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흄

Search Result 15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흄의 원리와 암묵적 정의

  • Choi, Won-Bae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0 no.2
    • /
    • pp.23-46
    • /
    • 2007
  • 이 논문의 목적은 "왜 프레게는 공리 V 대신 흄의 원리를 기본 원리로 삼지 않았을까?"라는 물음에 답하는 데 있다. 이 물음은 프레게 철학의 해석에 관한 물음이기도 하지만, 최근의 새로운 논리주의의 기획이 정당한가를 묻는 물음이 기도 하다.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나는 프레게 철학의 틀 안에서 흄의 원리를 공리로 삼는 방안과 정의로 삼는 방안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우리 논의를 통해 흄의 원리를 공리로 간주하는 방안은 프레게의 논리주의 기획이나 공리관과 어울리지 않으며, 그것을 정의로 간주하는 방안 또한 그의 정의관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을 밝힌다. 나아가 흄의 원리를 기수 개념의 암묵적 정의로 간주하려는 시도가 해결해야 할 문제가 어떤 것인지를 규명하였다.

  • PDF

Study on the Low Fume Electrode of Iron Powder Iron Oxide Type (철분 산화철계 Low Fume 용접봉에 관한 연구)

  • 한회춘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 no.2
    • /
    • pp.1-6
    • /
    • 1983
  • 용접중 발생되는 흄(Fume) 및 가스는 용접작업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 매우 유해하다. 용접 흄(Fume)은 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아주 작은 입자이며 가스는 일반적으로 CO, CO$_{2}$, NO$_{x}$, SO$_{x}$, XF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 피복 아아크 용접봉에서 발생되는 용접 흄은 인체에 매우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즉 다량 흡입하게 되면 두통, 발열 등 급성 증상이 발생한다. 또한 소량을 장시간 흡입해도 진폐 등 만성증상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현 국내 용접장에서는 흄에 의한 장해 방지를 위하여 충분한 환기시설과 완벽한 보호구 착용, 그리고, 용접 재료 자체의 흄 발생량을 감소시킨 저흄 용접봉(low fume type electrode)의 사용 방법 등이 검토 실시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꾀하는 한편, 용접자의 건강 보호를 목적으로 개발된 조선 및 철구조물의 주요 용접 재료인 철분 산화철계 저흄 용접봉에 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Strength Characteristics on High Strength Concrete against Sulfate Attack (황산염의 침해를 받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특성과 물성변화)

  • Park, Young-Shik;Suh, Jin-Kook;Lee, Jae-Hoon;Shin, Young-Shik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0 no.5
    • /
    • pp.117-128
    • /
    • 1998
  • 화학적으로 유해한 환경에 놓인 콘크리트 구조물은 필연적으로 그 기능이 악화되므로 혼화재를 포함한 고강도 콘크리트 또는 혼화재 그 자체가 화학물질에 오염된 환경하에서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설현장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보통강도 콘크리트와 실리카-흄을 포함한 포틀랜드시멘트 경화체인 고강도 콘크리트가 황산염의 침해를 받는 경우에 일어나는 강도특성과 물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담수와 함께 황산나트륨, 황산마근네슘, 황산나트륨과 황산마그네슘의 혼합용액 등 여러종류의 황산염 용액에 실리카-흄을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낮은 물-시멘트 비의 고강도 콘크리트, 보통강도의 콘크리트 등의 시험체들을 270일간 침지시켜 침지시간에 따른 압축강도 변화와 실리카-흄의 첨가량에 따른 압축강도 변화, 그리고 실리카-흄의 첨가량에 따른 선형팽창량 및 중량변화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실리카-흄을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에 황산염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 실리카-흄을 포함한 고강도 콘크리트는 황산나트륨의 침해에 대해서는 강한 저항성을 나타내지만 황산마그네슘에 대해서는 심각한 침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황산마그네슘에 노출될 우려가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강도를 발현하기 위하여 실리카-흄을 사용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큰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사료된다.

프레게 산수 체계에서의 페아노 공리의 연역

  • Lee, Jong-Gwon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3
    • /
    • pp.53-93
    • /
    • 2000
  • 프레게의 논리주의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산수 법칙 혹은 가장 단순한 수의 법칙을 논리적 원리로부터 유도해 냄으로써 달성된다. 프레게는 이른바 외연 공리를 포함하는 논리적 원리로부터 흄의 원리로 지칭되는 원리를 거쳐 '기본적인' 산수 법칙을 이끌어내고 있다. 외연 공리가 흄의 원리를 연역하는 과정에서만 사용되고 인다는 사실은 프레게가 말하는 기본적인 산수 법칙을 외연 공리 대신 흄의 원리를 공리로 채택함으로써 유도해낼 수 있음을 암시한다. 여기서는 흄의 원리로부터 페아노의 다섯 가지 공리를 연역해 내는 프레게의 과정을 조상 관계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에 기초하여 보다 단순화하고 있다.

  • PDF

Threshold Limit Value of Welding Fume (용접 Fume의 허용농도와 필요 환기량)

  • 한회춘;이수안;정인수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2 no.2
    • /
    • pp.7-12
    • /
    • 1984
  • 중화학공업과 조선공업이 비약적으로 발달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용접기술은 진일보를 거듭하였다. 그러나 각종 용접에 따른 산업재해(감전, 용접 fume 및 가스에 의한 진폐, 중독, 화상 등)도 날로 증가하는 추세로 이러한 용접재해 중 용접흄(fume)으로 인한 안전위생 및 환경오염적인 측면에서 큰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여기에 대한 관심 및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고에서는 용접 fume에 대한 개괄적인 면을 소개하고, 그 중 현실로 직면하는 "현장 용접장의 흄(fume) 및 흄의 특정성분에 대한 관리허용농도의 현황과 흄 발생량에 따른 필요 환기량"을 기술하고자 한다. 기술하고자 한다.

  • PDF

Hume's Justice as an artificial Virtue (흄의 인위적 덕으로서의 정의)

  • Lee, Nam-won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1
    • /
    • pp.133-166
    • /
    • 2017
  •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why justice is based on convention, not nature, in David Hume. Most philosopher, since Aristotle, have considered justice in relation to distribution. This understanding of justice continues up to modern times, and is handled especially in relation to ownership or private property in modern times. In modern times, private property is regarded as an absolute right that should not be violated in any case. Hume identifies this private property with justice. The absolute inviolability of private property is equivalent to never violate to justice. Hume is concerned with the question of where this justice originate. In other words, Hume is not concerned with the Kantian justification of justice, but rather with the psychological discussion of the genesis process of the idea of justice. Hume's answer is that "social utility" is its origin. Public societies are necessary conditions for human being. In other words, if public societies do not exist, humans can not exist. How then can a public society, which is a prerequisite for human being, exist or can be maintained? According to Hume, it is maintained by means of justice. So where is the ground for justice? Hume argues that the basis of justice is not nature, but human conventions. Man accepts justice tacitly and by doing so man can maintains his being. This is a rough insight of Hume. Hume uses a wide variety of concepts to carry out his argument. In this paper, we focus on how the idea of justice in human mind, based on these various concepts presented by Hume, is formed.

용접 Process 발달에 따른 Fume 발생량 평가 System 구축에 관한 연구

  • 채현병;김정한;김희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39-44
    • /
    • 1998
  • 용접흄에는 여러 종류의 유해원소가 포함되어 있고 그 종류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Arc용접시 발생하는 흄에 의해서 용접작업자들의 망간중독이나 비중격천공과 같은 질병이 발생하는 사례가 보고됨에 따라 작업 환경에 대한 법적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용접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중략)

  • PDF

Mechanical Behavior and Optimum Mix Design of High Strength Concrete with Condensed Silica Fume Admixtures (실리카 흄을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과 최적배합연구)

  • 오병환;엄주용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 no.1
    • /
    • pp.75-86
    • /
    • 1989
  • 본 본문에서는 실리카 흄을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제조와 역학적 특성 및 최적 배합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본문에서는 주요 실험변수를 물-시멘트비와 혼화재인 실리카 흄의 혼입량으로 정하였으며, 압축강도 및 휨강도와 합렬인장강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리카흄의 혼입으로 강도가 증가함을 발견하였으나 어느 범위이상의 과도한 혼입은 오히려 강도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시멘트비 0.28에서는 실리카 흄 혼입량이 5%일 때 최대의 강도가 나타났고, 물-시멘트비 0.40에서는 15%, 물-시멘트비 0.55에서는 20%혼입에서 가장 큰 강도가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압축강도와 물-시멘트비 및 실리카 흄량 사이의 관계를 도출하여 그 관게식을 제시하였으며, 이 식으로부터 소요강도를 위한 본 배합변수를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 물-시멘트비 효과와 실리카 흄의 효과가 상쇄되는 구간이 존재하며, 따라서 이들 효과를 함께 고려한 최적배합을 도출하여 제시하고 있다.

Effectiveness of Silica Fume on Alkali-Silica Reaction in the Presence of Sodium Chloride and Sea Water (해수 및 염화 나트륨이 공급되는 환경에서 실리카 흄의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대한 억제 효과)

  • 김창길;삼포상;강원호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0 no.5
    • /
    • pp.129-13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해수 및 염화나트륨이 공급되는 환경에서 실리카 흄의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대한 억제효과를 구명한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염화나트륨 농도는 2.8%, 10%, 20%여Tdmaum 반응성 골재는 일본산 안산암이었다. 실리카 흄은 노르웨이산으로 비표면적인 20$m^2$/g인 것을 사용했다. 실리카 흄의 치환율은 시멘트 중량에 대해 5%, 7%, 10%로 하였다. 연구결과, 20%의 염화나트륨이 공급되는 환경에서 알칼리실리카반응에 의한 유해한 팽창이 억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리카 흄의 경우, 치환율 % 이상에서 달성되었다.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ngth Improvement and the Long Term Durability of Shotcrete mixed Micro-Silica Fume (실리카 흄을 혼입한 숏크리트의 강도증진과 장기내구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Ma, Sang-Joon;Kim, Dong-Min;Jang, Phil-Sung;Choi, Jae-Seok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8 no.2
    • /
    • pp.165-182
    • /
    • 2006
  • In this study, field 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rength-improvement effect of shotcrete mixed Micro-silica fume and shotcrete quality was estimated by EFNARC standard. Deterioration test combined the Freezing-thawing and Carbonation was also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a long-term durability of high-strength shotcrete. As a result of tes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hotcrete using Micro-silica fume was 45.2~55.8MPa and flexible strength was 5.01~6.66MPa, so a promotion ratio of strength was 37~79%, 17~61% respectively. And the strength-improvement effect of strength by silica fume addition ratio of 7.5~10% for cement mass was more superior to the others. Due to relative dynamic modulus, mass decrease rate and carbonation progress of shotcrete mixed Micro-silica fume, it was especially realized that Micro-silica fume reduced deterioration caused by steel fiber and improved a long-term durability of shotcre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