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흡수기능

Search Result 81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유지산업

  • 임재각
    • Food Industry
    • /
    • s.181
    • /
    • pp.10-37
    • /
    • 2004
  • 식용유지는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시적인 상태의 액상(oil) 또는 고체상(fat)의 식용기름을 말하지만 식품산업 측면에서는 가시적인 상태의 유지(가시지방)뿐만 아니라 유지가공 식품이나 기타의 식품에 함유되어 섭취되는 비가시적인 상태의 유지(비가지 지방)도 포함될 수 있다. 식용유지는 생명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영양소로서 탄수화물 단백질과 함께 3대 영양소 중의 하나이며 1g당 9kcal를 내는 고도로 농축된 에너지원이면서 필수지방산의 공급원이고 비타민 A, D, E 등의 지용성 비타민과 기타 특수한 영양성분의 운반체로서 높은 영양적 가치를 갖는다. 지방성분은 음식물로부터 섭취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체내에서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을 기질로 하는 대사과정에서 합성되어 지질 또는 필수지방산과 지용성 비타민은 식품으로 지방질과 함께 흡수되어야 하므로 식품의 한 성분으로 지방의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1960년대 이후 국민소득의 증가와 함께 식생활도 다양화되고 서구화 간편화되면서 지방 함량이 높은 식품과 유지를 이용한 식품의 소비가 증가하였고 전체적인 유지 소비량도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60년대 초에는 총열량 중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6\%$ 정도였으나 최근에는 급격히 증가되어 2000년말 현재 $25.5\%$로 증가하였다. 97년까지 계속 증가하던 공급 에너지량은 98년 IMF의 영향으로 2,799 kcal까지 감소했으나 99년 들어 IMF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또한 연간 일인당 순 식용유지류 공급량은 1990년대 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이후로는 소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2000년말 현재 식용유지 총 공급량은 76만2 천톤으로써 99년 73만5 천톤에 비해 2.7만톤이 증가하였다. 1998년 IMF 시기를 제외하고는 공급물량은 계속해서 증가 추세이다. 특히 1998년도에 비하여 2000년도에 식물성 유지는 2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나, 동물성 유지는 절반 이하로 감소되는 추세이며 공급물량으로 보면 대두유, 팜유가 주요 유종으로 식물유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2.3\%$로 압도적이다. 라면용 튀김기름과 마가린 쇼트닝의 원료로서 대부분 사용되는 팜유를 제외하고 가정용 식용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두유가 이처럼 식용유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 이유는 첫째, 90년대 초반 수입 자유화 이후 타 유종 대비 낮은 가격을 형성하여 유지업체가 수입을 늘린 것이고 둘째로는 국내에서 대두유와 대두박을 생산하는 대두가공업체의 안정적 대두유 공급이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식용유지의 시장규모는 식품공전상 식용유지로 분류된 제품들의 2000년도 출하액으로 보면 약 6,616 억원 정도이다. 한편 유종이 단순했던 가정용 식용유지 시장이 최근 새로워지고 있다. 주로 조리용으로 사용했던 것에서 건강을 생각하는 품목으로 바뀌는 경향이다. 아직은 가정용에서 대두유가 가장 많지만 옥배유나 채종유 더 나아가 건강이미지의 식용유인 홍화유 올리브유 해바라기유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기존 식용유가 비만의 원인인 것 때문에 기피되던 것에서 새롭게 다이어트용 식용유 제품이 출시되어 시장에 새 바람이 불고 있다. 일본 식용유지 시장규모는 물량으로 172 만톤, 금액으로는 2,786 억엔(약 2조7860 억원) 수준이다. 지난 10년간 증가율은 물량 측면에서 약 $5\%$정도 신장하고 금액으로는 큰 증감이 없었다. 식용유는 조리의 기초 소재로서 안정한 수요를 갖고 있지만 주요 유종인 샐러드유의 가격이 하락하여, 전체적으로 시장이 물량이 증가하면서도 매출액이 신장하지 못하여 시장규모는 축소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일본 식용유지 업계의 제품동향을 보면 거의 모든 업체가 가정용 시장에서 건강 기능성 식용유지를 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일본은 건강기능성 식품에 대한 제도적인 뒷 받침이 되어 있어 기능성 식품의 시장출시가 용이한 점이 가정용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유지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서는 전통적인 산업의 제품과 기술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렵다. 국내와 일본 식용유지 업계의 경향을 참고해 볼 때 차별화된 식용유지 제품과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앞서 언급한 고부가가치 제품과 기술 관련 사향을 바탕으로 국내 유지분야가 중점적으로 연구할 분야를 선정해 보면 리파제의 고정화 연구, 생물공학 기술을 활용한 효소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유지 가공 기술 연구, 유지성분의 유화 안정화 기술 연구, 식용유지의 선택적 수소경화 기술 연구 트랜스 지방산 저감기술연구, 효소 반응조 설계기술 연구, 지질 분자구조 분석기술 연구 분야 등이 유망하다. 상기와 같은 연구 분야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유지 전문 인력의 육성, 해외 네트웍의 구축, 산학연 공동연구 추진, 국가적 차원의 정책 및 지원 등이 절실하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 Garaedduk Added with Ginseng Powder (인삼분말을 첨가한 떡볶이용 가래떡의 품질특성)

  • Lee, Joon-Kyoung;Jeong, Jie-Hye;Lim, Jae-Ka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0 no.3
    • /
    • pp.426-434
    • /
    • 2011
  •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rice, ginseng Garaedduks and Topokki were made an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opokki and Garaedduks were added with 0, 1, 3 and 5% ginseng powder and stored at $20^{\circ}C$ for 48 hours. The moisture contents were not different to the increasing amount of ginseng powder and increasing storage time for 48 hours. The moisture content of Garaedduks for control and 5% added ginseng powder were 48.08% and 49.62%, respectively. The L value in color of uncooked ginseng Garaedduk decreased according to the added amount of ginseng powder, and the b value in color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added amount of ginseng powder and during 48 hours storage at $20^{\circ}C$. Textural analysis, measured using a texture analyzer, of Garaedduk revealed that hardness, cohesiveness, chewiness decreased significantly and adhesiveness increased according to the added amount of ginseng powder. In sensory evaluation, 5% ginseng Garaedduk (uncooked, cooked) scored higher in overall acceptability than those of the other samples. In cooking properties, water absorption and solid contents increased according to the added amount of ginseng powder. Therefore, Garaedduk containing 5% ginseng powder was the most preferable.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degree of retrogradation of ginseng Garaedduk might be low due to its high dietary fiber content.

Effects of Organic Ca Supplements on Ca Bioavailabi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s in Ovariectomized Osteoporotic Model Rats (난소절제 골다공증 흰쥐모델에서 유기태 칼슘보충제가 칼슘 이용성과 생리기능에 미치는 영향)

  • Cho, Su-Jung;Park, Mi-Na;Kim, Hee-Kyong;Kim, Jae-Hong;Kim, Min-Ho;Kim, Wan-Sik;Lee, Yeon-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0 no.5
    • /
    • pp.665-672
    • /
    • 2011
  • We evaluated the effects of organic Ca supplements chelated with milk protein (CaMP) in ovariectomized osteoporotic rats. Eight week-old Sprague-Dawley female rats were ovariectomized and fed a low $CaCO_3$ diet (0.1%) for 4 weeks to create an osteoporotic model. At that point, L4-$CaCO_3$ rats were sacrificed and the rest of the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each of which was fed an experimental diet for 4 weeks: low-$CaCO_3$ (0.1%; L8-$CaCO_3$) and CaMP at 3 Ca levels: low (0.1%; L8-CaMP), normal (0.5%; N8-CaMP), and high (1.5%; H8-CaMP). Daily weight gain, serum ALP, weight and breaking force of femurs, Ca content of the lumbar, and Ca absorption were measured. Daily weight gain increased in the N8-CaMP and H8-CaMP groups compared to the low Ca groups. The ALP activity in the CaMP-fed ra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CaCO_3$-fed rats. Both breaking force and femur weight were higher in the N8-CaMP and H8-CaMP groups compared to the L8-$CaCO_3$ group. Ca content of the lumbar increased dose-dependently with Ca intake levels of CaMP. Ca absorption rates of the CaMP-fed rats in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rats fed low Ca levels of $CaCO_3$.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aMP suppl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bone metabolism and Ca bioavailability in ovariectomized osteoporotic rats. Therefore, CaMP may be recommended as a useful Ca supplement to prevent bone loss in osteoporosis.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SLC12A3 polymorphism, salt-sensitive gene, and sodium intake on risk of child obesity (소금민감성 SLC12A3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나트륨섭취가 소아비만에 미치는 영향)

  • Jung, Joohyun;Lee, Myoungsook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0 no.1
    • /
    • pp.32-40
    • /
    • 2017
  • Purpose: Obesogenic environments in children, in particular excessive intake of sodium, generate hypertension, which is a major risk factor for chronic diseases. Methods: In all, 725 children, 379 boys and 373 girls, aged 8~9 years were recruited from seven elementary schools in Kuro-ku, Seoul. To evaluate whether or not obesity risk was modulated by salt-sensitive genes, Solute Carrier Familiy 12 member 3 (SLC12A3) was used as the target. After children were assigned into obese (BMI > 85 percentile) or non-obese groups, anthropometry, blood biochemistry, and dietary intake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genotypes GG (wild) or GA+AA (hetero+mutant). Results: Without gender differences, high TG and low HDLc were detected in the obese group compared to the non-obese group. Regardless of obesity, weight gain and blood pressure (BP) increased in the SLC12A3 GA+AA genotype rather than in the GG type. HDLc was associated with obesity risk without genotype difference. Odd ratios for risk of obesity were 15.57 (95% CI 2.192~110.654), 22.84 (95% CI 1.565~333.469), and 9.32 (95%CI 1.262~68.817) in boys and girls with GA+AA genotypes as sodium intake increased above 4,000 mg/day. Dietary calcium, sodium, folate, and vit C were associated with obesity risk according to gender or genotype differences. Since high folate intake reduced obesity risk in only boys with GG type. Risk for overweight and obesity increased in boys with GA+AA genotypes and dietary habits with high sodium and cholesterol and low folate. Conclusion: The A allele of SLC12A3 rs11643718 was sensitive to development of obesity in children as sodium intake increased.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the Disorders of Lipid Metabolism and Hepatic Functions in Rats treated by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녹차가 다이옥신계 TCDD(2,3,7,8-tetrachlorodibenzo-p-dioxin)에 노출된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 독성물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 Lee, Joon-Ho;Kim, Hyun-Sook;Hwang, Seok-Yo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5 no.9
    • /
    • pp.1185-1193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een tea on the disorders of lipid metabolism, oxidative system and hepatic functions induced by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using adult male rats (SD) for 3 weeks. These 36 anima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CDD ($50{\mu}g/kg$ BW)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at the beginning of experiment. Green tea powder was added 1% or 3% levels in basal diets respectively. Relative weights of thymus were decreased about one-third of control group, but those of liver, brain and testi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rats treated TCDD. Neutrophill% and lymphocyte% by TCDD treatment was improved by green tea diets. In liver functional enzyme, elevation of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ies due to TCDD treatment was lowered by green tea diets. The concentrations of serum and liver lipid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TCDD treatment, however, those of serum and liver triglyceride tended to decrease by green tea diets. Fecal lipid excretion was increased in rats fed green tea diets. Especially, fecal total 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elevated by 3% green tea diets.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were increased in rats fed 3% green tea diets. Increment of benzphetamine N-demethylase (BPND) activity by TCDD treatment was declined by 1% green tea die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een tea can exert improving effects on liver lipid accumulation and unfavorable hepatic functions, and elevate antioxidation.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s of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다시마 첨가 배추김치의 체중 감량 및 지질 저하 효과)

  • Ku, Hwa-Suk;Noh, Jeong-Sook;Yun, Ye-Rang;Kim, Hyun-Ju;Kwon, Myung-Ja;Cheigh, Hong-Sik;Song, Yeong-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6 no.9
    • /
    • pp.1140-1147
    • /
    • 2007
  • A recipe for diet kimchi containing 20% of sea tangle to Korean cabbage kimchi (SK) was developed for weight reduction purpose. The fermentation process of SK showed typical Lactobacillus sp. growth pattern like other kimchis. The effects of SK on weight reduction was studied in high fat diet (HFD) fed rats (n=40). Diet groups used for the animal study were HFD, HFD supplemented either with Korean cabbage kimchi used as experimental control (HCK), or with SK (HSK), or with J-kimchi (JK) which was purchased at market (FJK). The effect of kimchi on preventing obesity in rat fed HFD was found to be obvious by means of reducing visceral fat contents and improving serum lipid profiles through enhancing the lipid excretion in the feces (p<0.05). Leptin concentration of ra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kimchi consumption (p<0.05).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adipocytes in these animals were fewer than that of HFD group. The plasma bililubin concentration was lower in kimchi group than HFD, meaning that returning bile from ileum to the liver was reduced. When the observe beneficial effects of kimchi on preventing obesity were compared among kimchi groups, SK only reduced the relative visceral fat contents significantly than other kimchi groups (p<0.05). Besides this, other parameters such as plasma lipid profiles, feces lipids, leptin, and bililubin concentr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ven though the most beneficial effect on these parameters was observed from SK. In conclusion, long term consumption of SK seems to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prevention of obesity through enhancing the excretion of lipids in the feces. The dietary fiber content of SK was increased by 7% compared to CK when 20% of sea tangle was added.

Effects of Semolina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Rice Noddles (세몰리나 첨가가 쌀국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 Kim, Byong Ki;Park, Jung Eun;Zu, Genuine
    • Food Engineering Progress
    • /
    • v.15 no.1
    • /
    • pp.56-63
    • /
    • 2011
  • Durum wheat semolina was added into wet-milled rice flour in order to improve chewy texture, firm bite ("al dente"), and resistance to overcooking of the ordinary rice noodles. Wet noodles were prepared by mixing 0 (control), 5, 10, 15, and 20% (w/w) of semolina per semolina and rice flour mixtures. Vital gluten (4%, w/w) and salt (2%, w/w) were added to form the pliable strands of wet noodles and final moisture contents of the raw mixtures were equalized at 45%. Pasting properties of the suspended flour mixtures as measured by the Rapid Visco Analyser (RVA) showed slight increases (up to $1.2^{\circ}C)$ in pasting temperatures along with the considerable decreases in peak viscosities as semolina increased at over 15%. Reduced shear thinning and retrogradation of the starch solution that leads to hardening of the cooked noodles were indicated by lowered breakdown viscosities and gaps between finaland setback viscosities from the RVA viscogram as semolina increased at over 10%. Reduced water uptake and turbidity increases of the cooking water as caused by the soluble starches from the noodle were also noted as the content of semolina increased. More or less significant (p<0.05) decreases in colorimetric L (lightness) value of the raw- and cooked noodles were observed as semolina increased while a- (redness) and b (yellowness) values were rather increased at the same moment. Textural properties of the cooked noodles such as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from TPA tests were significantly (p<0.05) influenced by added semolina, even at 5%-levels or more. It can be concluded that addition of semolina into rice flour could provide easy handling of the wet noodles without distortion during transportation, integrity and firm bite of the cooked noodles, and less loss of starch to the cooking water in comparison with the ordinary rice noodle. It was finally suggested that optimum level of the semolina in the product was approximately 10% for the quality wet rice noodle products.

Molecular Breeding of Tobacco Plants Resistant to TMV and PVY (분자생물학적 TMV 및 PVY 저항성 연초 육종)

  • E.K. Pank;Kim, Y.H.;Kim, S.S.;Park, S.W.;Lee, C.H.;K.H.Pa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obacco Science Conference
    • /
    • 1997.10a
    • /
    • pp.134-152
    • /
    • 1997
  • Plant viruses of tobacco including tobacco mosaic virus (TMV) and potato virus Y (PVY) cause severe economic losses in leaf-tobacco production. Cultural practices do not provide sufficient control against the viruses. Use of valuable resistant cultivars is most recommendable for the control of the viruses. However, conventional breeding programs are not always proper for the development of virus-resistant plants mostly owing to the frequent lack of genetic sources and introduction of their unwanted properties. Therefore, we tried to develop virus-resistant tobacco plants by transforming commercial tobacco cultivars, NC 82 and Burley 21, with coat protein (CP) or replicase (Nlb) genes of TMV and PVY necrosis strain (PVY-VN) with or without untranslated region (UTR) and with or without mutation. Each cDNA was cloned and inserted in plant expression vectors with 1 or 2 CaMV 35S promotors, and introduced into tobacco leaf tissues by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 4404. Plants were regenerated in kanamycin-containing MS media. Regenerated plants were tested for resistance to TMV and PVY In these studies, we could obtain a TMV-resistant transgenic line transformed with TMV CP and 6 genetic lines with PVY-VN cDNAs out of 8 CP and replicase genes. In this presentation, resistance rates, verification of gene introduction in resistant plants, stability of resistance through generations, characteristics of viral multiplication and translocation in resistant plants, and resistance responses relative to inoculum potential and to various PVY strains will be shown. Yield and quality of leaf tobacco of a promising resistant tobacco line will be presented.

  • PDF

축산식품중(畜産食品中)의 Cholestrerol에 관(關)한 고찰(考察)

  • Han, Seok-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1995.11a
    • /
    • pp.1-48
    • /
    • 1995
  • 식생활은 인간 생활의 주체이고 먹는다는 것은 그 수단이다. 그중 중요한 하나의 명제는 인간이 놓여진 여러 환경에서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고 그 개체가 소유하고 있는 능력을 최대치까지 생리적으로 성장 발전시킴과 동시에 최대한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식물 섭취방법을 마이크로 레벨까지 해명하는데 있다. 인간은 일생동안 엄청난 양의 음식물을 먹는다(70세 수명일 경우 200만 파운드 즉 체중의 1,400배). 그러나 먹기는 먹되 자신의 건강과 장수를 위하여 어떤 음식을 어떻게 선택하여 어떻게 먹어야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우리나라도 국민 소득이 늘면서 식생활은 서구화 경향으로 기우는 듯하다. 공해를 비롯한 수입식품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자연식과 건강식을 주장하는 소리가 높이 일고 있다. 그중에는 축산 식품이 콜레스테롤 함량이 다른 식품에 비하여 높게 함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심혈관질환의 주범인양 무차별 강조하는 나머지 육식공포 내지는 계란 등의 혐오감 마저 불러 일으키는 경향까지 있는 듯하다. 따라서 본논고에서는 축산식품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수준이 과연 성인병의 주범인지 아니면 다른 지방산과 관련해서 올바르게 평가하고 그 문제점과 대책을 개관해 보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람은 유사이래 본능적으로 주변의 식물이나 동물의 고기를 먹고 성장하여 자손을 증식시키고 어느 사이에 늙으면 죽음을 맞이 하는 싸이클을 반복하면서 기나긴 세월동안 진화를 하여 오늘날의 인간으로서의 자태를 이루었다. 유인원과 같은 인류의 선조들은 수렵을 통해 육식을 많이 하였을 것이므로 인간은 원래 육식동물이 아닐까? 구석기시대의 유물을 보면 많은 뼈가 출토되고 “얄타미라”나 “라스코” 동굴벽화가 선명하게 묘사되고 있다. 2. 우리나라 선조 승구족의 일파가 백두산을 비롯한 만주 송화강 유역에 유입되면서 수렵과 목축을 주요 식품획득의 수단으로 식품문화권을 형성하면서 남하하여 한반도 민족의 조상인 맥족(貊族)으로 맥적(貊炙)이라고 하는 요리(오늘날의 불고기)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3. 인간의 수명을 19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뉴질랜드가 세계최장수국(호주는 2위)로서 평균수명은 남자 58세, 여자 69세인 반면 일본과 한국은 당시 남자 36세, 여자 37세이던 것이 일본은 1989년에 이르러 세계 최장수국으로 등장했으나 1990년 당시 뉴질랜드${\cdot}$호주 등은 목축 및 밀(小麥) 생산국가였기 때문이라는 것과 일본은 오늘날 합리적인 식생활 국가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4. 우리나라 10대 사망원인중 (1994년도) 뇌혈관질환이 1위, 교통사고 2위, 암이 3위 순위로서 연령별로는 10~30대의 불의의 사고(교통사고), 40~60대는 암, 70대 이상은 뇌혈관질환이 가장 많다. 구미${\cdot}$일 7개국 정상국가들은 심질환 사망이 가장 높다. 5. 식생활의 변화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주식으로 섭취해 왔던 곡류는 70년 대비 94년에는 0.7배 감소된 반면 육류 5배, 계란 2.4배, 우유는 무려 29.3배 증가되었다.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 경향으로 바뀌는 것 같다. 6. 71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국민 1인당 1일 평균 13.1g에 섭취에너지의 5.7%수준이었으나 92년도에는 34.5g으로서 총에너지 섭취량의 16.6%에 달하고 총섭취 지방질중 동물성 섭취 비율은 47%를 차지 한다. 국민 평균 혈청콜레스테롤 농도는 80년에 비해 88년에는 11%가 증가되었고 80년에 210mg/dl 이상 되는 콜레스테롤 혈증인 사람의 비율이 5%에서 88년에는 23%로 크게 증가했다. 7. 세계 정상국가들의 단백질 즉 축산식품의 섭취는 우리나라보다 적게는 2배, 많게는 6~7배 더 섭취하고 90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일본의 1/3수준에 불과하다. 8. 콜레스테롤은 인체를 비롯한 모든 동물체에 필수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체내 존재하고 있는 총량은 90~150g, 이중 혈청콜레스테롤은 4%(6g)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아주 적은 콜레스테롤에 일희일비(一喜一悲) 논쟁은 60~70년 끄러오고 있다. 9. 콜레스테롤의 생체내 기능으로서는 (1) 세포벽의 지지물질 (2) 신경세포 보호막물질 (3) 담즙산의 합성 (4) 비타민 D의 합성 (5) 임신시에 반듯이 필요한 분자 (6) 기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필수적인 물질이다. 10. 우리가 식이를 통해서 섭취 콜레스테롤을 550mg정도를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이 정도의 양은 배설 소모되는 양과 거의 맞먹는 양이다. 피부와 땀샘에서 소실되는 양만도 100~300mg에 달하기 때문에 미국농무성에서 섭취량을 300mg로 제한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11. 콜레스테롤 운반체로서의 지단백질은 그 밀도가 낮은 것으로부터 킬로미크론(chylomicron), 초저밀도 지단백질(VLDL), 저밀도 지단백질(LDL) 및 고밀도 지단백질(HDL)으로 나누는데 LDL은 혈청콜레스테롤 중 약 70%, HDL은 약20%를 함유한다. 12.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열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음식을 통해서 섭취되는 콜레스테롤 중 단지 10~40%정도가 흡수되고, 체내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이 증가할수록 식이콜레스테롤은 실제 혈청콜레스테롤 수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식이중함량에 대하여 공포를 느끼고 기피할 필요가 없다. 2) 고도불포화지방산, 단가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의 비 즉 P/M/S의 비가 균형되도록 권장한다. 3) 동맥경화를 비롯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혈전증에는 EPA의 양을 높여줌으로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4) 오메가6지방산 아라키도닉산과 오메가3지방산인 EPA로 유도되는 에이코사에노이드 또는 프로스타노이드는 오메가6와 3지방산을 전구체로 하여 생합성되는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이다. 5) 사람은 일반적으로 20세에서 60세까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60세 이후부터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심장보호성 H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는 반면에 죽상경화성 LDL콜레스테롤은 증가한다. 6) 높은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심장병 발생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좋은 HDL이라 부르고, LDL은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유전적 요인보다도 환경적 요인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7) 이것은 생활 형태와 영양섭취상태를 포함해서 개인적 생활패턴에 영향을 받는다. 8) 많은 실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은 노년의 가령(加齡)에 적응하기 위한 자연적 또는 생리적인 세포의 생화학적이고 대사적인 기능을 위해 필수적일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 점으로 미루어 노년의 여성들을 위한 콜레스테롤 농도를 200mg/dl이 가장 알맞은 양이 아닌 듯하다. 9) 스트레스는 두가지 모양으로 유발되는데 해로은 스트레스(negative), 이로운 스트레스(positive)로서 긴장완화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10% 떨어진다. 10) 자주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혈중 HDL콜레스테롤치가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높다. 육체적인 운동의 정도와 혈중 HDL콜레스테롤 농도와는 정비례한다. 11) 흡연은 지방을 흡착시키므로 혈전증의 원이이 되며 혈관속의 HDL농도를 감소시킨다. 12) 에너지의 과잉섭취에 의한 체중 증가느 일반적으로 지단백질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간에서는 콜레스테롤 과잉 생산과 더불어 VLDL콜레스테롤의 LDL콜레스테롤 혈증을 나타냄으로 운동과 더불어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3.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조절기술 1) 식품의 우열을 평가할 때 단순히 동물성 또는 식물성 식품으로 분류해서 총괄적으로 논한다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이것은 그 식품에 함유하고 있는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 2) 인체의 원할한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P /M /S비율 뿐만 아니라 섭취 지방질의 오메가6 /오메가3계 지방산의 비율이 모두 적절한 범위에 있어야 하며 한두가지 지방산만이 과량일 때는 또 다른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3) 닭고기는 오메가6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중에 등푸른 생선이나 어분이나 어유를 첨가하여 닭고기는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됨을 알 수 있다. 4) 오늘날 계란내의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켜 난황내의 오메가 3계열 지방산 함량을 증가시킨 계란의 개발이 활발해졌다. 14. 계란 콜레스테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고자 계란의 클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과제가 등장하면서 그 기술개발이 여러모로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실용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15. 계란의 콜레스테롤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난황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16. 계란 중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치는 표현 방식에 따라서 소비자들을 혼란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과거에는 비색법으로 분석했으나 오늘날은 효소법으로 분석하면 분석치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17.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버터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물리적${\cdot}$생물학적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현장적용이 가능한 것은 아직 없다. 18. 우리나라에서 이미 시판되고 있는 DHA우유가 선보였고 무콜레스테롤 버터의 경우 트란스(trans)형 지방산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을 것이다. 끝으로 국가 목표의 하나는 복지사회 건설에 있고 복지국가 실현에는 국민 기본 욕망의 하나인 식생활 합리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소득이 늘고 국가가 발전해감에 따라 영양식${\cdot}$건강식 및 기호식을 추구하게 됨을 매우 당연한 추세라 하겠다. 우리의 식생활이 날로 향상되어 지난날의 당질 위주에서 점차 축산물쪽으로 질적 개선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고무적임에 틀림없다. 이 축산물을 통한 풍요로운 식의 문화를 창출하면서 건강과 장수 그리고 후손에 이르기까지 번영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에 심혈을 기우려야 할 때이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Subset Construction Methods in OSEM Algorithms using Simulated Projection Data of Compton Camera (모사된 컴프턴 카메라 투사데이터의 재구성을 위한 OSEM 알고리즘의 부분집합 구성법 비교 연구)

  • Kim, Soo-Mee;Lee, Jae-Sung;Lee, Mi-No;Lee, Ju-Hahn;Kim, Joong-Hyun;Kim, Chan-Hyeong;Lee, Chun-Sik;Lee, Dong-Soo;Lee, Soo-Jin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v.41 no.3
    • /
    • pp.234-240
    • /
    • 2007
  • Purpose: In this study we propose a block-iterative method for reconstructing Compton scattered data. This study shows that the well-known expectation maximization (EM) approach along with its accelerated version based on the ordered subsets principle can be applied to the problem of image reconstruction for Compton camera. This study also compares several methods of constructing subsets for optimal performance of our algorithms. Materials and Methods: Three reconstruction algorithms were implemented; simple backprojection (SBP), EM, and ordered subset EM (OSEM). For OSEM, the projection data were grouped into subsets in a predefined order. Three different schemes for choosing nonoverlapping subsets were considered; scatter angle-based subsets, detector position-based subsets, and both scatter angle- and detector position-based subsets. EM and OSEM with 16 subsets were performed with 64 and 4 iterations,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of each algorithm was evaluated in terms of computation time and normalized mean-squared error. Results: Both EM and OSEM clearly outperformed SBP in all aspects of accuracy. The OSEM with 16 subsets and 4 iterations, which is equivalent to the standard EM with 64 iterations, was approximately 14 times faster in computation time than the standard EM. In OSEM, all of the three schemes for choosing subsets yielded similar results in computation time as well as normalized mean-squared error. Conclusion: Our results show that the OSEM algorithm, which have proven useful in emission tomography, can also be applied to the problem of image reconstruction for Compton camera. With properly chosen subset construction methods and moderate numbers of subsets, our OSEM algorithm significantly improves the computational efficiency while keeping the original quality of the standard EM reconstruction. The OSEM algorithm with scatter angle- and detector position-based subsets is most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