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후처리 시스템

Search Result 2,96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rends of High Speed Satellite Offline Telemetry Processing (위성 상태 데이터의 고속 후처리 기술 동향)

  • Kang, Ji-Hoon;Koo, In-Hoi;Ahn, Sang-Il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8 no.2
    • /
    • pp.15-23
    • /
    • 2010
  • In this paper, the trends of a satellite offline telemetry processing system had been discussed. The satellite offline telemetry processing system is used to analyze an offline telemetry and to check health status of the satellite. Common requirements for the system are high speed processing, processed data visualization, easiness of use, and generality. Regarding to these requirements, how the recent telemetry processing system had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is discussed in detail.

  • PDF

A post processing of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using N-gram words and sentence patterns (문형정보와 N-gram 단어정보를 이용한 연속음성인식 후처리)

  • 엄한용;황도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324-32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항공편 예약이라는 제한 영역에서의 연속음성인식 시스템을 위한 후처리 본 논문에서는 항공편 예약이라는 제한 영역에서의 연속음성인식 시스템을 위한 후처리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후처리 방안은 200 문장의 항공편 예약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문형 정보를 추출한 뒤 특정 문형별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문형과 음성인식 후의 문장을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문형을 추론한다. 추론한 특정 문형에서 나올 수 있는 형태소를 형태소들간의 N-gram 정보가 수록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형태소를 수정하고 보완한 결과를 최종 문장으로 출력한다.

  • PDF

A Study on the Post-processing for Speech Recognition (음성 인식을 위한 후처리에 관한 연구)

  • Kim, W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421-424
    • /
    • 2008
  •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은 화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주는 시스템으로 주로 이동 전화나 휴대형 통신 장비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개인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의 경우, 다이얼링에 사용되는 모든 구문은 사용자가 선택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사용하여 학습되어 음성 인식을 위한 HMM을 생성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화자독립 시스템보다 매우 적은 메모리 공간과 계산량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학습시 각 단어랑 2-3개의 음성만을 사용하므로 음성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각 상태에서의 상태지속분포을 추정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성능개선을 위한 후처리기를 제안하였다. 전화선을 통하여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실험에서 제안된 후처리기가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 PDF

The Data Processing System Development of Telemetry Ground System for Korean Space Launch Vehicle-1 (KSLV-1의 신호 수신.처리를 위한 원격측정 지상국시스템의 자료처리시스템 개발)

  • Ma, Jin-A;Kwon, Soon-Ho;Oh, Chang-Yul;Lee, Hyo-Keu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6 no.1
    • /
    • pp.245-254
    • /
    • 2007
  • The on-board telemetry system of KSLV-1 transmits telemetry signal for the launch vehicle and satellite to ground telemetry system in real time. In ground telemetry system, antenna system acquires telemetry signals and transfers these to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system processes and recordes telemetry data and distributes it to each mission operator in order to monitor it the operation goes well or not. This document describes the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of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for efficient and appropriate processing of telemetry data.

  • PDF

한일공동상관기의 상관후처리 소프트웨어 개발 현황

  • O, Se-Jin;No, Deok-Gyu;Park, Seon-Yeop;Yeom, Jae-Hwan;O, Chung-Sik;Kawaguchi, Noriyuki;Kobayashi, Hideyuki;Kan-ya, Yukitoshi;Ohama, Nobuyuki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2
    • /
    • pp.61.1-61.1
    • /
    • 2010
  • 한국천문연구원이 일본국립천문대와 2006년부터 개발한 한일공동VLBI상관기(Korea-Japan Joint VLBI Correlator, KJJVC)의 상관결과를 과학적인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상관후처리 소프트웨어 개발을 2009년부터 한일공동으로 진행하였다. 상관후처리 소프트웨어는 상관결과를 특정 파일 시스템으로 변환하고 이를 AIPS 등의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에서 활용할 수 있는 FITS로 변환하는 부분을 말한다. 본 연구의 상관후처리 소프트웨어 중에서 상관결과를 특정 파일 시스템으로 변환하는 부분은 기존의 일본국립천문대 미타카 FX상관기를 위해 개발한 CODA file system을 개량하였으며, 이 파일 시스템을 KJJVC와 미타카 FX 상관기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상관결과를 파일 시스템으로 변환하고 이를 이용한 광역 프린지 탐색(Global Fringe Search) 소프트웨어의 개발도 진행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한일공동상관기의 상관후처리 소프트웨어 구성과 개발현황 등에 대해 기술한다.

  • PDF

Korean Amount Recognizer in Bank Slips (은행 전표에서 한글 금액 인식기의 구현)

  • 지태창;김은진;이일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369-371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은행 전표의 한글 금액열을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한글의 낱자를 인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해되고 있는데 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글의 낱자 인식 결과를 가지고 후처리를 한 후, 그 결과를 금액 숫자의 인식결과와 통합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한글 낱자 인식기는 MDC(Minimum Distance Classifier) 기법을 응용한 방법을 사용하였고, 그 후처리는 금액의 구조적인 특징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숫자 인식기의 결과와 상호 참조하여 인식기를 완성하였다. 인식 결과를 보면 한글 금액 문자열의 낱자에 대해서는 후처리를 하기 전에는 96.29%, 후처리를 한 후에는 97.72%의 인식률을 보였고, 한글 금액 문자열에 대해서는 후처리를 하기 전에는 79.96%, 후처리를 한 후에는 98.24%의 신뢰도를 보였다.

  • PDF

저가의 후처리 GPS를 이용한 매핑 시스템 연구

  • 임수봉;이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31-435
    • /
    • 2003
  • GPS측량 방법은 크게 나누어 후처리 방법과 실시간 처리 방법으로 구분되며 후처리 방법은 다시 Static, Stop&Go 및 동적(Kinematic) 방법으로 세분되고 실시간 처리 방법은 DGPS(Differential GPS)와 RTK(Realtime Kinematic) 방법으로 세분된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측량법 중 우리나라의 실무에서는 유독 후처리 방법 중의 Static 측량과 실시간 처리방법중의 DGPS 측량이 주로 사용되어 왔는데, 그런 배경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으나 무엇보다도 가장 큰 원인은 공공측량 작업규정 등의 측량 관련 법규에서 다양한 종류의 GPS측량기법을 제도적으로 인정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일반 측량기술자들의 GPS에 대한 인식이 결여된 때문이라 볼 수 있다.

  • PDF

Rejection using Entropy in Speech Recognition System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엔트로피를 이용한 거절)

  • 정미옥;김현숙;송점동;이정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195-197
    • /
    • 1999
  • 본 논문은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후처리 단계에서 후보 단어들의 엔트로피 정보를 이용하였다. 기존의 우도비 검출방법은 음성 데이터에 따라 음성인식 시스템의 성능이 변하고 N개의 후보단어들의 우도값이 비슷하여 오인식 발생확률이 높았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각 후보 단어들의 엔트로피 값보다 인식대상 단어 외의 단어들의 엔트로피 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후보를 거절하는 후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에 독립적이면서도 변별력을 높인 정확한 음성인식 시스템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엔트로피에 의한 후처리 방법은 우도비에 의한 방법보다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falser alarm이 20%일 때 최대 3.6%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Postprocessing In Keyword Spotting (Keyword spotting에서의 후처리 과정에 관한 연구)

  • 송화전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6c
    • /
    • pp.249-252
    • /
    • 1994
  • Keyword spotting 이란 음성인식의 한 분야로서 컴퓨터가 사람의 음성을 입력받아 이 음성에 미리 정해진 특정단어 또는복수개의 단어들 중 어느 것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찾아내고 이 단어를 식별해 내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keyword spotting 시스템의 인식 오류들을 감소시키는 방법의 하나로 keyword spotting 시스템에 후처리 과정을 둠으로써 잘못 검출된 keyword 들을 제거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keyword로 검출된 영역에 대한 keyword 모델의 likeihood와 그 여역에 대한 filler 모델의 likelihood의 ratio 와 second best keyword 의 likelihood 그리고, 끝점존재 영역의 구간 길이등 여러 가지 정보를 이용한 후처리과정을 검토하고 인식실험을 통해 이들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6개의 부서명을 keyword로 하는 불특정 화자 keyword spotting 실험을 수행한 결과 baseline 시스템의 경우 고립단어 및 문장 형태의 음성에 대해 95.0%의 keyword 인식률을 얻었으며, 본 논문에서 검토된 네 가지 후처리 방법에 의해 keyword rejection ratio를 0%에서 5%까지 변화시켜 나갈 경우 최저 95.3%에서 최고 97.1%까지 keyword 인식률이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특히 성능과 계산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끝점 존재 영역의 구간 길이 정보를 이용한 방법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단조품 후처리 공정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공정자동화 시스템 개발

  • 송신우;하인철;송병석;이경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82-282
    • /
    • 2004
  • 단조품 후처리 공정은 표면처리, 자분 탐상, 수 검사, 방청, 개수계량 공정으로 이루어져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단조품 제조 산업에서는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처리 공정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표면 처리 공정에서 소재를 장입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작업자는 중량물을 개수하고, 버킷에 담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소재의 이송은 지게차를 이용하고 있어 작업자와 지게차는 같은 작업공간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