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흑색.백색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4초

시각막의 바탕과 줄무늬의 색상에 따른 붕어와 금붕어의 시각운동 반응 (The Optomotor Response of Crusian Carp and Goldfish in Accordance with the Colors of the Wall and the Stripes of the Visual Screen)

  • 장충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0권1호
    • /
    • pp.17-22
    • /
    • 1984
  • 시각막의 바탕과 줄무늬 색상을 흑색, 청색, 적색, 백색과 황색 중 2가지씩 순열시킨 20가지 경우에 대하여 붕어 Carassius carassius와 금붕어 Carassius auratus의 시각운동반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붕어의 시각운동반응율은 적색-흑색, 청색-황색과 백색-흑색 일 때 80~90%로 높았으며, 황색-백색, 백색-황색, 흑색-청색, 청색-흑색과 적색-백색일 때 25~40%로 낮았다. 2. 금붕어의 시각운동반응율은 백색-황색, 청색-흑색과 백색-적색을 제외하고는 80%이상으로 높았었다. 3. 붕어의 3분 동안의 평균선 회수는 황색-청색, 백색-청색, 황색-흑색과 백색-흑색일 때 7.5~9.5회로 많았으며, 청색-적색, 황색-백색, 흑색-청색, 적색-모든 색과 청색-흑색일 때 1.8~3.9회로 적었다. 4. 금붕어의 3분 동안의 평균선 회수는 황색-청색, 백색-청색과 백색-흑색일 때만 4.1~4.9회이고, 나머지는 1.6~3.5회로 적었다

  • PDF

한국재래오골계의 유전 및 경제형질에 관한 연구 I. 외모형질에 대한 특징과 생장 (Studies on the Hereditary Characters and Some Economical Traits of Korean Native Ogolgye I.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Morphological Traits)

  • 한성욱;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5-73
    • /
    • 1985
  • 본 연구는 한국재래오골계의 외모형질에 대한 특징과 생장을 조사하여 품종학적인 정립과 유전적 개량 및 유전자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천연기념물 265호로 지정된 연산오골계 총 1,156수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으로써는 우모색과 지수, 정강이와 관의 색과 정강이, 관, 우역에 따른 깃털 생장 및 생존율 등이었으며, 이들에 관한 수치들이 표의 형태로 본문에 제시되었다. 얻어진 결과들을 요약하면, 우모는 정상우에 흑색과 백색으로 구분되었으나 백색우모계의 빈도는 극히 낮고, 지색은 흑색모계에서 흑색지와 백색모계에서 백색지로 구분되고, 관은 암ㆍ수 모두 흑색계통의 단관이고, 각우가 없는 회흑색 정강이에 사지이며 흑색안을 갖는 것으로 요약된다.

  • PDF

피복과 차광이 천궁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ching and Shading on Growth and Yield of Ligusticum chuangxion HORT. and Cnidium officinale MAKINO)

  • 최수용;장광진;이기철;박철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09-215
    • /
    • 2000
  • 본 시험은 지하부 수량성 증대를 위한 천궁(川芎)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재배법을 확립하고, 지하부의 수량증대와 생산성 증대를 도모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토천궁(土川芎)의 근수량은 짚, 백색비닐, 흑색비닐 피복구 순으로 생체중 및 건물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차광처리에 따른 토천궁의 지하부 생육특성에서는 백색차광에서 개체당 근경중, 세근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천궁(日川芎) (Cnidium officinale)의 피복처리에 따른 지하부의 건물중은 무처리구에서 20.4 g 으로 가장 낮았고, 흑색비닐 피복구가 27.7 g으로 가장 높았다. 일천궁(日川芎)의 차광처리에 따른 지하부의 건물중은 백색차광 처리구에서 21.1 g으로 가장 높았고, 흑색비닐 처리구에는 16.3 g으로 가장 낮았다. 근경의 직경은 백색차광 처리구 (26. 1mm)가, 근장은 흑색차광 처리 구 (71. 9 mm)가 가장 높았다. 일천궁(日川芎)에 있어서 흑색비닐 피복은 무처리에 비해 36%의 건물중 증가를 가져 왔다.

  • PDF

조경용 차양막 재료의 명도가 하절기 옥외공간의 평균복사온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Landscaping Shade Membrane's Brightness on the Mean Radiant Temperature(MRT) of Summer Outdoor)

  • 이춘석;류남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5-73
    • /
    • 2015
  • 조경용 차양막의 명도가 하절기 옥외공간에서 인간이 느끼는 온열쾌적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흑색과 백색 차양막으로 2.5m의 피라미드형 시험구를 조성하여 그 하부 공간의 평균복사온도 변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실적인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95% 일사차단율의 농업용 통기성 흑색 차양망 하부와 비교 검토하였다. 지면으로부터 1.1m, 1.7m, 2.4m 지점에서 계측된 평균복사온도를 비교한 결과, 차양이 없는 대조구의 평균복사온도가 $41.8^{\circ}C$일 때, 막면과 인접한 지상 2.4m 지점의 평균복사온도는 흑색 및 백색막과 통기성 흑색망에서 각각 $49.1^{\circ}C$, $41.6^{\circ}C$, $36.8^{\circ}C$로 분석되어, 흑색막 아래의 값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사람이 체감하는 범위인 지상 1.7m 지점의 평균값은 $37^{\circ}C$, $38^{\circ}C$, $33^{\circ}C$로 분석되어 재료의 명도에 의한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는 흑색막보다 백색막 아래의 평균복사온도 값이 미세하게나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기성 흑색망의 경우 모든 높이에서 가장 낮은 평균복사온도를 보여서 하절기 열환경 개선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에 사용된 차양막 소재의 일사 반사 및 흡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동일 소재라도 색상의 밝기에 따라서 일사의 반사율과 흡수율, 투과율에서 차이가 발생됨이 확인되었다. 흑색막의 경우, 일사 반사율은 낮고, 흡수율은 높아 막 자체의 온도가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사 투과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백색막의 경우, 일사반사율은 높은 반면, 일사 흡수율이 낮아 막면 자체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일사투과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막면의 장파복사량과 표면온도는 흑색이 높게 나타났으나, 실제 사람들의 체감 범위에서의 평균복사온도는 흑색막 아래가 미세하게나마 더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난 것은 백색막의 상대적으로 높은 일사투과율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제어 조건에서 방충망 색과 크기가 담배가루이 및 꽃노랑총채벌레의 물리적 방제에 미치는 영향 (Colors and Sizes of Insect Screen Net Influence Physical Control of Bemisia tabaci and Frankliniella occidentalis under Controlled Environments)

  • 정충렬;윤정범;김광호;이광재;허정욱;김현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6-54
    • /
    • 2016
  • 주요 온실해충인 담배가루이와 꽃노랑총채벌레를 대상으로 크기가 다른 백색의 여섯 가지의 방충망(0.2, 0.3, 0.4, 0.6, 0.8 mm과 TW30)과 세 종류의 색상(흑, 백, 적)을 가지고 차단율을 조사하였다. 담배가루이와 꽃노랑총채벌레는 0.2 mm 방충망에서는 각각 100%와 86%의 높은 차단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0.3 및 0.4 mm 망에서 담배가루이는 96% 이상의 높은 차단율을 보인 반면 꽃노랑총채벌레는 40% 미만의 낮은 차단효과를 나타냈다. 담배가루이에 대한 0.6와 0.8 mm의 백색과 적색망의 색상별 차단효과를 조사한 결과 0.6 mm 망에서는 백색이, 0.8 mm 망에서는 적색이 우수하였지만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한 0.2 mm 백색과 흑색망에서는 백색보다 흑색에서 100%의 완벽한 차단효과를 나타낸 반면, 0.6과 0.8 mm의 흑, 백, 적 또는 백, 적의 반응에서 백색보다는 적색의 차단효과가 높았다. 공기 순환과 경제성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담배가루이 방제에는 0.4 mm 백색 방충망을, 꽃노랑총채벌레 방제에는 0.2 mm의 흑색 방충망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Bar code 활용기술 분석

  • 김정호;박중무;이대기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4권4호
    • /
    • pp.85-97
    • /
    • 1989
  • 슈퍼나 소매점등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포장을 자세히 살펴보면 흑색과 백색의 줄무늬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볼수가 있다. 이것을 bar code라고 하는 데 국명, 메이커명, 상품명등을 수치화하여 하나의 코드로 만들고 그것을 독해하여 가격을 산출하고 정산업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면서 자료를 모아 해석하여 재고 관리, 발주, 매입 업무를 합리화하고 이를 정보 네트워크에 의하여 수요에 대응한 판매를 전개하는 등 물자의 유통관리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즉 bar code system은 흑색 또는 백색의 굵은 bar와 가는 bar의 구성에 의하여 하나의 성질 (숫자, 기호, 알파벳 문자)을 나타내고 그 연속을 광학식 입력수단을 통하여 하나의 코드에 정리한 자동화된 데이터수집(Automated Data Collection)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bar code의 동작, 구성, 인식장치의 원리와 활용사례를 기술하였다.

수확시 숙기와 제조방법이 라운드베일 호밀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II. 수확시 숙기 및 비닐색이 호밀 라운드 베일 사일리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 김종근;김동암;정의수;서성;강우성;박형수
    • 한국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1999년도 제24회 정기총회 및 프로그램, 제37회 학술발표회 및 특별강연 초록
    • /
    • pp.98-98
    • /
    • 1999
  • 본 시험은 호밀 라운드베일 사일리지 제조시 수확시 숙기 및 비닐색이 사일리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저장 2개월 후의 일반조성분 함량은 수확시 숙기간에는 유의성이 있었으나 비닐 색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백색비닐을 사용한 경우 IVDMD가 흑색이나 녹색을 사용한 경우보다 높았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pH는 백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흑색과 녹색 비닐간에는 차이가 없었다.(중략)

  • PDF

터널 배수시설에 유입된 침전물의 유입경로 및 성분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Influx Path and Ingredient of Sedimentation Substance in Tunnel Drainage System)

  • 우종태;유상건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45-152
    • /
    • 2004
  • 적색 침전물은 철성분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흙막이공과 지역 특성상 철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지하수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백색 침전물의 경우 가장 많이 발견된 성분은 산화칼슘으로 건설당시 지반보강을 위하여 시행한 그라우팅 주입재인 시멘트가 지하수와 함께 터널 내부로 유입된 침전물로서 터널의 안전성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흑색 침전물은 정거장 시점 및 종점 근접부 터널에서 발생되고 있으며, 이는 청소용수 퉁 이물질이 터널 내 배수시설로 유입되어 백색 또는 적색 침전물과 혼합된 침전물이다.

수확시 숙기 및 비닐색이 호밀 라운드베일 사일리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urity at Harvest and Wrap Colors on the Quality of Round Baled Rye Silage)

  • 김종근;김동암;정의수;서성;김종덕;함준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55-362
    • /
    • 1999
  • 본 시험은 1998년 축산기술연구소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호밀 라운드베일 사일리지 제조시 수확시 숙기 및 비닐색이 사일리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 설계는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수잉기, 출수기 및 개화기에 수확하는 수확시 숙기를 두고 세구로는 비닐랩의 색깔을 백색, 흑색 및 연녹색으로 구분하여 3반복으로 수행하였으며 라운드베일 사일리지 제조시 호밀은 수잉기에는 1일, 출수기 및 개화기에는 0.5일간 예건하였다. 저장 2개월 후의 섬유소 함량(ADF 및 NDF)은 숙기가 지연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비닐색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IVDMD는 백색비닐을 사용한 경우가 흑색이나 연녹색을 사용한 경우보다 높았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pH는 출수기에서 평균 5.12로 가장 높았고 개화기에서 평균 4.57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비닐색에 있어서도 백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흑색과 연녹색 비닐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사일리지의 건물 함량은 수확시 숙기가 지연됨에 따라 증가하였고, 백색비닐의 건물 함량이 높았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수잉기에서 가장 높았고 출수기와 개화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비닐색에 있어서는 흑색구가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젖산 생성균의 수는 백색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확시기는 개화기에서 높은 수를 나타내었다. 수확시 숙기가 지연됨에 따라 초산 및 낙산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젖산 함량은 6.33에서 7.98%로 증가하였다. 한편 비닐색은 유기산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비닐색에 따른 사일리지의 온도에 있어서 외부온도는 외부기온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았고, 내부온도은 영향이 적었다. 흑색비닐은 다른색에 비해 온도가 $3{\sim}5^{\circ}C$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호밀 라운드베일 사일리지 제조시 출수기 이후로 수확을 늦추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닐색에 대한 차이는 없었지만 흑색비닐 보다는 백색 또는 연녹색비닐 피복 사일리지의 품질이 약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정조대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 장용영(壯勇營) 하급 군사(軍士)의 군복(軍服) 고증 (Features of the Military Uniforms of the Low-Ranking Soldier Belonging to Jangyongyoung in the King Jeongjo Period Seojangdaeyajodo)

  • 이경희;김영선;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90-111
    • /
    • 2021
  • 1795년 윤2월 12일 정조가 친림하여 행한 장용영 외영의 군사 훈련을 그린 <서장대야조도>를 중심으로 장용영 하급 군사들의 위치와 역할, 역할별 군복의 구성과 특징을 고찰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장대야조도>에서 정조가 자리한 서장대 앞에 2열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등롱군·뇌자·순령수·대기수와, 서장대를 둘러싸고 정조를 호위한 군사들은 모두 장용영 소속 하급 군사들이었다. 정조 앞에 배치된[御前前排] 등롱군의 군복은 전립, 흑색 협수, 홍색 괘자, 남색 전대, 백색 제비행전, 흑혜로 고증하였다. 하급 군사들의 협수는 기존 학계에 알려진 관직자들의 무가 있는 협수와는 달리 소창의형 협수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등롱군은 칼을 차고 손에는 홍사촉롱을 들었다. 뇌자는 신전수와 주장수가 있었다. 왕 앞에 배치된 뇌자의 군복은 주전립, 흑색 협수, 홍색 괘자, 남색 전대, 백색 제비행전, 흑혜로 고증하였다. 뇌자는 칼을 차고 신전기 또는 주장을 들었다. 왕 앞에 배치된 순령수는 순시기수와 영기수가 있었다. 순령수의 군복은 전건, 흑색 협수, 홍색 괘자, 남색 전대, 백색 제비행전, 흑혜로 고증하였다. 순령수는 칼을 차고 홍순시기 또는 홍령기를 들었다. 왕 앞에 배치된 대기수의 군복은 전건, 흑색 협수, 청색 괘자, 남색 전대, 백색 제비행전, 흑혜로 고증하였다. 왕 앞에 배치되는 다른 군사들과 달리 대기수는 정조대에 와서야 왕 앞에 배치됨으로써 괘자의 색상이 청색인 점이 달랐다. 대기수는 칼을 차고 대기치를 들었다. 서장대를 둘러싼 군사들은 전초군과 좌초군이었고, 성곽을 방어하는 군사들은 좌·우·전·후 초군으로 보았다. 초군의 군복은 전립, 흑색 협수, 호의, 남색 전대, 백색 제비행전, 짚신으로 고증하였다. 호의는 방위에 따른 색을 사용하였기에 좌초군은 청색, 우초군은 백색, 전초군은 홍색, 후초군은 흑색이었다. 초군이 소지하는 무기는 조총과 칼이었다. 성정군들은 조총과 칼 외에도 훈련 상황에 따라 횃불이나 등이 달린 기창을 들기도 하였다. 이상의 고증 결과를 반영한 시각화의 기본 원칙은 3D 콘텐츠 제작뿐만 아니라 실물 제작까지 가능하도록 시대와 신분에 적합한 형태·색상·재질 기준을 제안하였다. 역할별 복식 착장도에 무기와 군기(軍器)를 갖춘 앞·옆·뒤 모습으로 표현하고 색상을 RGB와 CMYK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