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흡입비

Search Result 41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Around Cutter-Head for Dredging (준설용 커터헤드 주변의 수리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Park, Jae Hyeon;Kim, Young Do;Chae, Dong Seok;Lee, Man 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6B
    • /
    • pp.491-497
    • /
    • 2011
  • In this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the cutter head, which makes the dredging soil suspended,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affect of the dredging works. The PIV was used for measuring th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the cutter head for suction and non-suction cases. As the results, the mean velocity was decreased from the cutter head to outward. The mean velocity decreasing rate of the non-suction cas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suction case, but the turbulence intensity decreasing rate of the non-suction case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suction case because of the suction energy which makes the z-direction flow.

A Study on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around the Cutter-Head along the Dredging (준설시 커터헤드 주변의 수리특성에 관한 연구)

  • Chae, Dong-Seok;Park, Jae-Hyeon;Kim, Young-Do;Lee, Ma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588-592
    • /
    • 2008
  • In this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the cutter head which makes the dredging soil suspended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affect of the dredging action. The PIV was used for measuring th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the cutter head for suction and non-suction cases. As the results, the mean velocity was decreased from the cutter head to outward. The mean velocity decreasing rate of the non-suction cas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suction case, but the turbulence intensity decreasing rate of the non-suction case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suction case because of the suction energy which makes the z-direction flow.

  • PDF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Hypersonic External Compression Inlet Using Isentropic Compression Surface (등엔트로피 압축면을 이용한 극초음속 외부 압축형 흡입구 성능 특성)

  • Kim, Young Jin;Lee, Hyoung 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50 no.5
    • /
    • pp.297-308
    • /
    • 2022
  • Most air-breathing aircraft operated in the hypersonic region are equipped with a scramjet engine. In a scramjet engine, a shock wave generated at an inlet acts as a compressor for a general gas turbine engine instead, so total pressure loss caused by the shock wave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to minimize total pressure loss, a method of designing an external compression inlet using isentropic compression surface was proposed, and an external compression inlet with 3-deflection angles and Busemann inlet were design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fter that, through computational analysis,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t off-design conditions were compared. Each inlet shape was trunca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3-ramp external compression inlet, and the boundary layer correction was performed. The isentropic external compression inlet showed superior performance at the design point, but under the off-design conditions, its performance was degraded compared to the 3-ramp external compression inlet.

A Numerical Analysis on Performance of Parallel Type Ejector for High Altitude Simulation (고공 환경 모사를 위한 병렬형 이젝터 구성에 따른 특성 연구)

  • Shin, Donghae;Yu, Isang;Shin, Minku;Oh, Jeonghwa;Ko, Youngsung;Kim, Sun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3 no.1
    • /
    • pp.52-60
    • /
    • 2019
  •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and structure of a parallel ejector comprised of multiple single ejectors were confirm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The same design variables (mass suction ratio, compression ratio, and expansion ratio) relevant to the performance of a single ejector wer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the parallel ejector.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either system related to the operating mass suction ratio; however, the systemsiz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when ejectors of the same performance capacity are arranged in parallel, the combined mass suction ratio is lower than that of the single ejector, allowing a lower pressure to be reali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arallel ejector's performanc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any single ejector, but confirmed that the parallel ejector can offer a configurationdependent advantage in size and operation.

램제트 엔진 흡입구의 점성 유동장 수치계산

  • 강호철;신동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4a
    • /
    • pp.59-59
    • /
    • 2002
  • 램제트 추진기관은 압축과정을 별도의 부품 없이 형상에 의해서 감속하여 연소 압력비를 얻는다. 따라서 구동 마하수와 형상에 의해 흡입과정의 압축 효율이 결정된다. 설계점은 충분한 유량을 확보 할 수 있는 유량과 충격파 각을 조절하여 전압력 손실을 줄이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연소가 일어나면 연소실 압력이 배압으로 작용하고 비행시에 받음각은 변하므로 이에 따른 성능 분석도 고려 되어야 할 사항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험한 형상에 대해 수치계산을 수행하여 코드의 검증과 아울러 램제트 유동장의 수치적 시뮬레이션도 설계단계에서 하나의 도구로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험에서는 배압 조건을 얻기 위해 유동 블록키지를 유로 내에 두어 상응하는 배압을 얻었지만 본 계산에서는 압력 경계조건을 직접 사용하였다. 유동이 비정상 특성을 가지므로 시간 정확도를 이차로 가지도록 이중시간 전진법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압력비는 충격파가 카울 끝에 닿는 임계상태에 가까운 12, 13, 14에 대해 계산을 수행하였고 부스터모드로 흡입구 끝이 막혀 있다가 램제트 모드로 바뀌어 연소실 압력이 위의 압력비라고 가정할 때의 비정상 천이 과정을 계산해 보았다. 본 계산은 흡입구 부분만을 떼어놓고 적절한 가정 하에 수행되었지만 연소실 내부도 비정상 특성을 가지므로 흡입구와 연소실을 동시에 같이 계산해야한다. 추후에 전체적인 계산을 진행하기 위한 전 단계로 흡입구 계산만을 수행하여 실험과 잘 일치하는 계산 결과를 얻었고 전체 계산을 위한 연구는 진행 중에 있다.

  • PDF

Intake Start Characteristics of a Mach 5 Scramjet Engine (마하 5 스크램젯 엔진의 흡입구 시동 특성)

  • Yang, In-Young;Lee, Yang-Ji;Kim, Young-Moon;Lee, Ky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5a
    • /
    • pp.388-391
    • /
    • 2012
  • Intake start characteristics of a Mach 5 scramjet engine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Intake unstart was observed. The model-facility interaction or excessive internal contraction ratio were attributed to this unstart. Intake start was achieved by changing the model position to remove the model-facility interaction, and by modifying the cowl to give smaller contraction ratio.

  • PDF

Optimal Design of Two-Dimensional Hypersonic Intake Geometry (2차원 극초음속 흡입구 형상 최적 설계)

  • Kim, Chae-Hyoung;Jeung, In-Seuc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8 no.6
    • /
    • pp.1-10
    • /
    • 2014
  • The optimal method to intuitively and systematical design hypersonic intakes is reported. In Mach 7 flow condition, the hypersonic intake model designed by theoretical approach is corrected by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based on viscous flow condition, leading to the optimum hypersonic intake model. For performance comparison with CFD analysis, the double ramp intake is superior to the single ramp intake. Furthermore, in the off-design condition,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hypersonic intake is little degraded.

Experimental Study of Flow Characteristics of in the Pump Sump (펌프 흡입부 주변의 흐름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Byeon, HyunHyuk;Yang, JaeHoon;Yoon, ByungMan;Kim, Se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2-72
    • /
    • 2015
  • 최근 이상기후로 집중호우와 강우패턴이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변화하는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내배수시설 설계로 내수 침수 피해가 증가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도시지역의 내수침수에 대한 대책으로 재내지의 초과 우수를 하천으로 강제 배수시키기 위한 빗물펌프장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도심지역의 집중호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빗물펌프장의 목표 배수량을 실제 배수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가 도시지역의 내수침수를 효율적으로 방어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하지만 현재 빗물펌프장의 설계 시 펌프 흡입부 내 흐름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 펌프의 효율에 대한 불확실성이 큰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펌프 가동 시 흡입부 주변의 흐름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 펌프 흡입부의 실험적 연구에서는 색소를 이용한 vortex의 생성 위치 및 경향을 정성적으로 파악하거나 ADV등의 유속계를 이용하여 흡입부 주변의 흐름특성을 지점별로 분석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하지만 빗물펌프장의 펌프 흡입부 주변의 흐름은 펌프 가동에 따라 매우 복잡한 와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유속장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접촉식 유속 측정이 가능하고 유속장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입자영상유속계(PIV: Particle Image Velocimetry)를 이용하여 펌프 흡입부 주변의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펌프 흡입부의 흐름특성을 분석한 결과 흡입관 내 유속분포의 편중 현상에 접근유속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흡입유속에 비해 접근유속이 빠른 경우 흡입관 내 유속분포는 상류측에서 횡방향 와류가 발생하여 흡입에 방해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하류측으로는 흡입 방향으로 유속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펌프 흡입관내 상류측부분의 와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xperimental Studies on Flow Characteristics and Thrust Vectoring of Controlled Axisymmetric Jets (원형분사제트 조절을 통한 유동특성 및 제트 벡터링의 효과 고찰)

  • 조형희;이창호;김영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04a
    • /
    • pp.63-72
    • /
    • 1997
  • 본 논문은 분사제트 주위에 형성되는 와류를 조절하여 제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유동가시화, 속도분포 및 난류성분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와류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트노즐 주위에 환형관을 설치하여 환형관으로부터 2차제트를 분사 또는 흡입함으로써 제트주위에 형성되는 전단류를 변화시켰다. 2차제트 분사시 주제트 주위에 형성되는 와류의 발달을 억제함으로써 제트 포텐셜코어의 길이가 아주 길어지는 제트유동을 얻을 수 있었다. 환형관으로부터 주제트주위의 유체를 흡입하는 경우 제트주위의 전단류가 흡입비 R=1.3∼l.65에서 대류불안정성에서 절대불안정성으로 바뀜으로써 형성된 와류가 하류에서 제트중심부까지 발전,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 긴포텐셜코어와 중심에서 낮은 난류강도를 얻었다. 위의 결과는 환형관 주위에 부착한 깃의 높이 변화에 따라서 변화하였는데, 이것은 깃이 환형관을 통한 흡입유동의 유로역할을 함으로써 제트밖으로부터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분사제트 벡터링을 위하여 제트노즐 주위의 환형관을 이등분하여 한쪽으로만 제트주위의 유동을 흡입함으로써 제트주위에 다른 전단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Coanda효과를 이용하여 분사제트를 편향시켰다. 편향되는 정도 및 난류성분은 홉입속도 비에 따라서 크게 바뀌었다.

  • PDF

터보팬엔진 흡입구에 버드 스트라이크를 막기 위한 장치를 달았을 때 엔진 흡입구의 성능 분석

  • Cha, Sang-Hyeo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11a
    • /
    • pp.9-14
    • /
    • 2016
  • 버드 스트라이크는 항공기 안전에 큰 위협을 주고 있다. 새를 막기 위하여 공항에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이용해 새를 쫓고 있지만 임시방편인 경우가 많거나 근본적인 방법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버드 스트라이크를 막기 위하여 새를 막는 장치를 엔진 흡입구에 장착하고, 이 흡입구가 엔진 흡입구의 성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