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흉곽출구증후군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4초

동맥 흉곽 출구 증후군을 일으킨 쇄골하동맥 맥관 육종 -1례 보고- (Arterial Thoracic Outlet Syndrome due to Angiosarcoma of the Subclavian Artery a case report)

  • 이철범;함시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0호
    • /
    • pp.1160-1165
    • /
    • 1996
  • 저자들은 지금까지 발생보고 예가 없는 좌쇄골하동맥 맥관육종 1례 수술을 치험하였다. 제 1늑골의 기형이 있는 19세 여자 환자로, 1년 전부터 점진적으로 심해진 동맥 흉곽 출구 증후군의 증상을 나타냈다. 쇄골 중앙부를 절제한 후 폐쇄된 쇄골하 동맥 제 3부분과 상완 동맥 분절을 절제하고 대복재 정맥을 이용하여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하였다. 쇄골하 동맥의 병리 조직 소견은 벽재성형 맥관 육종이었으며 혈액 응고 인자 WII과 관련되는 항원에 대한 조직 화학적 염색 소견도 양성이었다. 수술전 일상 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 심한 증상이 수술후 거의 소실되었으며, 수술후 4개월된 현재 직장 생활을 계속하고 있다.

  • PDF

흉곽출구증후군 환자의 수술성적 (The Surgical Outcome of Thoracic Outlet Syndrome)

  • 황정주;정은규;백효채;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2호
    • /
    • pp.844-848
    • /
    • 2005
  • 배경: 흉곽출구증후군은 상지에 분포하는 신경, 혈관 다발의 눌림에 의해 통증, 감각이상 및 부종 등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국내에는 그 보고된 예가 적고 특히 수술까지 이른 경우는 드물다. 상기 질환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의 임상양상 및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상기 질환으로 진단되어 수술까지 시행한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의 적응증은 1)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지장을 줄 정도의 통증 및 감각마비, 부종 등의 증상이 있으며 2) 적절한 물리치료 후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고 3) MRI및 혈관촬영에서 늑골 및 쇄골에 의하여 흉곽 출구의 구조물이 확실하게 눌린 소견이 있으며 4)경추부 추간판 탈출증, 근염, 상완신경총 이하의 신경병변 등을 배제하기 위한 검사를 하여 해당사항이 없는 환자에 한정하였다. 수술 방법은 12예는 액와부접근법을, 2예는 쇄골상부 접근법을, 나머지 2예는 쇄골하부접근법을 사용하였다. 걸과: 환자의 연령은 평균 23.9세($\pm$6.3)였으며 남자가 15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늑골 기형이 있는 환자가 4예(25.0$\%$)였고 나머지는 늑골의 이상은 없었다. 우측병변이 8예(50.0$\%$), 좌측병변이 5예(31.3$\%$), 양측병변이 3예(18.7$\%$)였다. 수술 후 9$\∼$26개월의 추적관찰에서 재발률은 12.5$\%$ (2/16)였다. 합병증으로는 1예에서 수술 중 팔신경얼기의 견인에 의한 손상으로 발생한 척골 신경 마비와 술 후 사진에서 호전되었음에도 지속적인 통증이 1예 있었고, 지방괴사와 혈종에 의한 상처의 파열 및 재수술이 3예였다. 결론: 흉곽유출증후군 환자에서 수술이 효과가 있는가에 대하여는 논란이 되고 있으나, 물리 치료에 반응이 없는 환자에게는 적극적인 수술이 좋은 치료 방법이며 빠른 사회 생활의 복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쇄골하 정맥 혈전증의 치료 -쇄골 내측절제술 및 내경정맥 치환술- (Treatment of Subclavian Vein Thrombosis - Medial Claviculectomy and Internal Jugular Vein Transposition -)

  • 정성운;손봉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6호
    • /
    • pp.451-454
    • /
    • 2007
  • 흉곽출구 증후군에서 쇄골하 정맥혈전증은 그리 흔한 질환은 아니지만 혈전 용해술 및 풍선 성형술 또는 스텐트 등의 시술이 필요하게 되고 수술을 통한 첫 번째 늑골절제술과 정맥수술을 요하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경액와 접근법이 아닌 쇄골내측절제술을 통한 구조물 감압과 내경정맥 치환술 후 스텐트 삽입을 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동맥성 흉곽출구 증후군 -1례 보고- (Arterial Thoracic Outlet Syndrome - a case report-)

  • 이철범;함시영;정원상;김영학;강정호;이홍기;박충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9호
    • /
    • pp.903-906
    • /
    • 1998
  • 양측의 불완전한 경추 늑골을 가진 17세 남자 인쇄공이 10일 전부터 좌측 상지를 약 45도 외향시킬 경우 즉시 심한 통증, 파행, 창백증, 상지의 무기력증이 나타나고, 90도 이상 외향시키면 증상이 악화되어 직장생활을 전혀 할 수 없이 무능력해졌다. 체위변화 쇄골하동맥 조영술상 상지의 90도 외향시 경추늑골 직하 부에서 동맥의 완전 폐쇄 소견을 나타내었다. 쇄골상 절개와 쇄골하 절개의 병용으로 앞경추늑골근절제술, 중간경추늑골근 부분절제술, 경추늑골절제술, 제1 늑골절제술, 동맥박리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증상이 소실되어 직장에 복귀하였고 술후 10개월인 현재 까지 증상이 없이 지내고 있다.

  • PDF

흉곽출구(경륵) 증후군 수술치험 1례 (Surgical Treatment of Thoracic Outlet Syndrome -A Case Report-)

  • 김홍규;오봉석;이동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2호
    • /
    • pp.206-208
    • /
    • 1995
  • Thoracic outlet syndrome presents with symptoms resulting from pressure on either the subclavian vessels or the lower trunk of the brachial plexus. It may be caused by a number of abnormalities, including degenerative or bony disorders, trauma to the cervical spine, fibromuscular bands, vascular abnormalities, and spasm of the anterior scalene muscle. We experienced a case of thoracic outlet syndrome [ caused by cervical rib .We report a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s.

  • PDF

흉곽출구 증후군[TOS];치험 1례 (Thoracic Outlet Syndrome - One Case Report -)

  • 김흥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12호
    • /
    • pp.1192-1196
    • /
    • 1991
  • Thoracic outlet syndrome is very rare thoracic surgical neurovascular disorder which is subject to compression by bones and muscular structures impinging upon the subclavian artery, vein k brachial plexus. The operative therapy is applied to remove the anatomical abnormal structures which leads to the compression to develop symptoms. We have operated one patient with thoracic outlet syndrome by excision of cervical ribs & first ribs with using transaxillary & posterior parascapular approaches in the thoracic surgical department,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post-operative courses has been uneventful for 7 months to now.

  • PDF

흉곽출구 증후군의 평가 및 물리치료에 대한 고찰 (A Study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of Thoracic Outlet Syndrome)

  • 임인혁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43-951
    • /
    • 1999
  • Thoracic outlet syndrome's chief symptom has numbness and tingling sensation of tharm, hand and fingers. In the morning, patient complain of pins and needles of the hands and weakness. TOS classified three categories : Anterior scalene syndrome, Claviculocostal syndrome, Pectoralis minor syndrome Physical therapy of the TOS is heat, massage for soft tissue, stretching exercise for scalene muscles and pectoralis minor muscles, and strengthening exercise for upper trapezius and levator scapular and neck muscles. A main problem of soft tissue is mechanical causes, so physical therapists have to solve that problem by mechanical manual methods.

  • PDF

흉곽 출구 증후군 수술치험 1례 (Surgical Treatment of Thoracic Outlet Syndrome)

  • 서정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6호
    • /
    • pp.506-508
    • /
    • 1994
  • Thoracic outlet syndrome refers to compression of the subclavian vessels and brachial plexus at the superior aperture of the thorax. A 35-year old female was evaluated for right hand numbness. This patient had a history of headache, right shoulder pain, and right hand numbness during 10 months.Preoperative angiography, EMG, and NCV was performed. First rib and cervical rib resection was done with transaxillary approach. After operation, right hand numbness and right shoulder pain were disappeared.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 PDF

흉곽출구증후군 환자의 손저림에 대한 임상적 연구 (The Clinical Studies on the Hand Paresthesia of Patients with Thoracic Outlet Syndrome)

  • 이효근;박종형;황귀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7-195
    • /
    • 2013
  • Objective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thoracic outlet syndrome. Method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ed the clinical criteria of thoracic outlet syndrome.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of patients had come to the GyeonWoo Oriental Medical Clinic after traffic accidents from January 1, 2011 to December 31, 2011. The patients with thoracic outlet syndrome were treated with acupuncture, chuna therapy for 4 weeks. Visual Analog Scale(V.A.S.) was used as the tools determining the effects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neck pain. Result : The treatment of Korean Medicine(KM) including acupuncture, chuna therapy decreased V.A.S. significantly. Conclusion : Acupuncture, chuna therapy were useful treatment for relieving the hand paresthesia due to thoracic outlet syndrome.

흉곽출구증후군: 사각근 신장운동의 효과 (Thoracic Outlet Syndrome: The Effects of Scalenus Stretching Exercise)

  • 이문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3-51
    • /
    • 2006
  • The term thoracic outlet syndrome (TOS) is used to describe patients with compressed subclavian arteries, veins, and brachial plexuses in the region of the thoracic outle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scalenus stretching exercise that aims to restore normal function to patients with TOS. This study consisted of 60 patients with symptoms of TOS, and divided the patients into 3 groups: one that received manual therapy, one that practiced self stretching, and a control group. Each group consisted of 20 patients. This study assessed the efficacy of scalenus stretching exercise by examining the resting pain, tenderness, spherical grip power, and pinch grip power of pati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Scheffe post hoc 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resting pai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the manual therapy and self stretching groups (p<.05), and that the resting pain of the manual therapy group was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n that of the self stretching group (p<.05). Tenderness, spherical grip power, and pinch gri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the manual therapy and self stretching groups (p<.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5). Finally I could see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manual therapy and self stretching to improve the symptoms of the patients with TOS. These results imply that self stretching by patients is as important as manual therapy by a physical therapi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