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히트파이프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44초

IC 칩 냉각용 초소형 히트 파이프의 제작 및 성능 평가 (The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icro Heat Pipe for IC Chip Cooling)

  • 박진성;최장현;조형철;양상식;유재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C
    • /
    • pp.586-588
    • /
    • 2000
  • 본 논문은 전자 패키징의 방열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초소형 히트 파이프를 제작하고 열전달 성능을 시험한 결과를 보여준다. IC 칩이 점점 고성능화되고 고집적화되어 감에 따라 발열 문제가 대두되는데, 이 열은 전도만으로는 충분히 소산시킬 수 없고 패키징 표면에 별도의 장치를 장착하는 것은 시스템 소형화의 장애 요소가 된다. 따라서, 고성능 칩 개발을 위한 선결 과제로 고성능 초소형 냉각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히트파이프는 밀봉된 파이프 내의 2상 유동과 상변화 잠열을 이용하여 열원으로부터 히트 싱크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열교환 장치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 패키징 내에 집적화할 수 있도록 초소형 히트 파이프 어레이를 제작하여 그 성능을 시험한 결과 증발부의 온도가 $12.1^{\circ}C$ 감소됨을 보인다.

  • PDF

Perfluorocarbon 히트파이프의 열전달 계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a Perflourocarbon Heat Pipe)

  • 강환국;김철주;이진성;김재진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5-103
    • /
    • 1998
  • 오늘날 전기 철도 차량의 속도제어방식에는 A.C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이 경우 여러 개의 GTO thyristor와 다이오드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반도체 소자들은 전기 부하의 일부를 저항열로 소모하며 반도체의 용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전기 철도 차량의 경우 약 1~2㎾의 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들 소자들이 적정온도범위(100~12$0^{\circ}C$미만)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자의 내부저항열을 외부로 방출시켜야 한다. 지난 30여 년 동안 이러한 반도체 소자 냉각에는 강제대류, 침적 비등, 히트파이프식 냉각방법이 적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히트파이프식 냉각방법이 유지보수, 크기 및 중량 등 여러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에 히트파이프식 냉각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중략)

  • PDF

회전식 수평 Heat Pipe의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Development of a Rotating Horizontal Heat Pipe)

  • 임광빈;이진성
    • 에너지공학
    • /
    • 제8권2호
    • /
    • pp.325-332
    • /
    • 1999
  • 회전 히트파이프가 작동할 때 응축 액막은 중력과 원심력에 의해 관 내벽을 따라 응축부에서 증발부로 이송된다. 회전 히트파이프의 성능은 응축 액막의 두께와 응축 액막 유동율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기존의 많은 연구자들은 회전 히트파이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테이퍼, 계단식 벽면, 코일 삽입등 관 내부의 형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회전 히트파이프의 새로운 관 내벽 형상으로써 응축부에 축 방향으로 사각 그루브(groove)를 갖는 구조이다. 히트파이프가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응축 액막이 그루브로 유동하며 따라서 응축부의 전체적인 액막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험 결과 그루브에 의한 액막 유동 효과로써 열전달 계수가 향상되었다. 또한 응축 액막 유동 해석 결과는 본 실험치와 정량적으로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회전수 및 열속 변화에 대하여 정성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태양열 집열기 히트파이프 효율 향상을 위한 에탄올-산화탄소나노유체의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thanol-OMWCNTs Nanofluids for Efficiency Enhancement of Heat Pipe for Solar Collector)

  • 안응진;박성식;김남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9.1-129.1
    • /
    • 2011
  • 최근 급격한 경제성장과 고도 산업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에너지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석유, 가스 등 화석에너지의 소비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화석에너지의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시키기 위해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 중 하나가 바로 태양열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태양열에너지는 자원 고갈의 우려가 없고, 에너지의 이용 과정에서 공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대체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에너지 밀도가 낮고 에너지의 공급이 기상조건에 따라 큰 영향을 받으므로 태양열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집열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열적특성을 가진 탄소나노유체를 히트파이프 작동유체에 적용하여, 태양열 집열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소나노유체의 열전도도 및 점도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나노유체는 에탄올에 산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Oxidiz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OMWCNTs)를 혼합하고, 초음파 분산하여 제조하였다. 에탄올-산화탄소나노유체의 열전도도와 점도는 저온($10^{\circ}C$), 상온($25^{\circ}C$), 고온($70^{\circ}C$)에서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으며, 열전도도는 전기 전도성 유체의 비정상 열선법(Transient Hot-wire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점도는 회전형 디지털 점도계를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0.1 vol%의 에탄올-산화탄소나노유체의 열전도도는 기본 유체 대비 33.72%($10^{\circ}C$), 33.14%($25^{\circ}C$), 32.26%($70^{\circ}C$)가 향상되었으며, 점도 또한 기본유체보다 크게 증가하지 않아 히트파이프 작동유체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태양열 집열기 히트파이프의 효율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ESCO Report - 진동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히트싱크의 냉각 성능에 관한 연구

  • 최우석
    • ESCO지
    • /
    • 통권62호
    • /
    • pp.58-65
    • /
    • 2010
  • 최근 가정용 컴퓨터와 노트북 등의 중앙처리장치(CPU)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고 있다. 더욱이 화석 에너지 고갈 위기에 따라 제품의 발열량은 급속도로 늘어날 전망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때문에 에너지절약에 대한 해결이 동반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열원에 히트싱크를 직접 부착하는 강제대류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최근 들어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방식과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방식도 대두되고 있다. 그 중 열저항 특성 연구에 집중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Pulsating Heat Pipe(PHP)를 열확산기로 적용시킨 연구방식을 소개한다.

  • PDF

냉매 충진량에 따른 분리형 히트파이프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e separate type heat pipe in accordance with the refrigerant charge)

  • 전성택;조진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600-1604
    • /
    • 2015
  • 현대 주택이 고기밀 고단열로 건축되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의 이점이 있는 반면 오염된 공기로 인한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이런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해 환기장치를 사용하여 실내 공기 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일종인 히트파이프를 사용하여 작동유체 충진량 및 환기량에 따른 히트파이프의 환기성능을 시험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히트 파이프는 환기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분리형으로 제작되었다. 작동유체는 R22이고 유체의 충진량은 40~55(%vol.)로 5(%vol.) 단위로 충진 하였다. 환기량은 전면풍속을 기준으로 0.3~1.5m/s로 0.3 m/s 간격으로 바꿔 가며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최대 효율을 가지는 냉매 충진량이 환기량에 따라 다름을 알 수 있었고,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하여 분리형 히트파이프의 환기량에 따른 최적 냉매 충진량을 찾을 수 있었다.

전력변환 반도체용 히트파이프식 냉각기의 설계와 작동특성 (Design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 Heat Pipe Heat Sink for Cooling of Power Semiconductors)

  • 강환국;김철수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572-581
    • /
    • 2001
  • 최대 1800W의 열부하를 발생하는 전력반도체를 냉각하는 히트파이프 히트싱크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히으파이프 냉각장치는 4개의 외경 22.23mm 인 FC-72 히트파이프, 알루미늄 블록 (130${\times}$160${\times}$35mm) 및 126개의 알루미늄핀 (250${\times}$58${\times}$0.8mm)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능 실험결과 총열저항은 1~2kW의 열부하일때 2~3m/s의 풍속에 풍속의 증가에 따라 0.02~0.018$^{\circ}C$/W 를 나타냈다. 이 결과는 3 m/s의 풍속에서 1800W의 열부하가 주어질 때 $40^{\circ}C$미만의 온도상승을 나타내는 것으로 설계 목표를 잘 만족하였다. 이 외로 대류 및 히트파이프의 열저항의 실험값은 몇가지 상관식에 의한 예측값과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 PDF

히트파이프를 활용한 농업용 고효율난방기 및 스마트 제어시스템 (High-efficiency Agricultural Heater and Smart Control System Utilizing Heat Pipe)

  • 김응곤;임창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151-1158
    • /
    • 2017
  • 히트파이프 일체형 고효율 난방기는 겨울철 시설원예 내 작물생육에 필수인 난방장치와 배기열 회수기를 일체화하여 배기열이 외부로 배출되기 전 미사용 에너지를 재이용하는 장치이다. 시설원예, 유리온실 등 점검을 통해 우리나라 농업용 난방기의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개선방향을 찾아 시설원예 및 하우스에 맞는 최적화된 농업용 고효율난방기 및 스마트 제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중고온 범위 폐열회수용 나프탈렌 히트파이프 열교환기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Naphthalene Heat Pipe Heat Exchanger for Middle-high Temperature Heat Recovery)

  • 정원복;박수용;황선홍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7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4-69
    • /
    • 2007
  • This study is to develop heat recovery system using high performance heat pipe heat exchanger for Middle-high temperature range industrial exhaust gas. The naphthalene is used as working fluid of heat pipe in this study. Single naphthalene heat pipe could transport over 2,000 watts with $0.05^{\circ}C/W$. The heat pipe heat exchanger consist of 50 naphthalene heat pipes recovered 62 kW when over $400^{\circ}C$ gas exhausted and the maximum recovered heat rate was 173 kW in this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