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흡수제

Search Result 1,51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Reaction Characteristics of Desulfurization Sorbents for Warm Syngas Cleanup (석탄 합성가스 정제용 탈황제의 흡수/재생 온도 변화에 따른 황흡수 특성)

  • Baek, Jeom-In;Ryu, Jungho;Lee, Joong Beom;Eom, Tae-Hyoung;Lee, Kisun;Wi, Yong-Ho;Ryu, Chong K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07.1-107.1
    • /
    • 2010
  • 고체 흡수제를 이용한 석탄합성가스 중의 황제거 기술은 습식 스크러빙 방식에 비해 고온에서 운전가능하므로 석탄가스화복합발전의 효율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고체탈황제는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유동층 반응기를 순환하면서 흡수탑에서는 합성가스 중의 $H_2S$로부터 황을 흡수하고 재생탑에서는 공기 중의 산소와 흡수된 황이 반응하여 $SO_2$를 배출하고 재생된다. 따라서 고체 황 흡수제는 유동층 공정에 응용가능한 물성과 함께 높은 황흡수능과 빠른 반응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개발된 고체 탈황제가 가졌던 소성시 수축 현상, 낮은 내마모도 등을 개선하기 위해 지지체 조성을 변경하여 개발한 분무성형 탈황제의 흡수 재생 온도에 따른 황흡수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H_2S$ 1 vol. %를 함유한 모사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흡수온도 450, $500^{\circ}C$, 재생온도 500, 550, 600, $650^{\circ}C$에서 황 흡수능을 열중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개발된 흡수제는 유동층 공정 적용에 적합한 훌륭한 물성(형상, 밀도, 강도 등)과 함께 $500^{\circ}C$ 흡수와 $650^{\circ}C$ 재생을 기준으로 10 wt% 이상의 높은 황흡수능을 보여주었다. 흡수온도 변화는 황 흡수능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재생온도가 $600^{\circ}C$ 이하인 경우 황흡수능이 5 wt% 이하로 크게 떨어져 재생온도를 $650^{\circ}C$ 이상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Solid $CO_2$ sorbents and WGS catalyst for pre-combustion $CO_2$ capture (연소전 $CO_2$ 회수를 위한 고체 흡수제 및 WGS 촉매 특성 평가)

  • Eom, Tae Hyoung;Lee, Joong Beom;Park, Keun Woo;Choi, Dong Hyuk;Baek, Jeom-In;Ryu, Chong K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11.1-111.1
    • /
    • 2010
  •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의 고온 고압 합성가스로부터 $CO_2$를 저비용으로 포집하기 위한 연소전 포집 기술 중 유동층 촉진수성가스전환(SEWGS) 공정이 제안되어 연구개발 중에 있다. 연소전 $CO_2$ 포집을 위한 SEWGS 공정은 동일한 2탑 순환 유동층 반응기에서 고온 고압의 합성가스($H_2$, CO)를 유동층 WGS 촉매를 사용하여 CO를 $CO_2$로 전환하는 동시에 전환반응으로 생성된 $CO_2$를 흡수제를 이용하여 포집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CO_2$ 회수와 WGS 반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정에 적용 가능한 건식 재생 흡수제 및 유동층 WGS 촉매 개발을 목표로 $CO_2$ 흡수제(P Series) 및 WGS 촉매(PC Series) 조성을 제안하고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6~8kg/batch로 성형 제조하였다. 제조된 $CO_2$ 흡수제 및 촉매의 특성 평가 결과 내마모도(Attrition resistance)를 포함한 물리적 특성이 유동층 공정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모사 석탄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20bar, $200^{\circ}C$ 흡수/$400^{\circ}C$ 재생 조건에서 열중량 분석기(TGA) 및 가압 유동층(Fluidized-bed) 반응기를 통한 흡수제의 $CO_2$ 흡수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내마모도(AI) 3% 이하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CO_2$ 흡수능 17.6 wt%(TGA) 및 11wt%(가압 유동층)를 나타냈다. 유동층 WGS 특성 평가 결과 내마모도가 7~35%로 우수하였고, CO 전환율은 $200^{\circ}C$에서 80% 이상으로, 유동층 SEWGS 공정에 적용 가능한 특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bsorption of Carbon Dioxide using PVDF/Plasma Membrane Contactor (PVDF/플라즈마 막접촉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흡수에 관한 연구)

  • Choi, Seung-Hak;Gao, Tongzhai;Oh, Sae-Joong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1
    • /
    • pp.161-169
    • /
    • 2005
  • Numerical simulation an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the absorption of carbon dioxide using PVDF hollow-fiber membrane contactor. Water or monoethanolamine (MEA) aqueous soluton was used as absorbents.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profile of carbon dioxide was less affected by the flow rate of MEA than that of water absorbent. The absorption rate and mass transfer coefficient of carbon dioxide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MEA increased. The mass transfer coefficients obtained by experiments coincided with those obtained by numerical simulation and theoretical results for $CO_2-water$ system. However, for $CO_2-MEA$ system, the mass transfer coefficients obtained by experiments were lower than those obtained by simulation, while the simulation results agreed well with theoretical results. The durability of plasma-treated hollow fiber membranes was better than that of no plasma-treated ones.

Characteristics of Solid Regenerable $CO_2$ sorbents for Pre-combustion $CO_2$ Capture (연소전 $CO_2$ 포집용 분무건조 고체 흡수제의 물성 및 $CO_2$ 흡수 특성)

  • Baek, Jeom-In;Ryu, Jungho;Lee, Joong Beom;Eom, Tae-Hyoung;Kim, Ji-Woong;Jeon, Eon-Sik;Ryu, Chong K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10.2-110.2
    • /
    • 2010
  • 현재 상용가능한 연소전 $CO_2$ 포집 기술은 습식 스크러빙 방식으로 고온의 합성가스를 상온 수준으로 온도를 낮춘 후 $CO_2$를 포집해야 하고 포집된 $CO_2$의 압력이 낮아 재압축하여 저장소로 보내야 함에 따라 큰 폭의 열효율 손실이 불가피하다. 고온 고압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할수 있는 고체 흡수제를 이용할 경우 이산화탄소 포집 치 저장 추가에 따른 시스템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고체 $CO_2$ 흡수제는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유동층 반응기를 순환하면서 흡수탑에서는 합성가스 중의 $CO_2$를 흡수하고 재생탑에서는 고온의 수증기와 접촉하여 흡수된 $CO_2$를 다시 배출함으로써 재생된다. 따라서 건식 재생 $CO_2$ 흡수제는 유동층 공정에 응용가능한 물성과 함께 높은 $CO_2$ 흡수능과 빠른 반응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동층 공정에 적합한 물성을 가진 연소전 $CO_2$ 포집용 고체 흡수제를 분무건조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모사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열중량분석기와 기포유동층반응기를 이용하여 $200^{\circ}C$ 흡수, $400^{\circ}C$ 재생, 압력 20 bar 조건으로 반응성을 측정하였다. 개발된 고체 $CO_2$ 흡수제는 열중량분석기에서는 반응 후 10-13 wt%의 무게증가를 나타내었고 기포유동층반응기에서는 8-10 wt%의 $CO_2$ 흡수능을 보여주었다. 특히 수증기의 함량이 10% 이상에서 높은 흡수능을 나타내어 수증기가 반응에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CO2 Capture Performance of Dry Sorbents Manufactured by Coal Fly Ash (석탄 화력발전소의 비산재를 이용한 건식 CO2 흡수제 제조 및 특성 연구)

  • Lee, Jae Hee;Wee, Ju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8
    • /
    • pp.547-553
    • /
    • 2013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al-fired fly ash on dry $CO_2$ sorbents as the supports and additives. For this purpose, various kinds of dry sorbent were manufactured by mixing fly-ash, the primary $CO_2$ absorption components (NaOH and CaO) and water with their different combination. Thereafter, their $CO_2$ absorption performance and the property were analyzed. As a result, variation of absorption efficiency and temperature as well as $CO_2$ desorption of the sorbents are confirmed, which may be primarily ascribed to fly-ash addition to the sorbents. Particularly, fly-ash effect is strongly measured in the sorbent manufactured by mixing all four components (named WNCF sorbents). Absorption efficiency of WNCF sorbents at $550^{\circ}C$ is 35.6% higher than that of flyash free sorbent and desorption is solely observed in WNCF sorbents. Fly-ash in WNCF sorbents leads to increase the dispersity of $CO_2$ absorption components and decrease their particle size in the sorbents. In addition, fly-ash is used as the supports and pozzolanic reaction is hindered by NaOH in WNCF sorbent. Furthermore, $CO_2$ desorption from the sorbents may be due to fly-ash. The interaction between fly-ash and $CO_2$ absorption components substantially attenuate the strength between captured $CO_2$ in CaO and NaOH.

특집 - 당분 흡수 억제제

  • O, Tae-Geun
    • The Monthly Diabetes
    • /
    • s.222
    • /
    • pp.11-12
    • /
    • 2008
  • 당뇨병환자의 식후 고혈당을 조절하고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약제가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라는 당분 흡수 억제제이다. 이는 복합탄수화물의 흡수를 지연시켜서 식후 고혈당의 폭을 감소시킨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with Limestone Sludge at Limestone-Gypsum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Process (석회석 슬러지의 석회석-석고 습식 배연탈황 공정적용에 관한 연구)

  • Seo, Sung Kwan;Chu, Yong Sik;Shim, Kwang Bo
    • Resources Recycling
    • /
    • v.25 no.5
    • /
    • pp.44-49
    • /
    • 2016
  • Flue gas desulfurization(FGD) is an effective technique to remove $SO_2$ gases of coal-fired plants. Limestone is usually used as desulfurizing agent. In this study, we use the limestone sludge which is a by-product of steel industry in order to replace desulfurizing agent of FGD process.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desulfurizing agent was conducted. Desulfurizing agent using limestone sludge was fabricated by pre-treatment process and, then the agent was used on FGD process. Consequently, the tendency on the $SO_2$ concentration did not appear. And limestone sludge was considered as possible alternative agent for flue gas desulfurization process through absorber control system.

Carbon Dioxide Absorption in a Packed Column Using Guanidine-based Superbase Solution (구아니딘계 초염기 흡수제에 의한 충진탑에서의 이산화탄소 포집 특성)

  • Choi, Young Min;Hong, Yeon Ki;You, Jong Kyu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4 no.5
    • /
    • pp.648-652
    • /
    • 2016
  • The study of $CO_2$ absorption in a packed column by 1,1,3,3-tetramethylguanidine (TMG) dissolved in ethylene glycol is presented. Absorption column of inner diameter 1 in and 0.6 m length was filled with Protruded-packing $0.16in{\times}0.16i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operating conditions on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s as well as on $CO_2$ removal efficiency. The loading values reached at about $1.0mol_{CO2}/mol_{TMG}$. In case of absorbent with lean $CO_2$ loading,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TMG. However, in the range of more than ${\alpha}=0.5molCO_2/molTMG$,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s de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TMG. It is due to the increasing of mass transfer resistance in liquid phase as increasing of viscosity at higher loading values.

Surfactant Sorption Effects on the Removal of Hydrophobic Organic Compounds (HOCs) from Subsurface (토양/지하수내 난분해성 유기오염물 제거시 계면활성제 흡착 영향)

  • 고석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64-68
    • /
    • 1998
  • 본 연구는 오염토양/지하수의 정화를 위하여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교정기술의 보다 현실적인 평가를 위하여 토양에 흡착된 계면활성제에 대한 소수성 유기오염물인 Naphthalene과 Phenanthrene의 흡수현상에 대한 연구결과를 나타내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odium Dodecyl Sulfate (SDS)와 중성 계면활성제인 Tween 80의 흡착곡선은 소수성 꼬리 (hydrophobic tails)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S-형 모양을 보이며 이들 흡착된 계면활성제는 Micelle로 존재하는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유기오염물에 대한 보다 강한 흡수능력을 나타내었다. 결과에 나타난 흡수능력의 차이는 계면활성제가 흡착되어있거나 Micelle상태로 존재할 경우 다른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흡수된 계면활성제와 Micelle의 상호경쟁에 의하여 유기오염물의 부동성(immobility)을 나타내는 분배계수(distribution coefficient)는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반비례하였다. 결론적으로 토양/지하수의 오염물 정화를 위하여 계면활성제 교정기술의 적용 시 고정상 (solid phase)에 있는 흡착 계면활성제에 의한 유기오염물의 지체현상 (retardation)을 고려하여야 한다.

  • PDF

Difference of Direct and Indirect $CO_2$ Uptake Associated with Tree Cover between Residential Neighborhood (주거지구간 수목피도에 따른 직간접적 $CO_2$ 흡수의 차이)

  • 조현길;안태원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3
    • /
    • pp.254-260
    • /
    • 1999
  • 본 연구는 수목피도가 상이한 춘천시 내 두 주거지구를 선정하여 수목식재가 주요 온실가스인 대기 CO_2$의 직접적 간접적 흡수에 영향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목의 탄소저장량은 수목 피도가 약 10%인 제 1지구에서 단독 주택의 호당 평균 72kg 소목피도가 약 20%인 제 2지구에서 244kg 이었다 수목피도가 제 1지구보다 10% 차이로 더 높은 제 2지구에서 그 탄소저장량은 3배 더 많았다. 수목의 연간 직간접적 탄소흡수량은 제1지구에서 호당 평균 59kg/yr이었고 제 2지구에서는 그보다 약 2배 더 많은 110kg/yr 이었다. 연간 총흡수량중 간접적 흡수량은 연구지구에 따라 70-80%를 차지하여 직접적 흡수량보다 훨씬 많았다. 연구결과는 주거지 내 적극적인 수목식재가 대기 탄소농도를 저감하는 중요한 역할을 증진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