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훼손지역

Search Result 48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Effect of The Special Law on the Waterfront-Space Use on Space and Landscape Change of Four Major Rivers - Focused on the EcoDeltaCity Project of Nakdong River - (4대강 친수구역 활용에 관한 제도가 하천 유역의 공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낙동강 유역 에코델타시티 지역을 대상으로 -)

  • Kim, Jong Gu;Kim, Yu Jun;Kang, Youn Won;Hong, Ji S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2
    • /
    • pp.699-710
    • /
    • 2014
  • Government enacted "The special Law on the waterfront-space" to conduct four-river refurbishment project and to construct systematically regions around national rivers from 2009. This law allows public apartments and recreational facilities etc. to be located around four-river, then the law may give rise to serious space change and landscape damage. So we draw some problems of the established development project about the riverside area, and expected a space and landscape change of waterfront-space with a 3D simulation. The result, it is important to adjust the development density of site and apply various contents with tak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olicy Implications of Port Re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Experiences of Advanced Countries (선진국 항만재개발과 도시재생사업의 경험과 정책적 시사점)

  • Jin, Young Hwa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1 no.1
    • /
    • pp.83-101
    • /
    • 2015
  • This paper examines port re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f foreign advanced countries and investigates policy implications to apply to Korean port cities. Busan and Incheon have started to redevelop old port facilities located near old city centers and they have been faced several problems. Significant findings are found from the experiences of Inner Harbor in Baltimore, Darling Harbor in Sydney, Hafencity in Hamburg, Eastern Dockland in Amsterdam and Minatomirai 21 in Yokohama etc. At first, port and city have to be integrated to an unique regeneration project in order to solve the spatially disconnected problems originated from separate development in the initial stage. Preservation of historical regional assets is highly recommended to characterize its own value which is emphasized in the age of post modernism. Accurate and consistent design guidelines of port cities are stressed to build high standard cities. In the perspective of investigating a new business model, anchor facilities and place marketing strategies are introduced to induce more people to the place specially in the beginning stage. In addition, creative financing methods and competent implementing bodies are emphasized to running the projects stably regardless of real estate market status.

Introduction of Wastewater reuse Project for Supply of Agricultural Use in Jeju Island (제주 하수처리장 농업용수 재이용사업 소개)

  • Lee, Kwang-Ya;Kim, Hae-Do;Lee, Yong-Ji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620-624
    • /
    • 2009
  • 한국농어촌공사에서 2008년도 환경부 하수처리장 재이용사업으로 선정된 제주특별자치도 서부(판포)하수처리장 농업용수재이용 사업을 위탁받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수처리수를 농업용목적으로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농업용수 재이용수질기준에 우선 적합해야하고 작물재배실험 및 수질, 토양, 생태환경 영향 뿐만아니라 공중보건위생 위험도 등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적용해야한다. 이를 위해 수자원 프런티어사업단의 "농업용수재이용시스템적용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과 관련한 종합적인 연구를 통해 농업환경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수립하고 있다. 서부하수처리장은 제주도 한경면 판포리에 위치하여 2007년도에 준공하였고 2008년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중이다. 재이용 공급대상 농경지는 처리장의 주변 농경지로 249ha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사업시행을 위해 타당성 분석,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를 시행하였고 2009년 12월까지 시설의 설치 및 시험가동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재이용사업의 계획 수립을 위해 필요한 분석활동 내용과 안전하게 제주도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할 수 있는 농업용수 재이용시스템 설계내용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현재 농촌은 도시화가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농촌의 쾌적성은 점차 훼손되었고 하천 호소의 수질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또한 농촌지역의 도시화에 따라 하수처리장의 농촌지역에도 늘어가고 있으며 이제는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이 구분되지 않고 혼합되어 있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과거의 농업활동도 변화되고 있으며, 하천에서 취수하는 용수중에서 농업용수로의 사용이 부적합한 용수가 취수되고 있다. 따라서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시스템과 같이 수처리를 이용한 농업용수의 공급방안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STUDY OF PHENOLOGICAL CHARATERISTICS IN GAEMA PLATEAU, NORTH KOREA USING TIME-SERIES MODIS NDVI DATA (시계열 MODIS 자료의 식생지수를 이용한 북한 개마고원 지역의 생물계절 특성 연구)

  • Cha, Su-young;Seo, Dong-jo;Park, Ch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77-480
    • /
    • 2009
  • 최근 북한지역에 발생한 홍수와 가뭄 등 심각한 자연재해의 원인이 악화된 식량난으로 인한 과도한 산림의 훼손으로 추정되고 있어 북한 지역의 산림 생태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더욱 확인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위성자료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식생지수(NDVI)는 농작물, 초목, 산림등과 같은 중요한 식생자원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설계된 도구로 식생의 활력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식생지수는 개략적인 식생을 파악하는데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초기조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마고원지대를 포함하는 표고 1000m 이상의 한대림지대의 산림식생에 대해 9년(2000~2008)간의 시계열 MODIS영상에서 나타나는 식생지수의 생물계절 특징을 분석하였다. 식생이 성장하기 시작하는 시기(the beginning of the growing season)는 5월 9일 이후부터 5월 25일 사이의 기간으로 나타났고, 식생의 휴면 시기(the end of growing season)는 9월 14일부터 9월 30일 사이 기간으로 관측되었다. 이는 4월 초에 시작하고 10월에 사라지는 한반도의 일반적이 식생패턴보다 성장은 한달 늦게, 휴면은 한달 이르게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8월 초순의 NDVI 값이 9년 동안 계속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개마고원지역 및 주변 한대림 지대는 7월 말에서 8월 초순에 식생이 가장 활발한 것을 의미한다. 9년 동안 전반적인 식생지수는 0.2~0.9 값을 보였고, 특이할 점은 9년 동안의 평균적인 NDVI 값에 비해 2002년의 식생의 활동이 봄에 빨리 개화하고 가을에 일찍 지는 패턴을 보였다.

  • PDF

Preserv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Stromatolites in Gyeong-San (경산 스트로마톨라이트의 보존과 활용방안)

  • Han, Seung 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3 no.2
    • /
    • pp.366-375
    • /
    • 2017
  • Researching Stromatolites spread all over Gyeong-San, province Gyeongsangbukdo, it raise an objection for preservation of original state caused by natural weathering, artificial destruction, illegal emission and enviromental pollution. Stromatolites in Gyeong-San was formed on lake Meszoic era cretaceous. So it is representative rock of geological feature of sediment formed in water and landscape. It could be used as educational data on mesozoic stratum and earth surface, and resources of observation and experience program. It could apply as educational venue place in terms of Mesozoic era cretaceous motif. And it is managed various programs appling 4H (Healing, Hiking, Hand, History) experience program based on local community. And it is concerned software program introducing augumented reality, furthermore discuss with related field.

  • PDF

The Case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Three-storied Stone Pagoda at Nakseongdae (낙성대 삼층석탑 보존처리 사례 연구)

  • Kim, Yeongtaek;Lee, Yongwoon;Jo, Sungnam;Lee, Jumok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23
    • /
    • pp.31-48
    • /
    • 2020
  • Conservation treatment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in the open air is mainly conducted by companies specialized in conservation treatment. This study presents cases of conservation treatment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housed outdoors in Seoul, including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Nakseongdae in Gwanak-gu. The present condition of and damage to stone cultural properties are investigated and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for conservation treatment are presented. The contamination on the surface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located in downtown areas shows features specific to the related areas, meaning each case requires tailored conservation technique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reference for future conservation treatment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in Seoul as well as others in museum collections exhibited outdoors. It is hoped that the case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come widely known to people in charge of conservation treatment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servation treatment applied to stone cultural properties.

Recognition Difference of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to Urban Park Operation and Management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Wolmi Park in Incheon - (도시공원의 운영 및 관리에 대한 지역주민과 관광객 간 인식 차이 연구 - 인천광역시 월미공원을 중심으로 -)

  • Kim, Jin-Tak;Cho, Joong-Hy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5 no.3
    • /
    • pp.432-441
    • /
    • 2011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with the parks where tourists visit much and tried to make promotion of park utilization and available way of park manag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222 visitors in Wolmi park from May 1 to May 4, 2009 through fiel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local residents and tourist showed the difference in terms of use of parks. For the additional facilities, the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had different point view. While local residents respond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relaxation facilities, was the most important, the tourists selected the sign board provi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park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Secondly, in accordance with the awareness survey on the tourist spots for the spatial link between Wolmi Park and other areas, the local residents and the tourists demonstrated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n Wolmi-Do tourist spot and what to impro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Maeri (III)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Slope Stability Analysis - (매리 땅밀림형 산사태(山沙汰)의 발생특성(發生特性)에 관한 분석(分析) (III) - 사면(斜面)의 안정해석(安定解析)을 중심(中心)으로 -)

  • Park, Jae-Hyeon;Choi, Kyung;Bae, Jong Soon;Ma, Ho-Seop;Lee, Jong-Hak;Youn, Ho-J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4 no.6
    • /
    • pp.377-386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the landslide characteristics by ground investigation, borehole image processing system, field seismic test, laboratory test and ground stability analysis at the landsliding area occurred in Maeri, Sangdong-myeon, Gimhaesi, Gyeongsangnam-do. Region I needs to install data logger system to monitor a land displacement during the heavy rainfall events because the region can be liable to occur the land slide by land creeping. It is needed to restore rapidly, if the land displacement occurs in Region I. Region II needs to monitor and repair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slope failure by long-term soil loss. Region III needs constructions to remove ground runoff and ground water to be infiltrated from talus. Region IV where is a stable region, needs to be protected from land cutting or other man-made damage.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II) - Vegetational Structure -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I) - 식생구조 -)

  • 오구균;김용식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0 no.1
    • /
    • pp.87-102
    • /
    • 1996
  • To study vegetational structure of the Korean warm temperate region fifty two plots were surveyed 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southern islands. The vegetational structures among sites were dissimilar in virtue of geographical isolation and artificial disturbance. The surveyed plots were generally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the group in which plant succession has proceeded naturally, the second, the group which was disturbed and managed for a long time, the third, the group which was afforested and has been succeeded into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The species with constancy over 80% in fifty two plots were Machilus thunbergii, Eurya japonica,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idium, Cinnamomum japonicum, and Ligustrum japonicum. The community of Lozoste lancifolia, which is assumed to be a climax community of the Korean warm temperate region, remains in Chudo and Aedo. The secondary succession of seashore forest which were disturbed in the past will be done into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 PDF

Study on numerical analysis of driftwood generation and behavior by tsunami flow (쓰나미에 의한 유목의 발생과 거동의 수치해석적 연구)

  • Kang, Tae Un;Jang, Cha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66-66
    • /
    • 2021
  • 2011년에 일본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에서 규모 9.0의 지진이 발생하여 거대한 쓰나미가 일본 본토 해안을 침수시켰다. 이로 인해, 정확한 피해규모가 파악되기 어려울 정도로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입게 되었다. 센다이지역의 경우 쓰나미로 인해 해안에 위치한 약 3.8 평방킬로미터의 방풍림이 모두 전복되었고 일부는 유목이 되어 쓰나미와 함께 내륙으로 흘러들어가 곳곳에 퇴적되어 농지를 훼손하고 가옥에 피해를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목의 발생과 흐름에 따른 거동을 수치적으로 분석하여, 폭우나 쓰나미와 같은 거대흐름과 산지와 방풍림 등에서 발생하는 유목의 발생과 거동과정을 예측하고, 흐름과 유목 거동에 따른 피해지역을 선별할 수 있는 방법을 구축하기 위한 초기단계로서, 이를 위해 유목의 발생과정의 역학적 모델링을 수치모듈에 적용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흐름분석을 위해 쓰인 모형은 홍수범람 모형인 Nays2D Flood 이며 천수방정식을 기본으로 한다. 쓰나미의 흐름은 해안가의 방풍림지역을 상류단 경계조건으로 하여 발생 당시 관측된 수심변화를 본 모형의 상류단 경계조건으로 입력하였다. 상류단 경계조건에서 쓰나미의 유속은 수심에 따른 파속으로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유목의 발생과 흐름거동을 기존에 개발된 입자법 기반의 유목동역학모형을 활용하여 수치적으로 모델링 하였다. 유목은 유연성이 없는 원주형 강체로 가정하였고 초기설정으로는, 방풍림지역에 30만개의 유목이 하상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여기서, 본 연구에서는 쓰나미가 발생하면 흐름에 따른 항력으로 인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유목이 부러지며, 흐름과 함께 흘러가는 현상을 모델링하였다. 본 연구는 폭우나 쓰나미와 같은 거대흐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유송잡물과 유목의 거동을 예측분석하는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유목의 발생과정까지 수치적으로 재현하는 모델링을 수행하였기 추후에, 산지와 하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송잡물의 발생과 연행 과정을 보다 세부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기초방법론으로 쓰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