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휴먼브랜드 태도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스포츠스타의 휴먼브랜드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관여, 저관여 제품 비교- (The Effects of Human Brand of Sports Star on Purchase Intention: A Comparison between Low and High Involvement Products)

  • 신용선;서영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291-308
    • /
    • 2022
  • 본 연구는 광고 마케팅 영역에서 제품의 관여도에 따라 광고모델의 휴먼브랜드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소비자를 대상으로 148부의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SPSS 25.0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휴먼브랜드 매력성은 저관여 제품에서 휴먼브랜드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휴먼브랜드 독특성과 친밀성은 고관여 제품에서 휴먼브랜드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휴먼브랜드 특성 중 신뢰성, 전문성, 매력성, 독특성, 친밀성이 휴먼브랜드 애착, 휴먼브랜드 태도 및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소비자에게 노출된 제품광고의 고관여, 저관여 제품특성에 따른 휴먼브랜드 영향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연예인과 기업인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던 휴먼브랜드의 연구 영역을 스포츠 스타를 대상으로 확대하였고 실증분석을 통해 광고제품의 고관여, 저관여 특성에 따른 구매의도를 향상하기 위한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제품관여도 특성별 스포츠 스타 휴먼브랜드의 광고모델 선정 관점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비스 접점직원의 휴먼브랜드적 특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uman Brand Characteristics of Customer Service Employees on Brand Attitude)

  • 박소영;김용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4호
    • /
    • pp.187-209
    • /
    • 2017
  • 서비스 산업의 성과와 경쟁우위 확보는 서비스를 생산하고 고객과의 접촉을 통해 서비스를 전달하는 서비스 접점 종업원 태도와 행동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지금까지의 서비스 접점직원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친절함이나 태도 혹은 유익함과 같은 고객들과의 접촉에 관계된 것들이다. 본 연구는 증가되는 접점 직원의 중요성에 중점을 두어 접점 직원을 하나의 브랜드로 인식하는 휴먼브랜드의 관점에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또한 서비스 접점에서 직원의 역할 뿐만 아니라 고객참여 행동이 접점직원과의 상호작용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과는 더이상 고객을 통제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고객참여행동은 고객 스스로에게 뿐 아니라 접점직원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접점직원의 휴먼브랜드적 특성이 고객의 참여도를 이끌며, 이는 서비스 브랜드와의 관계와 서비스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기본 이론으로 하고, 서비스 브랜드를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고 분석하였다. 서비스브랜드와 고객과의 관계 강화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서비스 접점직원의 휴먼 브랜드적 특성과 고객의 자발적인 정보제공 참여도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선행 연구들을 더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접점직원의 휴먼 브랜드적 특성 중 신뢰성, 친숙성, 공감성이 고객과 서비스 브랜드와의 관계 강화와, 서비스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검증으로 기업이 마케팅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접점직원의 자질 및 특성을 검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론적 실무적인 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본다.

  • PDF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가 구단에 대한 태도 및 애착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occer Star's Human Brand on Attitude and Attachment to club)

  • 신진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79-586
    • /
    • 2021
  • 본 연구는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가 구단에 대한 태도 및 애착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여 구단 소속 스타 선수들의 브랜드 관리의 중요성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K리그 구단 소속 축구 선수를 선호하고 있는 사람을 표본으로 선정해 2021년 1월 14일부터 3월 5일까지 모바일 조사를 실시했으며, 총 348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이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해 빈도분석, 내적일관성 및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는 윤리성, 매력성, 차별성 순으로 구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는 윤리성, 매력성, 차별성 순으로 구단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 브랜드 체험형 매장 -몰입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 (Fashion Brand Experiential Store -Mediating Effect of Flow and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성유주;이새은;이규혜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1호
    • /
    • pp.50-60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actors with consumers' fashion experiential store experience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n flow and brand attitude. The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fashion experiential store experiences and flow. An online survey of consumers in their 20s and 40s was conducted. The SPSS 27.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the SMART-PLS program.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confirmed that consumers' rational, physical, and relational experiences in fashion brand experiential stores strongly influenced flow and found that relational experience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flow. The influence of rational, physical, and relational experiences and flow on brand attitude was confirmed, where flow had the strongest effect on brand attitude. The examin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fashion experiential store experiences and flow found that the effect in men was significant for flow and brand attitude through rational experience and that the effect in women was significant for flow and brand attitude through relational experience. These results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and by strengthening consumer flow, we intend to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marketing strategy and opportunity plan that can elicit a positive brand attit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