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희망교육

검색결과 470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도서관 희망도서의 신청 패턴과 이용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and Efficiency of Patron-Driven Acquisition in Academic Libraries)

  • 권소담;남영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63-284
    • /
    • 2018
  • 대학도서관은 구성원이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 필요수적인 자료를 선정하여 구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장서 개발에 반영하는 방법으로 희망도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10년간의 장기적 관점에서 희망도서 신청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희망도서는 단행본에 대한 강력한 정보 요구이기 때문에 주제 분야별 이용자의 정보 요구 패턴을 파악할 수 있었다. 대학 구성원으로서 이용자는 전공하는 학문 분야에 대해서는 전공 도서를 선정하면서도 다른 주제 분야의 교양 도서를 적절히 선정하여 장서 구성에 기여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희망도서는 소수의 이용자에 의해 선정이 이루어지지만 도서관 전체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어 효율적인 장서 개발 정책으로 운용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희망의 관계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Hope among Nursing Students)

  • 박미정;전원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4-41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hop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166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8.0. Results: The mean scores for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hope were above-average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hope according to relig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s. Hope correlated positively with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hope included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major.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12.7% of hope. Conclusion: To improve hope in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ors should focus on promoting their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major.

정신적 장애인의 소득수준과 직업능력에 따른 취업욕구 (Employment Needs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 Centering on Income and occupational ability Variables)

  • 박효은;최만규;이현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7-388
    • /
    • 2013
  • 본 연구는 정신적 장애인의 소득수준과 직업능력에 따른 취업욕구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취업 활성화를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2010년 장애인 고용패널조사'에 3년간 참여한 정신적 장애인 298명(가중빈도적용:154,348명)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직업교육을 희망하는 정신적 장애인이 남성, 중졸 이상, 자격증 소지자, 그리고 정신적 장애인 유형중 지적장애일때 교육참여 희망률이 높았다. 한편, 취업의사를 가진 정신적 장애인은 남성, 가구주, 중졸이상, 자격증 소지자, 육체활동 능력이 높아질 때, 그리고 정신적 장애인 유형 중 자폐장애일 때 취업의사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정신적 장애인의 의사를 반영한 직업재활서비스제공, 사업주 주도적 직업활동을 제안하였다

  • PDF

간호대학생의 희망, 감사성향이 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pe and Gratitude on Spirituality among Nursing Students)

  • 조명주;전원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69-57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spirituality in nursing students. Method: A total of 247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via SPSS WIN 18.0. Results: The mean scores for hope, gratitude, and spirituality were above-average.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spirituality according to religion, religious activity, voluntary service,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field, and motivation for entering a college of nursing. Spirituality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pe and gratitude. Significant predictors of spirituality included hope, gratitude, voluntary service and religious activity.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51.3% of perceived spirituality. Conclusion: To improve spirituality among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ors should develop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hope and gratitude, and support participation in voluntary service and religious activity.

찰스 디킨스의 "우리 모두의 친구": 쓰레기 더미에서 보이는 미래에 대한 희망 (Charles Dickens's Our Mutual Friend: Hope for the future arising from heaps of dust)

  • 김택중
    • 영어어문교육
    • /
    • 제9권1호
    • /
    • pp.189-203
    • /
    • 2003
  • This paper attempts to prove Dickens's hopeful view of the future in his last completed novel Our Mutual Friend. This novel has been usually regarded as one of the "dark" novels, "dark" in the sense of viewing social reality and the future negatively. However, although it has the dark descriptive color of society typical in Dickens's later novels, it still contains some elements that point to a better future. To prove this positive view of future, this paper will disentangle the intricate narrative structure of Our Mutual Friend and find out the true meaning of the dust--money. In addition, it will investigate how people react to dust(-like money). From a close study of several characters' lives, it will testify that the dark world of Our Mutual Friend, in the end, could be a world of regeneration, a world that will lead to a better future.

  • PDF

단순 매개모형에서 희망의 효과 - 암환자를 중심으로 - (Hope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in Patients with Cancer)

  • 최소영;류은정;최경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80-286
    • /
    • 2006
  • Purpose: To test whether a hope carries the influence of pain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Method: 114 cancer patients recruited wit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Visual analog Scale, the Herth Hope Index, and the SF-36 Standard Korean Vers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surement variables (pain, hop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all significantly interrelated. The results of MedGraph revealed that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hope in the relation between pain and mental component summary of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hope need to be considered in plann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 PDF

경기도 직업계고 제공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 실태 및 효과 분석 (Analysis of Real State and Effect of Assistance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by Gyeonggi-do Vocational High Schools)

  • 이찬주;현수;소준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2-9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에게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부합한 직업계고 진학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로교육 체계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중학생의 고등학교 진학 관련 정보 획득 방법, 일반고 및 직업계고에 대한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 직업계고 제공 진로교육 지원 활동 실태 및 효과(진로 선택 도움 정도)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설문지를 개발하여 경기도 소재 중학교 627개교, 3학년 4,4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중학생의 고등학교 진학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1순위 인터넷 검색(42.0%), 2순위 가족 및 친구와 상담(25.5%), 3순위 선생님과 상담(24.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계고 진학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1순위 직업계고 운영 학교(학과)설명회(39.4%), 2순위 직업계고 견학(24.9%), 3순위 직업계고 교사와의 상담(1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경기도 중학생의 진로 희망 유형별 고등학교 이해도(5점 만점)와 정보 필요도(5점 만점)는 일반고 진학 희망 학생의 경우, 이해도 3.65, 정보 필요도 3.67,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의 차이는 0.02이고, 직업계고 진학 희망 학생의 경우, 이해도 2.92, 정보 필요도 3.25,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의 차이는 0.33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중학생의 직업계고 제공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참여 실태는 전체 79.4%가 참여하고 있다. 이 중에서 참여 비율이 높은 활동은 직업계고 홍보 및 안내서(책자, 브로셔 등) 90.3%, 중학교 교실로 찾아오는 직업계고 학교설명회 87.8%, 직업계고 홍보 및 안내 동영상 시청 85.9% 등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활동이 중학생에게 진로 선택에 도움을 주는 정도는 3.45이고, 도움을 주는 정도는 일반고 진학 희망 학생보다 직업계고 진학 희망 학생에게 0.13만큼 더 높게 나타났다.

조리실습에 대한 인식 조사를 기반으로 한 조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대전.충남 지역 4년제 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 to Vitalize Culinary Education Based on Recognition Survey of Culinary Practice - Focused on Universities Located in Daejeon.Chungnam Areas -)

  • 강경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6-139
    • /
    • 2011
  • 본 연구는 조리 관련 학과를 전공하고 있는 일부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리 실습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여 조리교육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성과 학년, 졸업학교 유형에 따른 조리 실습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은 다음과 같다. 조리 실습 교육의 흥미도와 필요성은 매우 높으나, 조리 실습 교육의 실시 정도에 대해서는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효과적인 조리 실습 교육을 위해서는 이론 교육과 실습시연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호텔요리와 기능사요리에 중점을 두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의 자세한 실습 시연과 보충실습을 할 수 있는 장소가 제공되기를 희망하였다. 변인에 따라서는 남학생과 고학년, 전문계고 출신 학생들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육과정에서 실습의 비중을 높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열린 실습실의 운영, 사회 변화를 반영한 교육과정 편성 등을 통해 자기 주도적으로 성취 욕구를 발산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면 조리 실습 교육은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장애자녀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해석학적 질적연구- (The Study of the Disability Education Experience of the Mothers for their Children with Brain Lesions - Hermeneutic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 강선경;최윤
    • 재활복지
    • /
    • 제20권4호
    • /
    • pp.79-106
    • /
    • 2016
  • 본 연구는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장애교육 현상이 어떻게 경험되고 있으며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7명의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구술 원자료를 Rennie(2000; 2006; 2007)의 해석학적 질적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3개의 의미단위와 16개의 하위범주 및 7개의 해석학적 범주를 구성하였다. 해석학적 범주는 '매일매일 통곡하는 마음', '자원의 사회적 동원', '앞만 보고 전진', '계란으로 부순 바위', '먼 곳 바라보기', '더불어 사는 교육', '장애교육의 주체화'이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장애자녀 교육은 체념단계, 추스림 단계, 비전세우기 단계와 도전단계, 작은 성취 단계를 통하여 최종적으로는 공동체에 희망걸기 단계로 나아가는 좌절과 희망세우기의 동시경험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이 보이는 반복적인 공통의 행위패턴을 분석한 결과 추수형, 현실전략형 및 불굴의 도전형의 세 가지 유형을 보이고 있었다. 이들의 교육경험의 핵심범주는 '중증장애 절망을 교육을 통해 희망으로 바꾸어가는 연단의 과정'이었다고 결론지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교육경험의 실태와 사회구조적 문제에 대한 논의를 하였고, 어머니들의 장애자녀 교육지원을 위한 구체적 제언을 하였다.

꿈과 희망을 전달하는 이야기할머니를 꿈꾸며...

  • 김지현
    • 도서관문화
    • /
    • 제45권7호통권350호
    • /
    • pp.78-81
    • /
    • 2004
  • 이글은 우리 협회가 지난 3월 29일(금)부터 6월 25(금)일까지 15주간 진행한 제1기 이야기(스토리텔링) 전문교육과정에서 수강생들이 과제로 제출했던 발표문 중 한편을 싣은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