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흐름의 가시화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1초

언덕이 있는 하상유동 계측을 통한 PIV기법의 수력학적 적용연구 (Application of PIV in the Flow Field Over a Fixed Dune Bed)

  • 현범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0-15
    • /
    • 2002
  •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고정된 이차원 모래언덕에 의하여 생성되는 난류유동장을 해석하기 위하여 PIV 기법을 적용하였다. PIV 기법의 사정을 위하여 LDV 실험자료와 결과를 비교하였는데 유동박리 및 큰 전단유동 영역에까지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레이저 시트로 조사된 이차원 단면의 흐름을 이미징 테크닉으로 해석하는 PIV 방법이 갖는 고유의 단점들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하였으나, 전체적으로 LDV 결과와 매우 잘 일치하고 있었으며 특히 Two-point correlation 이나 Quadrant analysis와 같이 고차항까지를 추적할 수 있었다 특히 기존의 일점계측법으로는 해석이 불가능한 순간유동장의 가시화 및 정량화가 가능하였으며 Time-series로 변환시킨 PIV 데이터의 신뢰성도 확인이 가능하였다. 추후 토사이동과 같은 복잡한 유동해석에도 본 기법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브이월드 데스크톱을 위한 대용량 공간정보 데이터 지원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arge-Volume Scalable Spatial Data for VWorld Desktop)

  • 강지훈;김현덕;김정옥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1호
    • /
    • pp.169-179
    • /
    • 2015
  • 최근 IT기술의 발달로 데이터의 양이 급증함에 따라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는 빅 데이터 시대가 도래하게 되었다. 다양하고 방대한 빅데이터 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흐름에 따라 공간정보 분야에서도 대용량의 공간정보 데이터 서비스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대표적인 공간정보 데이터 서비스 기술을 살펴본 후, 국내의 대표적인 지도 소프트웨어인 브이월드 데스크톱에 적용 가능한 KML 포맷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분할 방법과 도구를 검증하기 위해 대용량의 KML 데이터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인덱스 파일과 분할 파일들이 생성되어 브이월드 데스크톱에서 가시화 되었다.

수축열조의 온도 계층화에 대한 수치해석 및 실험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and Experiments for the Stratification of the Hot Water Storage)

  • 양윤섭;백남춘;김홍제;유제인;이준식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187-197
    • /
    • 1993
  • In this study, the numerical analysis and experiments of the hot water storage using the thermal stratification techniques were carried out. The CPU time for a typical run of the the thermal stratification up to 900 seconds took one week for a $81{\times}31$ mesh size and 10 days for a $118{\times}31$ mesh size, respectively, for a cylindrical shape of the storage. In the initial stage, the numerical results were in favorable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but it showed that the temperature gradients in the storage decreased gradually with time. It was also found that the increase of ${\delta}t$ decreased the convergent speed due to the intensive fluctuation of the velocity field in every iteration. The increase of numbers of grids is projected to forecast a more accurate result, but it made the computing time longer and woul slow down convergence. At the experiments of the flow visualiz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rmal stratification was apparently built up due to the installation of diffuser at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Thus,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storage could be improved by installing the diffusers at the inlet and outlet.

  • PDF

자유흐름 속도의 이동면과 맞닿은 회전실린더 주위 유동장의 실험적 해석 (An experimental study of a flow field generated by a rotating cylinder on a plane moving at free stream velocity)

  • 박운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1권5호
    • /
    • pp.700-712
    • /
    • 1997
  • The flowfield generated by a 2-D rotating cylinder on a plane moving at freestream velocity wa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n a wind tunnel to simulat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rotating wheels of an automobile. In the flowfield around a rotating cylinder at 3*10$^{3}$ < Re$_{d}$<8*10$^{3}$, unique mean flow and turbulence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by hot-wire measurements as well as frequency analysis, which was supported by flow visualization. In the vicinity of a rotating cylinder, a unique turbulence structure on .root.over bar u'$^{2}$ profiles was formed in hump-like shape at 1 < y/d < 3. A peak frequency which characterized the effect of a rotating cylinder had the same value of the rotation rate of a cylinder. In case of cylinder rotation, the depths of mean velocity -defect and turbulent-shear regions were thickened by 20-40% at 0 < x/d < 10 compared with the case of cylinder stationary. Far downstream beyond x/d > 10, the flowfield generated by a rotating cylinder showed self-similarity in the profiles of mean velocity and turbulence quantities. The effect of a rotating cylinder was independent of its rotation rate and Reynolds number in the measurement range.

안개 발생 시 원적외선 표면영상유속계의 적용성 검토 (Applicability of Ray Surface Image Velocimeter using Far Infrared Ray in Fog Condition)

  • 배인혁;김서준;윤병만;류권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70-70
    • /
    • 2017
  •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한 유속 측정 방법인 표면영상유속계는 비접촉식으로 간편하게 유속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영상 내 추적자의 움직임을 식별하기 어려운 야간의 경우와 새벽의 안개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유속 측정의 어려움이 있었다. 표면영상유속계를 이용한 야간 유속 측정은 조명과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표면을 가시화하는 방법을 통해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였으나, 안개 발생 상황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야간과 안개 등의 한계를 동시에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원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시작단계이고, 원적외선의 경우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물체의 표면온도가 검출되는 파장이 달라져 영상의 품질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다양한 실험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야외 개수로에서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하여 안개 조건을 재현하고, 다양한 흐름 조건에서 원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표면유속 측정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안개가 발생하는 경우 원적외선 표면영상 유속계를 적용한 결과 안개가 없을 때의 유속 측정 결과와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원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표면유속 측정 방법은 야간과 안개가 발생하는 상황에 모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나타났다. 향후 하천 유량조사에 원적외선 카메라를 활용한다면 기존의 표면영상유속계의 비가시 환경에 대한 한계들을 많은 부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DCP 후처리 소프트웨어(adcptools)를 이용한 하천 흐름 분석 (Analysis ofriverflow using the ADCP postprocessing software (adcptools))

  • 이찬주;김종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3-115
    • /
    • 2016
  • At present, an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ADCP) is one of the most suitable tools for measurement of three dimensional flow characteristics in the river. The data resulting from this approach can be used for flow visualization and velocity mapping together with post-processing software tools. Among them, 'adcptools' is the latest one and provides more realistic velocity distribution in the cross-section since it uses velocity along the beam direction. In this study, a flow analysis was made using the 'adcptools' for the Amazon River and the Han River dataset. Discharge was recalculated and accuracy of discharge and velocity was evaluated. Streamwise velocity distribution and secondary flow pattern in cross-sections were visualized. Geo-referenced velocity distribution was also mapped. A summary with future prospect of 'adcptools' for studies on fluvial geomorphology is briefly given.

유도무기 형상의 공력 특성 예측 방법 비교 (A Comparison of Aerodynamic Prediction Methodologies for Missile Configurations)

  • 노경호;강동기;김재현;김영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11호
    • /
    • pp.755-762
    • /
    • 2022
  • 유도무기 형상에 대한 풍동시험 데이터를 다양한 반경험식 기반 코드 및 CFD해석 코드를 이용한 공력 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주날개 형상 2종과 주날개와 꼬리날개가 일렬로 늘어선 inline 형상 및 서로 교차되는 interdigitate 형상 등 총 3가지 형상에 대해 시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형상의 특징에 따라 코드별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CFD해석결과를 유동가시화 시험결과와 비교함으로써 CFD 해석 코드가 와류의 흐름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터랙티브 플랫폼 기반 사용자 친화적 연안 지형변화 수치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user-friendly coastal terrain change numerical model based on an interactive platform)

  • 노준수;손상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9-129
    • /
    • 2023
  • 연안 환경은 기후 및 도시개발과 같은 자연·인공적 요인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근래에는 연안 도시 인구증가,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인해 그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특히 연안 침식 및 이에 따른 해안선 변화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연안 침식은 해류와 해안 유사의 마찰로 발생하는 유사이송 현상으로 야기되며, 해안 환경을 변화를 초래하며 인간사회에 경제적인 피해를 주기도 한다. 연안침식이 사회적인 문제로 부상했음에도 여전히 이에 대한 대중적 문제의식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대중매체를 통한 시각적인 노출이 가능한 다른 재해에 비해 재해의 물리적 과정에 대한 시각적인 관측이 어렵다는 배경이 있다고 판단된다. 더불어, 재해의 간접체험이 가능한 플랫폼이 부족하다는 점도 원인으로 여겨진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통한 재해의 간접체험이 가능한 플랫폼이 개발되어왔으며, 이는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재해에 대해 위험성 인지 및 경각심 고취에 활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 플랫폼인 Celeris Advent(Tavakkol and Lynett, 2017)를 기반으로 실시간 유사이송 해석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수치모형을 개발하여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해 조작이 가능한 Celeris Advent는 수치해석 결과를 실시간으로 가시화하며, 이에 대한 사용자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이를 기반으로 유사의 흐름에 대해 모의가 가능하도록 모형을 구성하여 실시간 사용자 입력 및 유사이송 물리현상 관측이 가능하도록 모형을 개발하였다. 수치모형 지배방정식은 2차원 천수방정식과 유사이송방정식을 양방향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정확성 평가를 위해 1차원 및 2차원 수리실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치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전반적인 결과는 실험데이터와 잘 일치하였다.

  • PDF

경사벽면을 갖는 개방 캐비티의 유동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ow Control of Open Cavity with Inclined Rear Walls)

  • 조대환;진완빈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3권8호
    • /
    • pp.1180-1186
    • /
    • 2009
  • 이 실험적인 연구는 오픈 캐비티에서 경사후방벽면을 가지고 있는 유동장안의 제어봉이 있고 없음과 제어봉의 위치에 따른 유동 내부특성을 알고자 하였다. 속도 측정법으로는 흐름과 입자 영상의 가시화가 가능한 PIV기법을 이용하여 레이놀즈수의 변화와 속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제어봉의 어느 위치가 캐비티 내부유동 특성에 영향을 적게 주며, 전단 혼합 층이 유동장 상부와 하류 쪽으로 이동하는지에 대한 레이놀즈수의 임계점을 알고자 하였다.그 결과, 제어봉의 위치 L/H=0.2에서, 제어봉의 위치를 각각 상이하게 정하여 보았으나, L/H=0.2의 경우가 가장 캐비티에 영향을 적게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와류 후방의 흐름이 상부로 서서히 치우쳐 있으며 레이놀즈수가 증가할수록 이러한 현상은 뚜렷해지고, 이것은 y/H=1.0 전후의 주 흐름은 제어봉의 효과로 캐비티 상부에 발생한 주 와류의 위쪽으로 치우쳐 하류로 진행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레이놀즈수가 증가하면서 더욱 뚜렷해지며 그 임계점은 $Re=1.0{\times}10^4$전후임을 알 수 있었다. 제어봉의 위치가 L/H=0.1의 경우 레이놀즈수의 증가 ($Re=6.0{\times}10^3$, $Re=8.0{\times}10^3$, $Re=1.0{\times}10^4$, $Re=1.2{\times}10^4$)에 따라 상부에 이중와류 구조가 발생하고, 캐비티 상부의 전단 혼합 층이 증가함에 따라 하단부의 속도분포가 더 안정적인 모습도 알 수 있었다.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 1952) 의 폐사규명을 위한 모형 양식시설 주변의 조류 분포 분석 (Analysis of Current Distribution around a Scaled-down Abalone System to determine the cause of mass mortality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1952))

  • 차봉진;최양호;양용수;박민우;김병학;편용범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15
    • /
    • 2014
  • 완도에서 주로 사용되는 4열 10행의 가두리 1조를 조합한 형태로 구성된 PE프레임의 내파성 전복가두리를 1/20로 축소하여 모형을 만들고 유체흐름 가시화 실험을 통해 전복가두리 주위의 해수의 흐름을 파악했다. 실험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노화도 현장의 전복양식 가두리의 내부와 외부의 유속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모형실험에서 전복가두리에 입사하는 해수는 대부분 첫 번째 단위 가두리 (칸) 를 통과하지 못하였다. 2. 모형 전복가두리 중앙 부위에서는 가두리에서 수조바닥으로 향하는 흐름을 관측하였다. 3. 모형 전복가두리의 외측 열을 빠져나가는 유체의 유속이 내측 열을 빠져나가는 유체의 유속보다 빨랐다. 4. 노화도의 현장 양식가두리의 2 m앞의 조류의 유속은 0.11 m/sec였지만 가두리 칸 내부의 유속은 0.0009 m/sec로 거의 움직임이 없었다. 5. 현재의 전복가두리 형태는 해수의 유통이 원활하지 않아 가두리 내부로 새로운 해수를 공급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