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휘발계수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Study on the Recovery of Volatile Organic Components by Pervaporation (Pervaporation을 이용한 휘발성 유기성분 회수에 관한 연구)

  • 김희진;송영석;민병렬
    • Membrane Journal
    • /
    • v.9 no.1
    • /
    • pp.51-62
    • /
    • 1999
  • The recovery of trace volatile organic components from water by pervaporation was investigated. Permeation experiments through homogeneous polydimethylsiloxane(PDMS) membrane was carried out and the effect of feed concentrations and membrane thicknesses on the permea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 solution-diffusion model is used to describe the pervaporation transport mechanism. In homogeneous PDMS membrane it appeared that the selectivities of MEK and toluene are constant, and that organic flux has a linear relationship with feed concent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upling effects between organics were negligible. The selectivity of PDMS membranes is invariant with respect to the membrane thickness. The intrinsic membrane permeability of organic components determined by using a solution-diffusion model. Comparing with various composite type membrane, the membrane using PEG treated nonwoven fabric as sublayer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VOC recovery by pervaporation.

  • PDF

A Study on the Coolingability of Several Quenchants(I) - Coolingability of Selected Aqueous Solution- (각종 담금제의 냉각성능에 관한 연구 I -물을 주성분으로 한 담금제의 냉각성능 평가-)

  • 민수홍;구본권;김상열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3 no.3
    • /
    • pp.411-418
    • /
    • 1989
  • Quenching effect depends upon coolingability of quenchant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steel. Study on the coolingability of quenchants is important in cooling process and heat treatment of steel. Experimental apparatus and measuring method follow Korean Industrial Standard. Distilled water, different concentration of NaCl, NaOH and Na$_{2}$CO$_{3}$ solutions were compared. Also the effect of temperature of distilled water were calculated. Experimental results were examined with F.E.M. analysis.

A Study on Isothermal Adsorption of VOCs onto Gypsum Mortar Incorporating Oyster Shell (굴패각 모르타르에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에 대한 연구)

  • Kwon, Sung-Hyun;Cho, Daechul
    • Clean Technology
    • /
    • v.19 no.2
    • /
    • pp.134-139
    • /
    • 2013
  • VOCs such as formaldehyde and benzene in a control chamber were adsorbed onto gypsum incorporating oyster shell powder, which was solidified and dried. VOC was first exposed in air and then gypsum mortar was placed in the chamber for 180 min for adsorption. The mortar was prepared with 0, 10, 30, and 50% of oyster shell powder. Two initial concentrations of VOCs including formaldehyde were $27.7{\sim}28.5mg/m^3$ or $175{\sim}150{\mu}g/m^3$. We found out that the initial concentrations did not seem to make any difference in adsorption performance but higher oyster content strongly led to higher adsorption. We used a convection-diffusion-adsorption model to compare the experiment. The model which considers diffusion coefficients of adsorbates and affinity of the adsorbents well represented the experimental data with a fair agreement.

Evaluation of vegetable oil rancidity by headspac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식용유의 산패도 측정)

  • Chun, Ho-Nam;Kim, Ze-Uook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5 no.1
    • /
    • pp.36-41
    • /
    • 1992
  • Several commercial cottonseed, corn and rapeseed oils were stored at $60^{\circ}C\;and\;70^{\circ}C$ with daily exposure of fluorescent light for 12 hours and evaluated their rancidity by headspac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pentanal and hexanal. The data of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was compared with organoleptic flavor evaluation. For headspac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the volatile compounds were recovered by porous polymer trap and flushed into a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 at $250^{\circ}C$. Twenty-three GC peak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relative retention time of reference compounds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pentanal and hexanal were linearly increased during storage. A very simple linear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organoleptic flavor scores and amounts of two volatile compounds with ver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This results suggested the possible implication of pentanal and hexanal as an quality index for rancidity evaluation of cottonseed, corn and rapeseed oils.

  • PDF

A Study on GIS based effective management method of river thematic maps (GIS기반의 연안역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Lee, Hyuk;Kim, Kye-Hyun;Kwun, Oh-Ju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201-205
    • /
    • 2005
  • 미국과 일본 등 많은 나라들이 연안역에 대한 오염총량관리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90년도 초반부터 환경부와 국립환경연구원에 의하여 4대강을 대상으로 내륙에 대한 지자체 단위의 오염총량관리제가 추진되고 있다. 연안해역에서도 최근 해양오염방지법의 개정으로 특별관리해역 지정 등 특정 연안해역에 영향을 미치는 육역을 포함하는 연안역 통합관리제가 해양수산부에 의하여 추진되고 있다 또한 외국의 사례로서 미국 체사피크만에서는 오염총량관리제를 포함하는 연안역 통합관리제 수립 및 운용을 위하여 GIS 및 모델 package로 구성된 시스템을 구축 활용하고 있으며, 이런 GIS 및 모델 package로 구성된 시스템을 바탕으로 연안역 통합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정책 수립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연안역 통합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도 많이 부족하고 이런 기초 자료를 토대로한 분석 도구인 GIS-modeling 시스템 개발도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오염원의 발생 및 배출부하 산정 과정을 공간적으로 분석하여 환경관리에 응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효율적인 연안의 오염원 관리를 위하여 기존 환경부 및 관련 기환 자료를 활용하여 잠실 수중보에서 한강 하구의 세부 오염원자료를 수집하여 GIS 기반의 오염원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오염부하산정모델을 개발한 후, 구축된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와 분석을 위한 GIS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아울러 육역에서의 오염물질 배출에 따른 연안역 수질의 모의를 통해 육역과 연안역에 대한 효율적인 통합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사용될 수 있는 블루투스 서비스와 서비스 속성을 기술한 XML 문서에서 블루투스 기기에 적합한 내부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기를 설계하고 구현을 하였다.보다는 현저히 낮았다.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읜 농도는 실내가 실외 보다 높았다(I/O ratio 2.5). BTEX의 상대적 함량도 실내가 실외보다 높아 실내에도 발생원이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자료 분석결과 유치원 실내의 벤젠은 실외로부터 유입되고 있었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은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서도 발생하고 있었다. 정량한 8개 화합물 각각과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스피어만 상관계수는 벤젠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하였다. 이중 톨루엔과 크실렌은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좋은 상관성 (톨루엔 0.76, 크실렌, 0.87)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톨루엔과 크실렌이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좋은 지표를 사용될 있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등 많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원은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도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10)의 $[^{18}F]F_2$를 얻었다. 결론: $^{18}O(p,n)^{18}F$ 핵반응을 이용하여 친전자성 방사성동위원소 $[^{18}F]F_2$를 생산하였다. 표적 챔버는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연구된 $[^{18}F]F_2$가스는 친핵성 치환반응으로 방사성동위원소를 도입하기 어려운 다양한 방사성의 약품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었으나 움직임 보정 후 영상을 이용하여 비교한 경우, 결합능 변화가 선조체 영역에서 국한되어 나타나며 그 유의성이 움직임 보정 전에 비하여 낮음을

  • PDF

SDP DB Generator Using XML (XML을 이용한 SDP DB 생성기)

  • Yi, Chang-Hwan;Oh, Se-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163-1166
    • /
    • 2001
  • 최근의 네트워크는 유선에서 무선으로 발전하고 있다. 무선 네트워크 기술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좁은 영역에서 사용하고 개인적인 용도로 알맞은 것이 블루투스(Bluetooth)이다. 블루투스 기술 표준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순한 통신 방법만을 정의한 것이 아니라, 몇 가지 응용에 대한 표준도 정의되어 있다. 이 응용은 모든 블루투스 기기가 전부 구현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중 기기에 알맞은 것만을 선택해서 구현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렇다면 블루투스 기기에서 다른 기기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다른 기기의 서비스를 알아내는데 사용되는 블루투스 기술이 SDP 계층 (Service Discovery Protocol Layer) 이다. SDP 계층은 프로토콜만으로 작동 가능한 것이 아니라, 블루투스 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와 서비스 속성을 정의한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서 작동하게 된다. 이 내부 데이터베이스는 블루투스를 구현하는 사람마다 모두 다르게 구현하고 있다. 그래서 블루투스 서비스와 서비스 속성에 관한 정보는 글과 간단한 도표로만 정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블루투스 서비스와 서비스 속성 정보를 글과 도표가 아닌 XML을 이용한 문서로 표현을 하는 방법이 나타났었다. 그러나 블루투스 기기에서 직접 서비스와 서비스 속성을 기술한 XML 문서를 바탕으로 SDP를 작동시키는 것은 블루투스 기기에 XML 파서를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대체로 작은 CPU 성능과 적은 메모리를 가지고 있는 블루투스 기기에서는 XML 파서를 포함하는 근 부담이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블루투스 서비스와 서비스 속성을 기술한 XML 문서에서 블루투스 기기에 적합한 내부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기를 설계하고 구현을 하였다.보다는 현저히 낮았다.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읜 농도는 실내가 실외 보다 높았다(I/O ratio 2.5). BTEX의 상대적 함량도 실내가 실외보다 높아 실내에도 발생원이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자료 분석결과 유치원 실내의 벤젠은 실외로부터 유입되고 있었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은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서도 발생하고 있었다. 정량한 8개 화합물 각각과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스피어만 상관계수는 벤젠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하였다. 이중 톨루엔과 크실렌은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좋은 상관성 (톨루엔 0.76, 크실렌, 0.87)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톨루엔과 크실렌이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좋은 지표를 사용될 있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등 많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원은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도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10)의 $[^{18}F]F_2$를 얻었다. 결론: $^{18}O(p,n)^{18}F$ 핵반응을 이용하여 친전자성 방사성동위원소 $[^{18}F]F_2$를 생산하였다. 표적 챔버는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연구된 $[^{18}F]F_2$가스는 친핵성 치환반응으로 방사성동위원소를 도입하기 어려운 다양한 방사성의 약품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었으나 움직임 보정 후 영상을 이용하여 비교한 경우, 결합능 변화가 선조체 영역에서 국한되어 나타나며 그 유의성이 움직임 보정 전에 비하여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뇌활성화 과제 수행시에 동반되는 피험자의 머리 움직임에 의하여 도파민 유리가 과대평가되었으며 이는 이 연구에서 제안한 영상정합을 이용한 움직임 보정기법에 의해서 개선되었다. 답이 없는 문제, 문제 만들기, 일반화가 가능한 문제 등으로 보고, 수학적 창의성 중 특히 확산적 사

  • PDF

Solubility Change of Gasoline Components Under Evaporation (휘발에 의한 가솔린 성분의 조성 및 용해도 변화특성)

  • 염익태;이상현;염혜정;안규홍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5 no.1
    • /
    • pp.37-43
    • /
    • 1998
  • Batch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tudy the dissolution behavior of gasoline components. First, the dissolution kinetics of gasoline components and the applicability of Raoult's law in predicting their solubilitie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effects of compositional change of gasoline due to evaporization on the solubilities of individual components and TPH were determined. The kinetics of gasoline-water man transfer was found to be very similar for most components except for MTBE, which is a major additive for commercial gasoline. At equilibrium, the gasoline-water partitioning coefficients of individual components showed a log-linear relationship with their pure solubilities, though the slope was a little less than that predicted by Raoult's law. The concentrations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in the gasolines concentrated by volatilization could be characterized by the initial increase followed by substantial decrease. Almost the same behavior was observed for their solubilities. The total solubility (TPH) of gasoline decreased rapidly with the initial volume reduction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wards. The solubilities of BTEX, the major regulatory compounds, decreased even faster than the TPH solubilities. It was concluded that the compositional change of gasoline by volatilization may greatly affect their leaching potential and the toxicity of the contacting groundwater. The toxicity reduction efficiency by evaporating gasoline could be much more than the mass removal efficiency.

  • PDF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using Candida tropicalis Immobilized on Polymer Gel Media in an Airlift Loop Bioreactor (Candida tropicalis 포괄고정 담체를 적용한 Airlift Loop Bioreactor에서의 복합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

  • NamGung, Hyeong-Kyu;Ha, Jeong-Hyub;Hwang, Sun-Jin;Song, Ji-H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1 no.8
    • /
    • pp.603-610
    • /
    • 2009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mprove removal efficiency of toluene and methyl ethyl ketone (MEK) using Candida tropicalis, one of the yeast species. An airlift loop bioreactor (ALB) was employed to enhance the capability of mass transfer for toluene and MEK from the gas phase to the liquid, microbial phase. Polymer gel media made from PAC, alginate and PEG was applied for the effective immobilization of the yeast strain on the polymer gel media.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ss transfer coefficient of toluene without polymer gel media was 1.29 $min^{-1}$ at a gas retention time of 15 sec, whereas the KLa value for toluene was increased to 4.07 $min^{-1}$ by adding the media, confirming the enhanced mass transfer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between the gas and liquid phases. The removal efficiency of toluene and MEK by using yeast-immobilized polymer gel media in the ALB was greater than 80% at different pollutant loading rates (5, 10, 19 and 37 g/$m^3$/hr for toluene, 4.5, 8.9, 17.8 and 35.1 g/$m^3$/hr for MEK). In addition, an elimination capacity test conducted by changing inlet loading rates stepwise demonstrated that maximum elimination capacities for toluene and MEK were 70.4 and 56.4 g/$m^3$/hr, respectively.

Effect of Adding Freeze-Dried Kimchi Powder on Flavor and Taste of Kimchi Snacks (동결김치분말을 첨가한 스낵류의 맛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 Cho, Yong-Bum;Park, Woo-Po;Hur, Min-Su;Lee, Yang-Bo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6 no.6
    • /
    • pp.919-923
    • /
    • 2004
  • Effects of adding 0, 2, 4, 6, and 8% freeze-dried kimchi powder (FDKP) on kimchi snack quality were examined.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of 4% FDKP snack, receiving highest overall preference in sensory evaluation results, were analyzed, and 26 compounds were identified, including 13 aldehydes, 3 sulfides, a ketone, an acid, a terpene, and 7 other compounds.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a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FDKP and the amount of each volatile compound. Acetaldehyde, propanal,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acetic acid, and d-limonene showed correlation coefficients above 0.90; selective ion move (SIM) analysis also showed above 0.97 for highly correlated compounds. Results suggest that these compounds can be used as indicators fur kimchi flavor of FDKP snack.

Identification of Irradiation -induced Volatile Marker Compounds in Irradiated Red Pepper Powder (방사선조사 고추가루로부터 휘발성 표지물질의 구명)

  • Kim, Hun;Ahn, Jun-Suck;Sin, Yeong-Min;Lee, Yong-Ja;Lee, Kyung-Hae;Byun, Myung-Woo;Cha, Yong-J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4 no.2
    • /
    • pp.236-242
    • /
    • 2005
  • To develop a new detection method using irradiation-induced volatile marker compounds of red pepper powder (RP), the volatile compounds of irradiated RP (0, 1, 3, 5, and 10 kGy) were analyzed by purge and trap (P&T)/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methods. A total of 51 and 31 compounds were detected in IRP by SPME and P&T methods, respectively. Among these, 25 compounds, which were composed of 4 hydrocarbons, 7 aldehydes, 1 ketone, 3 alcohols, 4 aromatic compounds, 2 esters and 4 miscellaneous compounds, showed irradiation dependent manner with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0.01 or p<0.05) between irradiation dose and relative concentration. However, all compounds except 1,3-bis(1,1-dimethylethyl)benzene were not suitable as marker compounds because of their low determination coefficients ($R^2$<0.80) between irradiation dose and their concentrations, and detectablilty in nonirradiated sample. Therefore, only one compound, 1,3-bis(1,1-dimethylethyl)benzene, was tentatively identified as a volatile marker compound to detect irradiated 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