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feron

검색결과 982건 처리시간 0.034초

만성 C형 간염에 대한 ${\alpha}$-interferon 치료 후 ALT치의 변화 (Effect of ${\alpha}$-Interferon Treatment on Serum ALT Level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 이헌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90-196
    • /
    • 1993
  • HCV에 감염된 환자중 반이상은 만성간염 환자로 이행되며 이중 20% 정동서는 간경변증 환자가 된다고 하며 그 외 간세포암 발생과의 관련성도 높다고 한다. 혈청으로 인한 각종 감염경로를 차단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확실한 C형 간염의 관리방법이긴 하나 약 반수정도의 환자는 산발형의 감염으로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만성 C형 간염의 치료는 주요한 과제의 하나이며 최근 interferon 제제로 치료하여 ALT치의 정상화, 혈청 HCV RNA의 소실 및 간조직검사상의 상태개선이 가능하다는 국외의 희망적 보고들이 계속되고 있음은 다행한 일이며 이 보고내용에는 간편한 ALT치 검사가 치료경과 관찰 및 판정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저자는 1991년 5월부터 1992년 9월 사이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에 내원하여 혈청 anti-HCV가 양성이며 임상적으로 최기간경변증 및 간조직검사상 만성간염 진단된 환자 16명에 대해 ${\alpha}$-interferon 300만 단위를 주 3회, 1-9(평균 4.0)개월동안 피하주사하고 그후 1-18(평균 7.0)개월후까지의 ALT치를 조사하였다. 치료중 대부분의 환자에서 ALT치의 감소가 있었으나 2명에서는 치료중 다시 상승되었다. 치료중단 후 6개월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정상 ALT치를 보인 경우에는 9명중 4명(44.4%)였다. 대부분 환자에서 ALT치의 정상화는 치료시작후 1개월 전후에 관찰되었으며 치료중 ALT치의 파동이 있거나 늦게 정상화된 환자에서는 치료중단 후에도 ALT치의 파동이 있거나 정상 ALT치가 유지되지 않았다. 따라서 만성 C형간염 환자에서 ${\alpha}$-interferon의 치료는 간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나 더 나은 성적을 위해서는 투여양과 기간을 치료에 따른 환자의 검사결과에 따라 변화시켜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지고 이 치료에 전혀 반응이 없는 환자들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치료 후 장기간의 경과관찰, HCV RNA 검사 및 HCV genotyne에 관한 연구로서 만성 C형 간염에 대한 ${\alpha}$-interferon 치료효과를 더 정확히 평가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최근에는 만성 C형간염의 ${\alpha}$-interferon 치료 후의 장기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조건들 즉 나이, 간경변의 유무, 치료전 NCV-RNA양 및 HCV와 genotype 등이 관심이 대상이 되기 시작하였으므로 향후 이점들에 대해서도 관찰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 만성 B형 간염 환아에서 Interferon-${\alpha}$의 용량 차이 및 재치료에 따른 치료 효과 비교 (The Comparison of Interferon-${\alpha}$ Treatment by Dosages and Retreatment for Chronic Hepatitis B in Children)

  • 장창환;이경희;황위경;오기원;박우생;이준화;고철우;최병호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6권2호
    • /
    • pp.152-160
    • /
    • 2003
  • 목 적: 소아의 만성 B형 간염 치료에 interferon-${\alpha}$의 일정한 치료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interferon-${\alpha}$의 용량 차이에 따른 치료 효과 및 초치료와 재치료에 따른 치료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방 법: 1990년 3월부터 1999년 8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였던 환아(2~14세) 중 6개월 이상 HBsAg, HBeAg 및 HBV DNA가 양성이고, 혈청 ALT치가 상승되어 있는 5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27명에게 interferon-${\alpha}$ $3MU/m^2$ ($2.66{\pm}0.66\;MU/m^2$)를 투여하였고 24명에게는 $6\;MU/m^2$ ($4.45{\pm}0.94\;MU/m^2$)을 주 3회씩 6개월(6~12개월)간 피하 혹은 근육 주사하였다. interferon-${\alpha}$ 초치료 평균용량은 $3.50{\pm}1.20\;MU/m^2$이었고 평균 치료 기간은 7개월(6~12개월)이었다. 초치료에 반응이 없었던 환아 중 12명을 대상으로 다시 interferon-${\alpha}$ 재치료를 시행하였다. 재치료 평균 용량은 $3.62{\pm}1.51\;MU/m^2$이었고 평균 치료 기간은 7개월(6~12개월)이었다. 용량 차이를 보인 두 군 사이에 성별, 연령, 치료기간, 치료전 ALT치와 HBV DNA 등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초치료, 재치료 두 군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과: 치료 시작 1년 후 시점에서 interferon $3\;MU/m^2$로 치료한 27명 중 11명(41%)에서 ALT의 정상화를 보였고 9명(33%)에서 HBeAg이 anti-HBe로 혈청전환이 되었다. 한편 $6\;MU/m^2$ 치료군 24명 중 에서는 12명(50%)에서 ALT의 정상화를 보였고 7명(29%)에서 혈청전환이 되었는데 두 군 사이의 치료성적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nterferon $3\;MU/m^2$ 치료군에서 발생한 부작용으로는 발열 14례(52%), 백혈구 감소증 10례(37%)였으며 모든 경우에서 특별한 조치 없이 회복되었다. 한편 interferon $6\;MU/m^2$ 치료군에서는 발열 16례(67%), 백혈구 감소증 8례(33%), 혈소판 감소증 1례(4%), 갑상선 기능 저하증 2례(8%)가 있었다. 치료와 관련된 부작용도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nterferon-${\alpha}$ 초치료군 51명 중 23명(45%)에서 ALT의 정상화를 보였고 16명(31%)에서 혈청전환이 있었으며 재치료군은 12명 중 3명(25%)에서 ALT의 정상화 및 혈청전환이 있었다. 결 론: Interferon-${\alpha}$ $3\;MU/m^2$ 치료군과 $6\;MU/m^2$치료군을 비교했을 때 ALT의 정상화 및 혈청전환에서 의미 있는 치료 효과의 차이를 찾을 수 없었다. interferon-${\alpha}$ 재치료는 초치료만큼의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인터페론 치료 후 녹내장 발생 여부의 전향적 연구 (Prospec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laucoma after Interferon alfa Therapy for Chronic Hepatitis B)

  • 권영세;최연호;홍성범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3권2호
    • /
    • pp.169-174
    • /
    • 2000
  • 목 적: 만성 C형 간염 환자에서 인터페론 치료후 녹내장이 발생하였다는 보고가 전세계적으로 1례 있어왔다. 최근 저자들도 15세된 만성 B형 간염 환자에게 인터페론 투여 후 녹내장이 생긴 예를 경험한 바 있어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인터페론 치료와 녹내장 발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전향적으로 시행하였다. 방 법: 1998년 2월부터 1999년 7월까지 인하대학교 병원에서 만성 B형 간염으로 진단 받고 인터페론 알파를 투여받은 9명의 환아(남아 4명, 여아 5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인터페론 투여 전, 투여 3개월 후, 6개월 후 안과적 검사를 통하여 시력검사, 안압, C/D비, 시야검사를 측정 비교하였다. 결 과: 1) 대상환아들의 평균 연령은 $11.7{\pm}4.1$세, 투여기간은 6개월이었고 평균 투여량은 5백만 단위였다. 2) 각 환아들의 인터페론 투여 전 시력, 안압, C/D비를 투여 3개월 후, 6개월 후에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3) 시야검사에서는 시야결손은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다. 결 론: 만성 B형 간염 환아에게서 인터페론 치료 후 녹내장이 발생하여, 이후 9명의 만성 B형 간염 환아를 대상으로 인터페론 치료 후 안압증가 여부 등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인터페론 투여 후 녹내장 및 안과질환 발생 가능성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Interferon consensus sequence binding protein : Not essential for interferon α-mediated antiviral response to vesicular stomatitis virus infection in HL-60 cells

  • Park, Byung-Kiu
    • IMMUNE NETWORK
    • /
    • 제1권2호
    • /
    • pp.109-115
    • /
    • 2001
  • Background: The role of the interferon consensus sequence binding protein (ICSBP), a member of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family, in protecting against a vesicular stomatitis virus (VSV) infection has not been firmly elucidated. Thus, it was investigated utilizing the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HL-60 cells which do not express ICSBP. Methods: HL-60 cells were stably transfected with plasmid containing cDNA for either ICSBP or DNA binding domain (DBD) and tested for their VSV-susceptibilities. The susceptibility of each transfectant group to a VSV infection was determined by a plaque assay at 1 h, 24 h, and 48 h post-infection in the presence (500 IU/ml) or absence of interferon ${\alpha}$ ($IFN{\alpha}$). Results: In the absence of $IFN{\alpha}$, the three groups showed similar sensitivities to a VSV infection. However, when pre-treated with IFN, the viral titers in both the ICSBP and control clones steadily decreased over 48 h of incubation, indicating the existence of $IFN{\alpha}$-mediated protection against VSV infection. The $IFN{\alpha}$-treated ICSBP clones appeared to be more resistant to infec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clone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great. On the contrary, the viral titers in the $IFN{\alpha}$-treated DBD clones increased at 24 h then decreased by 48 h. Conclusion: The expression of truncated ICSBP (DBD) does not appear to underlie the impaired protection against a VSV infection in the DBD clones, since even the control clones lacking ICSBP were protected from a VSV infection. This suggests that ICSBP does not play a critical role in the $IFN{\alpha}$- mediated anti-VSV response of HL-60 cells, although it appears to confer some resistance to a VSV infection.

  • PDF

Changes in Hematological Parameters with Pegylated Interferon in Chronic Hepatitis C Virus Infected Patients

  • Rehman, Aziz Ur;Ali, Farhad;Ali, Mashhood;Alam, Ibrar;Khan, Abdul Wal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5호
    • /
    • pp.2485-2490
    • /
    • 2016
  • The liver is one of the most common sites of cancer in the world,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predominating. HCC is the sixth most common cancer and the third leading cause of cancer related death overall. Hepatitis C is a major risk factor and HCV is a rapid spreading virus which has become a problem globally, including in Pakistan. Interferon alpha therapy is used against HCV disease to regulate cell reproduction and to boost the immune system. In minute amounts interferon alpha is produced naturally by the immune system in HCV patients in response to hepatitis C virus and binds to receptors in the target cells and starts transcription of 20-30 genes due to which it develops an antiviral influence. Interferon is also administered artificially to overcome HCV disease and remove the biological effect of the virus from the infected site. The use of interferon or Peg-IFN plus Ribavirin treatment is also associated with adverse effects on body. For the current study, a convenient sample of 156 HCV positive patients of both males and females were taken. To collect blood CP and ALT, a reduction of level data and other important information were collected from the patients at regular intervals. Findings were 11.4 % in the red blood cells (RBC), 9.64 % in the total leukocyte count (WBC), 8.4 % in the hemoglobin levels (HB), 30.3 % in the platelet (Plt) count in both sexes. There was significant reduction in ALT levels due to Pegylated interferon plus ribavirin therapy. Hence strict haemotological monitoring of blood CP and ALT levels is necessary at regular intervals to reduce severe side effects which may lead to morbidity and mortality.

코돈 최적화된 유전자를 이용한 재조합 대장균으로부터 인간 인터페론 베타 발현 (Production of Human Interferon β by Recombinant E. coli Using the Codon Optimized Gene)

  • 김종석;장승원;박재범;권덕호;장영준;정형무;한상인;홍억기;하석진
    • KSBB Journal
    • /
    • 제32권1호
    • /
    • pp.16-21
    • /
    • 2017
  • The multiple sclerosis caused by multiple inflammatory disease or immune system disorder, is usually treated by interferon ${\beta}$ through adjusting the abnormal immune reactions. For high production of human interferon ${\beta}$ using recombinant E. coli, codon optimized and wild type genes were synthesized. When pET-15b or pET-21a vector was used as an expression vector with each gene, there was no target protein expression. When pQE30 vector was used as an expression vector, human interferon ${\beta}$ was expressed by recombinant E. coli XL1-blue and E. coli JM109. Using the codon optimized gene, the expression of human interferon ${\beta}$ was slightly increased as compared to that from wild type gene. However, most of expressed human interferon ${\beta}$ was insoluble form.

제브라피쉬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10의 주사에 따른 면역 유전자 발현과 VHSV에 대한 방어 효과 (Immune gene expression and protection effect against VHSV by injection of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10 in zebrafish (Danio rerio))

  • 김혜지;김진영;박종빈;이지현;박정수;김형준;권세련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3-29
    • /
    • 2021
  • Interferon regulatory factors (IRFs) are a family of transcription factors essential to the control of antiviral immune response, cell growth,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IRF10 of zebrafish (Danio rerio) was negative regulation of the interferonΦ1 and 3 response in vitro.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induction of in vivo immune response activation from the IRF10 gene of zebrafish and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VHSV. As the results, the group inoculated with IRF10 expression vectors, there was no expression of IFNΦ1, suggestion that IRF10 may function as a negative regulator of IRF3, which binds to the IFNΦ1 promoter. And other types of interferon genes (IFNΦ2-4) are thought to have been activated, inducing to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Mx genes. As the results of challenge test performed at 14 days after inoculation of the expression vectors, the maximum survival rate [50% (1㎍ DNA) and 42.5% (10㎍ DNA)] for IRF10 group were recorded. Meanwhile, the survival rates of pcDNA3.1 and PBS as the control groups were 10% and 15%, respective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ssibility that activation of IRF10 molecule could be exploited as a VHS control method.

인터페론감마에 의한 A549 폐암세포주 세포독성의 기전 (The Mechanism of Interferon-$\gamma$ Induced Cytotoxicity on the Lung Cancer Cell Line, A549)

  • 오연목;유철규;정화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1호
    • /
    • pp.63-68
    • /
    • 1996
  • 연구배경: 인터페론감마-(interferon-$\gamma$)는 항바이러스 효과, 암세포의 형증식 효과, 대식세포 및 B 림프구의 활성화, 주면역복합체(MHC) 항원 발현의 증가 등의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인터페론감마의 항암 효과는 이미 생체 내외에서 입증되어 실제 폐암 환자에 대한 임상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페론감마의 항암효과 기전은 여러가지 가설이 제시되기는 하고 있지만 아직 확립된 것이 없다. 세포의 괴사(necrosis)는 심한 외부의 스트레스에 의해서 발생하는 세포 사망의 형태로 잘 알려져 있다. 생명현상 중 괴사와는 전혀 다른 세포 사망의 과정으로 아포프토시스(apoptosis)가 있다. 아포프토시스는 조직의 항상성(homeostasis of tissue volume), 개체의 발생과정, 장기의 퇴행(regression), tolerance 등의 여러 생명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포 사망의 과정으로서, 세포질 및 핵이 분절화(fragmentation)되어 죽어가는 능동적 사망과정으로 알려져 있다. 아포프토시스에서는 수동적으로 죽어가는 괴사에서 볼 수 없는 DNA 분절화(DNA ladder pattern)가 특징적으로 관찰된다. 인터페론감마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기전을 연구하기 위해서 인터페론감마를 폐암세포주인 A549세 처치한 후 현미경(inverted microscope)로 A549의 변화를 관찰하였는데 A549세포가 분절화되면서 죽어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저자들은 인터페론감마의 항암기전으로서 아포프토시스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폐암세포주인 A549세포를 대상으로 하였다. A549세포에 여러 농도의 인터페론감마를 투여하고 24시간, 72시간, 120시간 후에 MTT(dimethylthiazolyl diphenyltetrazolium bromide) bioassay법으로 세포독성을 정량화하였다. 그리고, 100 unit/ml의 인터페론감마를 A549 세포에 120시간 처치 후, 광학 현미경으로 세포 사망의 양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100 unit/ml의 인터페론감마를 투여하고 120시간이 경과한 후 사망 세포의 DNA를 추출하여 1.5% agarose gel에서 전기 영동을 시행하고 ethidium bromide로 염색 후 DNA ladder pattern 유무를 관찰하였다. 결과: 1) 인터페론감마에 의한 A549 폐암세포주의 세포독성 효과는 24시간에는 거의 없다가 72시간부터 120시간 사이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120시간에는 더 증가하였다. 2) 인터페론감마에 의한 A549 세포의 사망 양상은 광학현미경상 A549 세포들이 작은 분절로 나뉘면서 사망하였다. 3) 인터페론감마를 A549 폐암세포주에 처치 후 죽어기는 세포의 DNA를 추출하여 전기영동시킨 결과 아포프토시스(apoptosis)에서 특징적으로 보이는 DNA ladder pattern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인터페론감마(interferon-$\gamma$)의 A549 폐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의 기전은 아포프토시스 과정을 통해서 일어난다.

  • PDF

돼지 Leucocyte Interferon 생산(生産)에 대한 기초연구(基礎硏究) (Preliminary Studies on Production of Porcine Leucocyte Interferon)

  • 전무형;정운익;박봉균;김교준;이헌준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153-161
    • /
    • 1985
  • 고단위(高單位)의 porcine leucocyte interferon(For IFN-${\alpha}$)을 대량생산(大量生産)하기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써 백혈구(白血球) 분리법(分離法), 백혈구(白血球)의 성상(性狀) 및 inducer에 따른 IFN 생산효과(生産效果) 시험(試驗)을 하였고 Por IFN-${\alpha}$의 역가측정(力價測定)을 micro-system에 확립(確立)하기 위해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돼지 말초백혈구(末梢稍白血球)를 분리(分離)하기 위해서 4 가지 방법(方法)을 응용(應用)하던 바 백혈구(白血球) 분리법(分離法)은 buffy coat 方法에서 가장 높았으나 적혈구(赤血球) 혼입율(混入率)이 높았고 Ficoll-paque 방법(方法)에서는 백혈구(白血球) 분리율(分離率)은 중등도(中等度)였으나 적혈구(赤血球) 혼입율(混入率)은 가장 낮았다. 2. 말초백혈구(末梢白血球)와 비장세포(脾臟細胞)의 활성도(活性度)는 IFN 생산(生産)에 영향(影響)을 주었으며 세포활성도(細胞活性度)가 높을수록 IFN 생산효능(生産效能)이 높았으며, 적혈구(赤血球)의 혼입도(混入度)가 높을수록 IFN 생산효능(生産效能)은 낮았다. 말초백혈구(末梢白血球)는 비장세포(脾臟細胞)에 비해 1.7배(倍)의 높은 IFN 생산효과(生産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3. Inducer로 사용(使用)된 Sendai virus(Cantell 주(株))는 Newcastle disease virus(Lasota 주(株)) 보다 IFN 생산효과(生産效果)가 5.5 배(倍) 높았다. 4. 본(本) 시험(試驗)에서 확립(確立)된 micro-IFN assay 법(法)의 재현성(再現性)을 검사(檢査)한 바 4회반복시험(回反復試驗)에서 편차(偏差)는 0.05~0.21로 나타났다. 5. 시험생산(試驗生産) 9롯트의 IFN 역가(力價)는 330 내지 4,700 unit/ml로써 평균(平均) 1,200 unit/ml이었다.

  • PDF

페그-인터페론 치료를 받는 C형 간염 환자의 우울 예측요인 (The Depression Predictors among Patients with Peg-interferon Treated Hepatitis C)

  • 김하나;이은남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14-222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among patients with hepatitis C treated with Peg-interferon. Methods: The subjects were 134 patients treated with Peg-interferon after the diagnosis with hepatitis C at the D University Hospital and 3 hospitals located in Busan, South Korea.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were identified by measur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ir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sleep disorders, and degree of side effects by interfer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 t-test,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18.0 program. Results: Sixty-six point four percent of the subjects suffered from mild to more severe depression. Fatigue, hair loss, itching, and sleep disorder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In addi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was 70%. Conclusion: Sleep disorders and drug side effects were determin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hepatitis C patients treated with Peg-interfero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aimed to prevent depression by effectively managing sleep disorders and side effects is mandated in future to help the given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