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휴대인터넷 서비스

Search Result 44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휴대인터넷의 사업 정체성과 기존 통신서비스와의 관계

  • 최흥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81-284
    • /
    • 2004
  • 수년 내 서비스가 개시될 휴대인터넷 서비스는 현재 모든 통신사업자에게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관련산업 포함 연 16조원에 달하는 서비스로서 고속의 이동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아직 휴대인터넷의 시장에서의 위상이나 기존 서비스와의 대체 보완 관계가 정확히 연구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인터넷 서비스의 포지셔닝과 함께 휴대인터넷과 기존의 이동통신, 초고속인터넷, 및 DMB서비스와의 관계를 동시에 살펴본다.

  • PDF

2.3 GHz 휴대인터넷 표준 및 향후 고려사항

  • 진병문;김대중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5 no.3
    • /
    • pp.27-35
    • /
    • 2004
  • 휴대인터넷은 2002년 12월 WLL용으로 할당되었던 2.3 GHz 대역이 휴대인터넷용도로 재 고시되면서 정립된 서비스 개념이다. 휴대인터넷서비스를 위해 기술표준화 필요성이 제기되어 2003년 3월 TTA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휴대인터넷 프로젝트 그룹이 결성되면서 표준화가 진행되어 왔다. TTA 휴대인터넷 프로젝트그룹은 언제 어디서나 정지 및 이동 중에 고속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시장성과 경쟁력 있는 기술 및 서비스 확보, Global 표준을 지향을 목적으로 Top-Down방식과 기술적 검증을 병행하여 표준화를 추진키로 결의하였다. 1년 넘는 기간동안의 기술표준화를 통해 휴대인터넷에 대한 개념, 서비스요구사항, 기술표준 등을 2004년 6월 확정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2.3 GHz 휴대인터넷 표준에 대한 고찰을 통해 향후 성공적인 서비스와 표준으로 자리 잡는데 고려하여야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중략)

An Exploratory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Required for WiBro Service Provider (휴대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가 갖추어야 하는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 Yoon, Jong-Soo;Kim, Yoo-J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1 no.6 s.44
    • /
    • pp.249-260
    • /
    • 2006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obile internet service users recognize that Wibro service providers should be equipped with what type of organizational capabilities. Especially. this stud y, in exploratory point of view, examines the recognition is differed by characteristics of Wibro service users. This study also is to suggest a few of research propositions regarding the relations hips between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Wibro service users from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purposes, this study defined characteristics of Wibro service users (sender, age, job) an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f Wibro service provide rs ( accounting/finance capabilities, production/service capabilities, marketing/sales capabilities. research and development/technology capabilities) based on the review of past mobile interne t service related studies. And then, this study performed not only questionnaire survey on latent Wibro service users but also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 PDF

A Study on Wireless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WiBro Service (휴대인터넷(WiBro)기반의 정보서비스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Kim, Yo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1
    • /
    • pp.305-324
    • /
    • 2006
  • The requirements to use high speed internet under wireless environment are increased. To satisfy the requirements. the WiBro service combining high speed of wired internet service with mobility of wireless internet service will be launched as an alternative. This paper reviews and analyzes its overview, features, and comparison with existing mobile internet and wireless LAN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aspect. This paper also proposes how to adapt mobile information service and how to satisfy the requirements to construct mobile library based on the WiBro service. With the current problems in mobile-based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by libraries. especially this paper proposes information service areas. considerations to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and service provisioning method based on the WiBro service.

CONTENT PRISM / "상용화 발맞춰 신규 콘텐츠 서비스 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 Kim, Deuk-Jung
    • Digital Contents
    • /
    • no.8 s.123
    • /
    • pp.76-81
    • /
    • 2003
  • 2.3GHz 휴대인터넷이 차세대 통신산업으로 부각되는 가운데 통신업계의 최대 이슈로 떠올랐다. 현재 국내에서는 KT, SK텔레콤, 하나로통신 등이 휴대인터넷 사업준비에 치열한 경쟁을 준비해나가고 있으며, 세계 각 국 역시 휴대인터넷의 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보통신부 역시 지난 7월 차세대 통신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2.3GHz 대역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사용화 일정을 2005년 말 전후로 공식적으로 제시한 바 있다. 주파수 할당, 표준화, 사업자 선정 등의 쟁점 현안을 가지고 있는 휴대인터넷 서비스 관련 논의는 앞으로 더욱더 뜨겁게 달구어질 전망이며, 통신시장뿐만 아니라 디지털콘텐츠 산업에도 커다란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PDF

Trend of High-Speed Portable Internet System Technology (휴대인터넷 시스템 기술 개발 동향)

  • Song, S.I.;Kim, Y.I.;Ryu, B.H.;Ahn, J.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9 no.3 s.87
    • /
    • pp.73-83
    • /
    • 2004
  • 초고속 유선 인터넷 서비스의 성숙된 시장환경에서 이동중에도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받으려는 사용자의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한 기술로서 휴대인터넷이 주목 받고 있다. 본 고에서는 휴대 인터넷의 표준화 동향을 중심으로 서비스 실현을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기술과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외국의 휴대인터넷 기술사례에 대하여 살펴보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통신업체(제조업체 및 통신사업자)들이 협력하여 연구 개발중인 초고속 휴대인터넷(High-Speed Portable Internet: HPi) 시스템의 구조 및 기능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Design of Multiple VoIP Service Networks for P2P Network Environments based on Portable Internet (휴대인터넷 기반 P2P 망 환경에서의 다자간 VoIP 서비스 망 설계)

  • Eom Ki-Bok;Yoe 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8 no.8
    • /
    • pp.1640-1646
    • /
    • 2004
  •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multiple VoIP service networks for P2P network environments based on portable internet. We found that voiceservice using portable internet is possible for real time services. After we designe the multiple VoIP service networks for P2P network environments based on portable internet, evaluate the performances. from the performance evaluations, we found satisfactory results and so we can expect the possibility of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s.

휴대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IEEE 802.16 표준화 동향

  • 예충일;조석헌;차재선;윤철식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2 no.6 s.253
    • /
    • pp.43-51
    • /
    • 2005
  • 시속 60 km/hour의 시내 주행 속도로 이동하면서도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휴대인터넷 서비스는 정보통신부 IT839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휴대인터넷 서비스는 2003년부터 HPi (High-speed Portable Internet) 라는 프로젝트 명으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요 제조업체 및 사업자를 중심으로 규격 및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운용 주파수 대역은 2300$\~$2400 MHz of고 TDD (Time Division Duplex),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한다. 휴대인터넷과 관련된 표준화 기구로는 IEEE 802.16 및 TTA PG302가 있다. 휴대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내 규격은 IEEE 802.16 표준과의 호환성이 완벽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IEEE 802.16 표준은 성격상 프로파일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시스템 형상이 가능하다. 따라서 TTA PG302에서 규정되는 표준은 IEEE 802.16 표준의 완전한 부분집합으로 정의되고 PG302 표준화 활동은 규격 작업과 더불어 시스템 형상 및 성능 검증을 위한 프로파일 및 컨포먼스 테스트를 위한 작업이 포함된다. 본고에서는 휴대인터넷과 관련된 IEEE 802.16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 향후 방향을 전망해 본다.

  • PDF

Development of a High-Power WiBro RF Switch based on TDD for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방송통신 융합을 위한 TDD 기반의 휴대인터넷용 고출력 RF 스위치 개발)

  • Jun, Sang-Su;Lee, Chang-Hwa;Choi, J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91-94
    • /
    • 2005
  •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방송 통신 융합이 가속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방송 통신의 융합을 위해 쌍방향성을 제공하는 IP-TV와 같은 서비스가 유선 인터넷망을 사용한 홈오토메이션의 고정 환경 서비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또는 휴대폰 등의 이동형 디지털 TV에서의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 같은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유선인터넷과 비슷한 전송속도와 비용을 갖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2006년 상반기에 유선인터넷과 비슷한 전송속도와 비용을 갖는 무선인터넷 서비스인 휴대인터넷을 상용화할 예정이다. 휴대인터넷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하는 TDD방식을 사용한다. 우리나라는 셀룰러 시스템의 발달로 FDD를 중심으로 부품의 개발과 연구가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TDD용 부품의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TDD 기반의 휴대인터넷용 고출력 RF 스위치의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CDM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WLAN and Portable Internet (무선랜 및 휴대인터넷을 이용한 CDMA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안)

  • Kong Du-kyung;Cho Ji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385-387
    • /
    • 2005
  • 현재 CDMA 이동전화 서비스는 전국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무선랜이 도입되면서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여 현재 많은 무선랜 인프라가 존재하고, 휴대인터넷 또한 도입되려고 하는 시점이다. CDMA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주파수나 대역폭은 한정적이고 이용하기 위한 비용이 고가이다. 반면에 무선랜이나 휴대인터넷은 비용이 저렴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건물 내에서 CDMA 음성전화 서비스를 받기 위해 이러한 무선랜이나 휴대인터넷을 이용하여 저렴하게 CDMA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무선랜과 휴대인터넷을 이용하여 CDMA 이동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 동작 방안, 메시지 규격 및 프로토콜 스택, 단말 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제안하여 이러한 사용자 요구를 충분히 수용 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방안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