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Human Brand of Sports Star on Purchase Intention: A Comparison between Low and High Involvement Products

스포츠스타의 휴먼브랜드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관여, 저관여 제품 비교-

  • 신용선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
  • 서영욱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 Received : 2022.08.12
  • Accepted : 2022.09.28
  • Published : 2022.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marketing method for product advertising. With regards to this, 148 copies of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consumers, and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verified using SPSS 25.0. The results revealed that (1) Human Brand attractiv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Human Brand attachment among the products of low involvement. (2) The uniqueness and the intimacy of Human Brand had a positive effect on Human Brand attachment among the products of high involvement. Through this study, the effect of reliability, expertise, attractiveness, uniqueness, and intimacy among human brand characteristics on human brand attachment, human brand attitude,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was confirmed, and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influence on human brand characteristics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product characteristics involved. This study has expanded the research scope of Human Brand, which has been studied mainly by entertainers and entrepreneurs, to sports stars and through empirical analysis, it has trie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to improve purchasing intent based on high and low-contention characteristics of advertising products.

본 연구는 광고 마케팅 영역에서 제품의 관여도에 따라 광고모델의 휴먼브랜드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소비자를 대상으로 148부의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SPSS 25.0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휴먼브랜드 매력성은 저관여 제품에서 휴먼브랜드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휴먼브랜드 독특성과 친밀성은 고관여 제품에서 휴먼브랜드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휴먼브랜드 특성 중 신뢰성, 전문성, 매력성, 독특성, 친밀성이 휴먼브랜드 애착, 휴먼브랜드 태도 및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소비자에게 노출된 제품광고의 고관여, 저관여 제품특성에 따른 휴먼브랜드 영향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연예인과 기업인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던 휴먼브랜드의 연구 영역을 스포츠 스타를 대상으로 확대하였고 실증분석을 통해 광고제품의 고관여, 저관여 특성에 따른 구매의도를 향상하기 위한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제품관여도 특성별 스포츠 스타 휴먼브랜드의 광고모델 선정 관점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백우열, 김성겸, "DMB 스포츠보증인 모델속성과 광고 효과의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5권, 제5호, pp.75-84, 2010.
  2. D. H. Dean and A. Biswas, "Third-party organization endorsement of products: an advertising cue affecting consumer prepurchase evaluation of goods and services," Journal of advertising, Vol.30, No.4, pp.41-57, 2001.
  3. 김화룡, "모델속성에 따른 스포츠 스타 광고적합성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4권, 제3호, pp.177-187, 2009.
  4. 안광호, 이재환, "소비자 욕구충족성과 스타 속성이 스타브랜드 애착과 후원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 ASIA MARKETING JOURNAL, 제12권, 제1호, pp.51-79, 2010.
  5. 김봉철, 김주영, 최명일, "유명인 광고모델 선정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 광고주 및 광고 제작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 AHP분석," 한국광고학회, 제22권, 제3호, pp.7-28, 2011.
  6. M. Thomson, "Human brands: Investigating antecedents to consumers' strong attachments to celebrities," Journal of marketing, Vol.70, No.3, pp.104-119, 2006. https://doi.org/10.1509/jmkg.70.3.104
  7. 김정구, 전미나, 김미예, 한정수, "휴먼 브랜드에 대한 강한 애착의 선행 요인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제21권, 제4호, pp.241-275, 2010.
  8. V. P. Rindova, T. G. Pollock, and M. L. Hayward, "Celebrity firms: The social construction of market popular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1, No.1, pp.50-71, 2006. https://doi.org/10.5465/amr.2006.19379624
  9. D. Horton, and R. Richard Wohl, "Mass communication and para-social interaction: Observations on intimacy at a distance," Psychiatry, Vol.19, No.3, pp.215-229, 1956. https://doi.org/10.1080/00332747.1956.11023049
  10. M. Thomson, "Human brands: Investigating antecedents to consumers' strong attachments to celebrities," Journal of marketing, Vol.70, No.3, pp.104-119, 2006. https://doi.org/10.1509/jmkg.70.3.104
  11. A. A. Mitchell and J. C. Olson, "Are product attribute beliefs the only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s on brand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3, pp.318-332, 1981.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306
  12. 이상빈,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자산 간의 관계: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광고연구, 제76호, pp.97-118, 2007.
  13. 최규환, "패밀리 레스토랑에 있어서 쿠폰, 태도, 구매 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MICE 관광연구 (구 컨벤션연구), 제4권, 제2호, pp.99-117, 2004.
  14. 정병국, 우아미, "기업브랜드의 속성차원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7권, 제1호, pp.173-191, 2009.
  15. M. Sherif and H. Cantril, The psychology of ego-involvements: Social attitudes and identifications, John Wiley & Sons Inc, 1947.
  16. H. E. Krugman, "The impact of television advertising: Learning without involvement," Public opinion quarterly, Vol.29, No.3, pp.349-356, 1965. https://doi.org/10.1086/267335
  17. R. E. Goldsmith and J. Emmert, "Measuring product category involvement: A multitrait-multimethod stud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23, No.4, pp.363-371, 1991. https://doi.org/10.1016/0148-2963(91)90021-O
  18. J. L. Zaichkowsky,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2, No.3, pp.341-352, 1985. https://doi.org/10.1086/208520
  19.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소비자행동 : 마케팅전략적접근, 법문사, 2010.
  20. P. J Peter and J. C. Olson,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Strategy, 2nd Edition, R. R. Donnelley, Chicago, 1990
  21. S. Chen and S. Chaiken, The Heuristic Systematic Model in its Broader Context, New York, NY: Guilford Press, 1999.
  22. 지용빈, 서영욱, "국내 기업의 ESG활동 인식이 심리적거리를 통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품관여도 수준에 따른 차이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 권, 제12호, pp.217-237,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12.217
  23. 안광호, 이재환, "소비자 욕구 충족성과 스타 속성이 스타브랜드 애착과 후원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 ASIA MARKETING JOURNAL, 제12권, 제1호, pp.51-79, 2010.
  24. M. D. Basil, "Identification as a mediator of celebrity effect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0, No.4, pp.478-495, 1996 https://doi.org/10.1080/08838159609364370
  25. 윤혜영, 김상희,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및 전문성 인식에 따른 영아의 애착안정성 연구," 실천유아교육(구 Montessori 교육연구), 제15권, pp.83-103, 2010.
  26. K. T. Tian, W. O. Bearden, and G. L. Hunter,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8, No.1, pp.50-66, 2001. https://doi.org/10.1086/321947
  27. 한승수, 염성원, "브랜드 애착 형성경로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가설적 경로모형구축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8권, 제4호, pp.167-200, 2006.
  28. S. Fournier, "Consumers and their brands: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4, No.4, pp.343-373, 1998. https://doi.org/10.1086/209515
  29. C. W. Park, D. J. MacInnis, and J. R. Priester, "Beyond attitudes: Attachment and consumer behavior," Seoul National Journal, Vol.12, No.2, pp.3-36, 2006.
  30. L. Leets, G. De Becker, and H. Giles, "Fans: Exploring expressed motivations for contacting celebrities,"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Vol.14, No.1-2, pp.102-123, 1995. https://doi.org/10.1177/0261927X95141006
  31. 안광호, 이재환, "소비자 욕구충족성과 스타 속성이 스타브랜드 애착과 후원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 ASIA MARKETING JOURNAL, 제12권, 제1호, pp.51-79, 2010.
  32. A. Fedorikhin, C. W. Park, and M. Thomson, "Beyond Fit and Attitude: The Effect of Emotional Attachment on Consumer Responses to Brand Extension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18, No.4, pp.281-291, 2008. https://doi.org/10.1016/j.jcps.2008.09.006
  33. 이승희, 장윤경, "패션 브랜드 애착이 확장된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실천유아교육(구 Montessori 교육연구), 제15권, pp.83-103, 2010.
  34. 이화연, 문철주, "브랜드 애착이 불일치 확장제품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제14권, 제2호, pp.59-78, 2009.
  35. 신지아, 이세진, "브랜드 확장 시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이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확장제품의 지각된 적합성, 광고유형, 브랜드 애착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2권, 제1호, pp.257-287, 2010.
  36. 안광호, 이재환, "소비자 욕구 충족성과 스타 속성이 스타브랜드 애착과 후원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ASIA MARKETING JOURNAL, Vol.12, No.1, pp.51-79, 2010.
  37. 김영인, 이병수, "스포츠 이벤트 스폰서십의 광고, 제품, 브랜드 태도요인의 차이분석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1권, 제2호, pp.507-519, 2012.
  38. 홍재승, "스포츠 스폰서십에 따른 소비자 태도 변화,"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9권, 제2호, pp.61-75, 2004.
  39. 이상일, 이현정, 황인선, "프로배구 타이틀 스폰서 인지와 이미지 일치성에 따른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5권, 제3호, pp.49-62, 2010.
  40. 강신아, 윤혜려, "편의점 기업의 SNS 마케팅 속성이 편의점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구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2호, pp.405-415,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2.405
  41. R. E. Petty and J. T. Cacioppo, "Effects of forwarning of persuasive intent and involvement on cognitive responses and persuas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5, No.2, pp.173-176, 1979. https://doi.org/10.1177/014616727900500209
  42. R. E. Petty and J. T. Cacioppo,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rsuasion. In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Springer, New York, 1986.
  43. M. Sherif and C. I. Hovland, Social judgment: Assimilation and contrast effects in communication and attitude change, Yale Univer. Press., 1961.
  44. D. Granberg, "Social judgment theory," Annal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Vol.6, No.1, pp.304-329, 1982. https://doi.org/10.1080/23808985.1982.11678502
  45. 박상준, "소비자 관여도가 SERVQUAL 품질평가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43권, 제6호, pp.2067-2089, 2014.
  46. 안은정, 이형탁, "휴먼브랜드 애착의 영향요인과 결과," 마케팅연구, 제29권, 제3호, pp.119-146, 2014.
  47. M. Thomson, "Human brands: Investigating antecedents to consumers' strong attachments to celebrities," Journal of marketing, Vol.70, No.3, pp.104-119, 2006. https://doi.org/10.1509/jmkg.70.3.104
  48. R. P. Abelson, D. R. Kinder, M. D. Peters, and S. T. Fiske, "Affective and semantic components in political person percep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2, No.4, p.619, 1982. https://doi.org/10.1037/0022-3514.42.4.619
  49. J. F. Engel, R. D. Blackwell, and P. W. Miniard, Customer behavior, Hinsdale, IL: Dryden, 1990.
  50. 이정학, 이재문, 이지혜, "스포츠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브랜드 적합성이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No.74, pp.41-55, 2018.
  51. 신소영, 노은미, "글로벌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제18권, 제2호, pp.339-359, 2013.
  52. 채서일,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학현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