱酸化)에 의(依)한 변화(變化)를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및 중성지질성분(中性脂質成分)의 변화(變化)와 특성(特性)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종자유(種子油) 중에는 중성지질(中性脂質), 당지질(糖脂質) 및 인지질(燐脂質)의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94.1%, 3.2% 및 2.7%였다.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채유직후(採油直後) oleic acid가 59.84%로 가장 많고 linoleic acid는 29.48%로 그 다음으로 많으며 palmitic 및 stearic acid가 각각(各各) 6.21% 및 4.50%였다. 이는 외국(外國)에서 생산(生産)되는 종자유(種子油)와 비교(比較)하면 linoleic acid가 $20{\sim}30%$ 낮은 반면(反面)에 oleic acid는 $20{\sim}30%$정도 높았다. 처리후(處理後) linoleic acid 함량(含量)은 $100^{\circ}C$, $180^{\circ}C$에서 각각(各各) 1.48%, 5.32% 감소(減少)되었으나, oleic, palmitic 및 stearic acid는 상대적(相對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중성지질(中性脂質) 성분(成分)은 triglyceride, d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등(等)의 함량순(含量順)으로 6개(個)의 성분(成分)을 확인 하였고 처리후(處理後)에 있어서는 triglyceride는 감소(減少)한 반면(反面)에 diglyceride 및 monoglyceride는 증차증가(漸次增加)하였다. 또한 free fatty acid는 $100^{\circ}C$에서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으나 $180^{\circ}C$ 16시간(時間) 이후(以後)에는 약간의 감소(減少)를 보였다. 옥도가(沃度價)는 처리후(處理後) 감소(減少)하였으며,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는 $100^{\circ}C$에서 점차(漸次) 계속 증가(增加)하였으나. $180^{\circ}C$에서는 16시간(時間) 까지는 증가(增加)하였으나 그이후(以後) 감소현상(減少現象)을 나타내었다.

  • PDF

오징어 내장유의 에스테르화 반응물질 분석 및 특성 연구 (Study for Alanalysis and Characteristics of Squid Viscera Oil During Transesterification)

  • 노명균;;전병수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55-159
    • /
    • 2007
  • Ethanolysis of squid viscera oil with immobilized lipase was investigated for reducing the free fatty acid contents and enhancing the function of the oil by stepwise addition method of Shinmada[1]. Tendency of oil variation during Ethanolysis showed increased content of diglyceride, monoglyceride and fatty acid ethyl ester with reduced free fatty acid contents. The oil composition was analyzed using GC-FI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ethanolysis. Structural analysis of the lipid was performed by HPLC-UV spectrophotometer during ethanolysis. The transformed oil was thought to has suitable properties for functional oil production.

  • PDF

부잠폐수의 성상과 유출 유지의 성분 (Features of Waste Water form By-Product Silk Treatment and Composition of Extracted Lipid)

  • 남영락;설대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0-102
    • /
    • 1991
  • 제사공정의 부잠사 처리폐수에 대하여 그 성상과 추출 유지성분을 분석한 결과 1. 부잠폐수의 COD 605mgO/$\ell$ 총 용존 고형물량 2,335mg/$\ell$ 총 부유 고형물량 2,234mg/$\ell$이었다. 2. 부잠폐수의 지질에는 triglyceride가 76.8%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으며 유리 지방산 12.5%와 diglyceride 5.7% free sterol 5.0% 순이었다. 3. 부잠폐수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의 함유율이 64.93%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palmitic acid 29.39% stearic acid 4.93%의 순이었다.

  • PDF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의 성상(性狀)과 튀김적성(適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operties and Frying Performance of Domestic Rice Bran Oil)

  • 김점식;염초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7-89
    • /
    • 1983
  •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의 성상(性狀)과 튀김적성(適性)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실험(實驗)을 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즉(卽) 보고(報告)된 바와 같고 외국미강유(外國米糠油)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과도 비슷한 수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LC, column chromatography 및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분석법(分析法)에 의하여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의 mono-, di-, 및 triglyceride 함량(含量)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monoglyceride $1{\sim}4%$, diglyceride $20{\sim}30%$, triglyceride $66{\sim}80%$로서 일반(一般) 식용유(食用油)와는 전연(全然) 다른 glyceride조성(組成)을 나타내었다. 2)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는 monoglyceride 및 diglyceride 함량(含量)이 많기 때문에 비중(比重) 및 수용해도(水溶解度)는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튀김적성(適性)에서 산(酸)값, 색상(色相), 석유(石油)에테르 불용성산화산(不溶性酸化酸), 발연도(發煙度) 등에 큰 영향(影響)을 끼치는 인자(因子)는 아니었다. 3)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는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분석결과(分析結果), 불포화도(不飽和度)가 높은 리놀레산 함량(含量)이 적기 때문에 튀김실험(實驗)에서 안정(安定)된 기름으로 평가(評價)할 수 있으며 대두유(大豆油)의 경우는 역시 중합(重合)이 쉽게 일어나는 결과(結果)를 얻었다. 4)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가 튀김적성(適性)에서 발연도(發煙度)가 낮고, 거품이 심(甚)하게 일어나며, 점도상승(粘度上昇)이 일어나는 현상(現象)은 미강유(米糠油) 중(中)에 함유(含有)된 불순물(不純物)로 인(因)한 것으로서, monoglyceride 및 diglyceride의 영향(影響)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5) 거품이 심(甚)하고, 발연도(發煙度)가 낮은 기름에서는 튀김물의 맛과 외관(外觀)에 나쁜 영향(影響)이 나타났는데, 이는 기름 중(中)에 있는 여러 가지 불순물(不純物)로 인(因)한 것이었다.

  • PDF

분말가쓰오부시의 제조 및 풍미성분에 관한 연구 2. 분말가쓰오부시의 지질성분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Powdered Katsuobushi and Its Flavor Constituents 2. Lipid Components of Powdered Katsuobushi)

  • 오광수;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24
    • /
    • 1989
  • 분말가쓰오부시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질성분을 살펴보기 위해 제품제조 중 일어나는 지질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원료가다랑어의 총지질조성은 중성지질 $79.7\%$, 당지질 $7.8\%$ 및 인지질이 $12.5\%$였고, 자숙 및 훈건처리 등 제조과정 중 인지질은 점차 감소한 반면 중성, 당지질의 조성비는 증가하였다. 분말가쓰오 부시 제품의 조성은 중성지질 $82.5\%$, 당지질 $9.2\%$, 인지질 $8.3\%$였다. 제조과정 중 각 지질획분의 조성변화는 TG, DGD, PC 및 PE 등이 감소하였고 FFA, DG, MGD 등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LPC의 생성도 확인되었다. 총지질의 지방산함량은 추출한 총지질 1g당 23:0을 기준으로 원료가다랑어가 721.8mg, 자숙시료 589.8mg, 1차훈건시료 549.6mg, 분말가쓰오부시제품 473.1mg으로 제품제조 중 약 $35\%$의 지방산이 감소하였다. 각 구성지방산의 변화는 22:6, 20:5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엔산이 절대량으로 약 $43\%$, 모노엔산 $36\%$, 포화산이 $26\%$의 감소를 보였으며, 주요구성지방산은 16:0, 18:0, 16:1, 18:1, 20:5 및 22:6이었다. 분말가쓰오부시 제조중 중성, 당, 인지질의 지방산조성의 변화는 획분별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22:6, 20:5, 20:4 같은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는 감소한 반면, 포화산의 조성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모노엔산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 PDF

괭이 갈매기(Larus crassirostris vieillot) 알의 EPA 및 DHA 함량 (Presence of Eicosapentaenoic and Docosahexaenoic Acids Content of Gull (Larus crassirostris vieillot) Eggs)

  • 차재영;김성규;홍순복;최용락;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93-495
    • /
    • 1999
  • Eicosapentaenoic (EPA, 20:5) and docosahexaenoic (DHA, 22:6) acids of gull egg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PA and DHA were 2.25% and 4.35% in the total fatty acid of gull eggs. 2. Triglyceride fractions in the fatty acids had 0.56% in EPA and 1.59% DHA. 3. Diglyceride fractions contained 1.10% EPA and 1.97% DHA. 4. Phospholipid fractions had the most abundant amounts of 4.26% EPA and 8.13% DH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