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ylase

검색결과 1,870건 처리시간 0.03초

YEp 13 vector를 이용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amylase gene의 cloning I. Escherichia coli에서의 발현 (Cloning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amylase gene using YEp13 as a vector I. Expression of cloned amylase gene in Escherichia coli)

  • 이창후;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5-160
    • /
    • 1986
  • E. coli-Yeast shuttle vector YEp 13에 B. amyloliquefaciens의 $\alpha$-amylase gene을 cloning하여 얻은 hybrid plasnidlasmid를 E. coli를 숙주세포로 하여 형질을 발현시켰다. 형질전환주의 $\alpha$-amylase 활성 측정 결과, B. amyloliquefaciens에 대해 20-30%의 상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형질전환주의 경우 생성된 $\alpha$-amylase의 60-65%가 periplasm에 축적되었으며 세포 외부로의 분비는 없었다. Hybrid DNA를 agarose-gel 전기영동으로 조사한 결과 그 크기가 다른 다수의 hybrid DNA가 확인되었으며 pHA28의 plasmid (a)(Fig.3)에서만 $\alpha$-amylase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pHA28의 plasmid(a)의 크기가 YEp 13 plasmid DNA보다 작은 것은 YEp13 plasmid에서 yeast gene부분이 deletion된 결과로 추측되었다.

  • PDF

YRp7 vector를 이용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amylase gene의 cloning I I.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발현 (Cloning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amylase gene using YRp7 as a vector II. Expression of cloned amylase gen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서정훈;김영호;전도연;배영석;홍순덕;이종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3-218
    • /
    • 1986
  • B. amyloliquefaciens의 $\alpha$-amylase 유전자가 S. cerevisiae 내에서 형질발현하는 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YRp7 plasmid에 B. amyloliquefaciens amylase유전자를 cloning하여 만든 pEA24를 형질전환시켰다. 먼저 YRp7 plasmid를 이용하여 형질전환 최적 조건을 검토하여 본 바, PH 7과 8사이, 반응온도 3$0^{\circ}C$에서 40%의 polyethylene glycol(MW 4,000)을 처리한 후 2 %의 agar를 함유한 재생배지에 중층도말 하였을 때 형질전환율이 가장 높았다. 형질전환주로부터 생성된 amyl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S. cerevisiae에서 약간의 amylase활성을 나타내어 최고 B. amyloliquefaciens의 2% 정도였고, 세포외효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들 형질전환 주가 가지고 있는 pEA24 plasmid의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YRp7보다 불안정하였으며, 추출한 DNA를 전기영동하여 그 band를 확인하였다.

  • PDF

YEp 13 vector를 이용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amylase gene의 cloning II.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의 발현 (Cloning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amylase gene using YEp 13 as a vector II. Expression of cloned amylase gen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김관필;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9-212
    • /
    • 1986
  • YEp 13 plasmid에 B. amyloliquefaciens의 $\alpha$-amylase gene을 cloning시켜서 얻은 hybrid plasmid를 E. coli C 600으로 형질전환시켜서 amylase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E. coli C 600균주를 plasmid추출하여 전기영동해 본 결과 plasmid가 매우 불안정하였으며, 그중 가장 단순한 plasmid band를 지니고 있으며 amylase활성이 강한 E. coli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의 균체내에 있는 2개의 plasmid DNA를 분리하여 각각의 plasmid를 pTG 17-1, pTG 17-2로 명명하였으며 S. cerevisiae MC 16에서 형질전환이 가능한 pTG 17-2 DNA를 제한효소 EcoRI과 Pst I으로 restriction한 결과 EcoRI으로 처리한 경우는 7.3, 4.8, 2.4 kb인 3개의 분획으로 나타났으며 Pst I으로 처리한 경우는 linear로 14.5kb임을 알았으며 이로써 pTG 17-2 plasmid의 size가 약 14kb임을 알았다. 또한 E.coli균체내에서의 ampicillin sensitive로써 이 plasmid의 ampicillin resistance site가 결실되었음을 알았고 효모의 형진전환체로 부터의 $\alpha$-amylase는 균체외로 분비되지 않았고 효모균체내의 $\alpha$-amylase는 Somogyi-Nelson방법과 Agar diffusion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 PDF

$\alpha$-Amylase 생산성이 높은 Bacillus sp. HG4의 분리 및 효소 특성 (Isolation of $\alpha$-Amylase Hyperproducing Strain HG4 from Bacillus sp. and Some Properties of the Enzyme)

  • 김무성;오평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64-469
    • /
    • 1991
  • $\alpha$-Amylase를 생산하는 Bacillus sp. 2B를 토양에서 분리하였으며 이 균주에 반복적으로 돌연변이원인 NTG를 처리하여 효소생산성이 증대된 변이주를 유도하였다. $\alpha$-Amylase 고 생산성 균주의 효율적인 획득방법으로 glucose에 의한 $\alpha$-amylase의 생성억제를 받지않는 변이주를 분리한 결과, 효소생산성이 약 30배 향상된 변이주 Bacillus sp. HG4를 획득하였다. 이 균주는 lactose를 탄소원으로 하여 최대 효소생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빠른 균체성장 및 최대 효소생성시기에 균체 lysis가 적은 점 등 산업적으로 사용하기에 유리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구속스트레스에 의한 백서 악하선의 Amylase 분비 변화 (Change of the Amylase Secretion on the Rat Submandibular Gland in the Restraint Stress Condition)

  • 구한미;어규식;전양현;홍정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57-67
    • /
    • 2007
  • 현대인들에게는 다양한 증상과 징후를 나타내는 스트레스성 질환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 시에 구강 내에는 구강건조이나 구강작열감증후군, 구강점막질환, 구취 등이 호발 된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때 대부분의 환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타액선의 기능적 및 구조적 변화에 따른 타액성분의 변화이다. 이에 저자는 스트레스가 구강 내 타액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타액선으로부터 분비되는 ${\alpha}$-amylase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 1. 구속 스트레스에 의하여 타액선 조직은 선포세포가 공포화되며 변성되었고, 선포간극이 이개되었으며, 도관주위조직도 변성되었다. 2. 구속 3시간 후에는 선포세포가 위축되기 시작하였고, 구속 6시간 후에는 선포 간 이개현상이 관찰되었으며, 구속 72시간 후에는 도관 주위 조직도 변성되기 시작하였고, 점차 심화되어 구속 168시간 후에는 선포와 도관 주위조직이 모두 심하게 변성되었다. 3. 면역조직화학적 검사에서 구속 3시간 후에는 amylase의 발현이 부분적으로 불규칙하게 관찰되었으며, 구속 6시간 후에는 다소 감소되었고, 구속 12시간 후에는 amylase가 부분적으로 응집되었으며, 점차 감소되고 응집되어, 구속 48시간 후에는 전 타액선에 amylase의 응집현상이 심화되었고, 구속 168시간 후에는 amylase의 발현이 매우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서적인 스트레스를 받으면 타액선이 변성될 수 있으며, 타액선으로부터 분비되는 중요한 소화 효소인 amylase가 변화되어 소화 장애를 일으키거나 구강건강과 관계없이 구취발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어, 향후 amylase의 분비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무의 α-Amylase 활성 및 가공 안정성 (α-Amylase Activity of Radish and Stability in Processing)

  • 조은혜;최아름;최선주;김소영;이건순;이수성;채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12-815
    • /
    • 2009
  • 소화 촉진 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무의 건조방법, 온도, pH 등의 가공조건이 ${\alpha}$-am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동결건조 한 무 뿌리와 무 줄기의 ${\alpha}$-amylase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무 뿌리가 무 줄기의 3.1배 높은 수준의 활성을 보였다. 무를 pH와 온도를 달리하여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pH 범위가 $4{\sim}7$이며 온도가 $25{\sim}40^{\circ}C$일 때 ${\alpha}$-amylase 활성이 높았다. 무의 ${\alpha}$-amylase는 산성이나 중성 조건에서 처리하고 $60^{\circ}C$ 이하의 온도로 가열처리하여야 활성을 유지하였다. 무를 깍두기와 단무지의 형태로 가공하였을 때 무의 ${\alpha}$-amylase 잔류활성은 각각 15.39%와 19.193%이었고 초절임무에서는 ${\alpha}$-amylase의 활성이 대부분 소실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무의 소화효소인 ${\alpha}$-amylase 활성은 열과 pH등의 가공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6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과 중성이나 약산성에서 ${\alpha}$-amylase 효소의 활성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리 종자의 α-아밀라아제 활성에 미치는 Dimethipin의 영향 (Effects of Dimethipin on α-amylase Activity of Barley Seeds)

  • 이준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9-414
    • /
    • 2007
  • Effects of dimethipin on ${\alpha}$-amylase activity of barley seeds were investigated. In the treatments of $1{\mu}M\;and\;10{\mu}M$ dimethipin, the indexes of germination were reduced to 17% and 24 % respectively. After seed germination, dimethipin was added to germinated seedlings and then the seedlings were kept to measure seedling length under illumination for 7 days. In control, the length of seedling was 5.7 cm, but in the treatments of $1{\mu}M$ dimethipin and $10{\mu}M$ dimethipin, seedling lengths were 5.5 cm and 1.2 cm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methipin concentrations and ${\alpha}$-amylase activities, there was a linear curve. The more dimethipin was added to the seeds, the more ${\alpha}$-amylase activities were inhibited. In the treatments of $1{\mu}M$ dimethipin and $10{\mu}M$ dimethipin, ${\alpha}$-amylase activities were reduced to 33% and 71% respectively. Dimethipin also inhibited ${\alpha}$-amylase activities increased by gibberellin and the content of soluble protein.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dimethipin might inhibit directly the activities of hydrolysis enzymes including ${\alpha}$-amylase or the expression of ${\alpha}$-amylase genes as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were severely disturbed.

열처리된 효모의 생육에 미치는 인삼 Saponin의 영향 -Saccharomyces rouxii가 생산한 Amylase의 열변성에 대한 보호작용-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The Growth of Heat-Stressed Yeast Saccharomyces rouxii - Protective Effect of Saponin on The Heat Denaturation of The Amylase Produced by Saccharomyces rouxii-)

  • 오영숙;이갑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91-595
    • /
    • 1990
  • 인삼saponin이 Saccharomyces rouxii의 생육속도나 고온충격으로부터의 정상회복속도를 크게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한 바 있다. 이러한 촉진효과의 원인을 추정하기위해 인삼saponin이 S. rouxii가 생산한 amyl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이나 그 효소의 열변성에 미치는 보호효과를 조사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S. rouxii가 생산한 amylase의 환성은 pH 6.5에서 5$0^{\circ}C$로 반응시킴으로써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인삼saponin을 0.01% 첨가한 경우 amylase의 활성이 무첨가구에 비해 23% 정도 촉진되었으며, 인삼saponin 0.01%를 첨가한 경우 7$0^{\circ}C$로 가열처리시켜도 amylase의 활성이 무첨가 처리구에 비해 그 잔존활성 기준으로 28%나 열변성으로 부터 보호될 수 있었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보아 heat stress 받은 효모의 정상회복은 인삼saponin이 효소의 환성이나 효소의 열안정성에 기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 Sr2+ ] Stimulation of α-amylase and RNAse in Wheat Aleurone Layer

  • Kim, Tae-Wa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0-293
    • /
    • 2003
  • To measure an effects of strontium on secretion of ${\alpha}$-amylase and RNase, wheat aleurone layers were isolated after the pre-incubation in a solution with or without 10 mM $SrCl_2$ or $CaCl_2$ for 3 days at $25^{\circ}C$ in the dark under aseptic conditions. The secretion of ${\alpha}$-amylase reached a maximum at 72 h after incubation. $Sr^{2+}$ induced more effectively secretion of ${\alpha}$-amylase than $Ca^{2+}$. The ${\alpha}$-amylase secretions by $Sr^{2+}$ or $Ca^{2+}$ ware about $2 (Ca^{2+})$ to $2.5 (Sr^{2+})$ fold higher than it without divalent ions, When aleurone layers were incubated without divalent ions, however, the ${\alpha}$-amylase was remarkably retained in the tissues. Total ${\alpha}$-amylase synthesis (ie. tissues + media) was slightly lowered by 10mM $SrCl_2$ addition. It seemed that the RNase secretion begins at 18 h after incubation. This meaned that the RNase secretion may process slower than ${\alpha}$-amylasee secretion. $Ca^{2+}$ effect on RNase secretion is stronger than $Sr^{2+}$ unlikely to ${\alpha}$-amylase. The secretion process is likely to be suddenly induced between 72 hand 96 h.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ecretion was enhanced after the accumulation in aleurone layers.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i에 의한 쌀 Koji제조시 당화효소의 생산조건 (Cultur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Saccharogenic Amylase During Rice-Koji Making by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i)

  • 오명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4-300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cultural conditions of koji on the production of saccharogenic amylase during rice-koji making by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i which is now widely used as koji-mold in brewing Tikju and Yakju in Korea. The optimum cultural temperature for the production of saccharogenic amylase by this mold was 36$^{\circ}C$, and at this temperature it needed 40 hours of cultivation for maximum production of this enzyme. It was favorable for high production of both organic acid and saccharogenic amylase to shift the cultural temperature form initial 36$^{\circ}C$ to 32$^{\circ}C$ after 20~25 hours of cultivation. The production of saccharogenic amylase was low when the water content of steamed rice was below 35%, but its production was high at 40~60% of water content. When the quantity of conidial inoculation was too small, the production of saccharogenic amylase was low in initial phase, but it was retrived after 40 hours of cultivation. When koji-thickness was over 3cm, the production of saccharogenic amylase was markedly restricted. The saccharogenic amylase of this koji was stable at pH 2~7, and showed high activity at pH 2~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