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438A/G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6초

군소내장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Internal Organs of Aplysia kurodai Fractions)

  • 신미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433-1438
    • /
    • 2010
  • 본 연구는 해양생물 중 페기되어지인 군소내장을 추출하고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항산화 효과 및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효과를 알아 본 결과 AKMB층이 $286.66\;{\mu}g/mL$에서 50%의 DPPH free radical의 소거활성을 보여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ROS 제거활성 측정 결과에서도 AKMB층이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54.73\;{\mu}g/mL$에서 50%의 ROS 제거 활성을 나타내었고, $ONOO^-$ 제거활성 역시 AKMB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65.64\;{\mu}g/mL$에서 50%의 $ONOO^-$ 제거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한 항균효과 실험결과, Proteus vulgaris의 경우는 AKMH층과 AKMM층의 두층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외 사용한 모든 균주에서는 AKMM층에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항산화효과는 군소내장의 부탄올 분획층인 AKMB층에서 가장 높았으며, 항균효과는 주로 메탄올 분획층인 AKMM층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군소내장의 AKMB층과 AKMM층에서 항산화 활성과 항균력을 나타내는 효과적인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지며, 앞으로 더욱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물질들의 분리를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활성성분을 이용한 식품 저장성과 안전성 향상을 위한 항산화제, 식품첨가제 및 천연 식품 보존제 등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되어진다.

초기 성인기 우울증에 대한 유전적, 환경적 요인의 영향 (Effects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Depression in Early Adulthood)

  • 김시경;이상익;신철진;손정우;엄상용;김헌
    • 생물정신의학
    • /
    • 제15권1호
    • /
    • pp.14-22
    • /
    • 2008
  • 우울 장애는 유전적 요인과 함께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정신 장애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로토닌 체계와 연관된 유전적 요인과 생활사건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초기 성인기 우울 장애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우울 장애의 원인론에 있어 유전자${\times}$환경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534명의 대학 신입생을 종적으로 추적 조사하여 생활사건 빈도와 중요도, 우울 척도와 불안 척도를 조사하였으며 전화 면담을 통해 DSM-IV 우울 장애 여부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150명이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이전 연구로 확인된 TPH1 유전형과 함께 보관되어 있던 대상군의 DNA를 이용하여 SNaPshot$^{TM}$ 방식으로 TPH2, 5HTR2A 유전자를 추가 분석하였다. 유전자 정보와 생활사건 특성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과 상관 분석, 카이 자승 분석을 사용하였다. TPH1 유전형 중 C 대립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는 집단과 달리 C 대립 유전자가 존재하는 집단에서는 생활사건 빈도가 우울 장애 유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영향은 다른 대립 유전자나 유전형을 보이는 집단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TPH1 유전형은 생활사건 이후 우울 장애 발생의 유의미한 예측 요인임을 시사한다. 이는 우울 장애의 유전${\times}$환경 상호작용에 TPH1 유전자가 작용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 PDF

Leucaena Seeds as Protein Supplement in the Rations of Growing Sheep

  • Singh, Sultan;Kundu, S.S.;Negi, A.S.;Gupta, S.K.;Singh, N.P.;Pachouri, V.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0호
    • /
    • pp.1433-1438
    • /
    • 2002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leucaena seeds as a protein replacement of mustard seed cake (MSC) in the concentrate mixture of growing lambs. Fifteen owing male lambs (Local${\times}$Corridale)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16.3 kg were allocated into three dietary treatments (T1, T2, and T3) with five animals in each group. Animals were offered dry mixed grass, berseem hay and concentrate mixture to meet their nutrient requirements. In concentrate mixture of T1, (Control) MSC was used as protein source, while in T2 and T3 groups, 25 and 50% of MSC was replaced by leucaena leucocephala seeds. On completion of three months (90 days) of feeding, a digestion cum-metabolism trial was conducted to determine DMI, nutrient utilization, and nitrogen balance. Changes in body weight were recorded at 15 day internals and eating patterns were recorded for 3 consecutive days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MSC had higher CP contents than leucaena seeds (27.0%). Mimosine contents in leucaena seeds were 1.1 compared to 0.2 and 0.4% in concentrate mixture of T2 and T3 group, respectively. Dry matter intake varied non-significantly ($79.3{\pm}1.2$ to $83.4{\pm}1.3g/kg$ $w^{0.75}$) across the dietary treatments. Digestibility of DM and cell wall polysaccharides (NDF, ADF. Cellulose and hemicellulose) were comparable, however CP digestibility was relatively lower in leucaena luecocephala seeds based groups (T2 $45.5{\pm}1.7$ and T3 $46.7{\pm}3.5$) compared to MSC supplemented group (T1 $47.7{\pm}0.9%$). The growth rate of lambs was non-significantly higher in T1 ($79.2{\pm}5.4$) compared to T2 ($73.8{\pm}8.8$) and T3 ($73.9{\pm}7.0$), respectively. The animals were in positive nitrogen balance and N-balance varied from 1.8 to 2.9 g/d across treatment groups. The eating rate (% of total offered) of concentrate up-to 15 min was relatively higher in T1 (82.4) than T2 (74.2) and T3 (77.8%). However no effect of leucaena seeds was recorded on total DMI of animal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inclusion of up to 50% leucaena seeds, as protein source in concentrate mixture of lambs had no adverse effect on DMI, nutrient utilization, eating patterns, nitrogen balance and growth performance of lam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