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후생경제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erfect Substitution and Aggregation in A System of Marginal Valuation Functions (한계가치함수체계의 완전대체성과 상품결합성)

  • Park, Hoanjae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2 no.3
    • /
    • pp.427-452
    • /
    • 2003
  • Demand analyses often assume perfect substitution and some level of aggregation before analysis and data collection. Earlier works on this subject are carried out in the context of ordinary demand systems. However, perfect substitution is a degenerate special case in the systems and it is much more easily handled in a system of marginal value functions and no previous analysis has used the marginal value functions to test for perfect substitution and make possible aggregation with prior restrictions. In this article, we present the empirical results on a system of marginal value functions in fisheries and pose testable results of perfect substitution and aggregation. The contribution of this article is new establishment of a set of restrictions implying perfect substitutability among all commodities and the application to the problem of commodity aggregate. A system of marginal value functions is estimated in fisheries and its implication of perfect substitution is reasonably drawn.

  • PDF

A Study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the protection of financial instruments (금융상품의 보호를 위한 지식재산권 연구)

  • You, Hyun-Woo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7 no.3
    • /
    • pp.1-9
    • /
    • 2017
  • Financial instruments are economic and intangible assets that bring financial company tremendous economic returns when it is a success. Also,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is because it is a product of effort made by a lot of human resources and materials. However,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for financial instruments are insufficient currently and 'copying practices' are rampant throughout the industry in korea. This ultimately inhibits the utility and welfare of consumers, but also adversely affects the competitiveness of the financial industry. In order to finance innovation that new financial products and services have appeared, it is necessary to grant the appropriate rights,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financial instruments. And, there is a need for measures to protect it. Thus, this study proposed new way protecting the financial instruments through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t is the introduction of similar protection system to financial instruments, such as mechanisms that protect database producers in copyright law.

Analysis of the Spillover Effects of the Welfare for the disabled Capital Expenditures (장애인복지비 지출의 파급효과 분석)

  • Kim, Keum-Hwan;Pak, Ae-Kyung;Kim, Youn-Ja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7 no.3
    • /
    • pp.121-131
    • /
    • 2012
  • The social welfare service is expanding to different field as the social welfare budget is increasing. By this opportunity, it needs to make clear of the basis of argument that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Korean government's support and aid by social policy should be worked. This research dealt with the national economic effect in relation to welfare for the disabled in terms of welfare economics. Budget spending for the achievement of welfare for the disabled makes an enterprise or a person spend money continually either in a direct or indirect way. This study shows by the use of analysing the related production effects, as an economical influence of welfare for the disabled budget assuming by means of measuring. The results are analyzed that the production of one trillion and three hundred billon won is annually caused and 8,015.9 hundred million won of the direct and indirect added value is caused by the welfare of the disabled budget expenditure of three local governments of capital area. And it is also assumed it creates employment cause personnel (17.673.2 person) and job cause members (26.825.2). The result of the study anticipates the role of basic research material for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support, and aid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revised policy for the disabled welfare field at this point in time where the welfare budget policy in terms of universal social service is reinforced, rather than the trend, until recently, of realizing the social welfare budget as consumption expenditure and the function of performing the effect and evaluation in tentative action of social conflict.

  • PDF

Water supply shortage cost estimation for drought impact assessmen (가뭄 영향평가를 위한 생·공용수 공급지장비용 추정기법)

  • Lee, Jeong Ju;Shin, Hyun Sun;Kim, Mihyun;Chun, Gun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5-55
    • /
    • 2017
  • 가뭄은 국민생활 및 경제 등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며, 지역사회 공동체나 사회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재해이다. 가뭄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단기대응, 복구지원 등의 사후대책에서 사전대비 및 예방으로의 정책 전환이 필요하며, 이러한 정책 수립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가뭄에 따른 정량적인 피해영향 평가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가뭄 피해의 범위 및 형태는 워낙 광범위하기 때문에, 피해추정을 위한 잣대라 할 수 있는 영향평가 기법조차 제대로 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분야별(기상, 농업, 수문)로 지수화 된 지표를 이용한 가뭄 평가가 주로 수행되고 있으며, 경제적 영향평가는 방법론에 대한 시범 연구 수준이다. 가뭄기록조사 등 과거 가뭄피해 자료에서도 피해액의 금액환산이 되지 않은 사례가 대부분이며 급수차지원, 관정개발 등 사후복구비 위주의 일부 자료만이 피해금액으로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댐, 저수지 등에 의한 용수공급 안정성으로 인해, 기상학적인 가뭄이 즉시 물부족으로 인한 피해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물부족이 발생하거나 부족량이 예측되는 상황에서 피해규모를 시스템적으로 추정 및 비교할 수 있는 기법 개발의 필요성에 의해 잠재피해액 개념의 공급지장비용 추정기법을 개발하였다. 공급지장비용 또는 편익 도출을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경제적 가치 또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은 경제학적 접근법과 비경제학적 접근법으로 구분된다. 경제학적 접근법에서 사용하는 진술선호 기법의 경우 전국을 대상으로 설문 등의 과정을 거쳐 지불의사액을 도출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조사비용이 소요된다. 비경제학적 또는 공학적 접근법으로 분류되는 대체비용법은 이론적 배경이 약하고 대체항목의 선택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물가자료, 산업통계, 수자원통계 등 기초자료의 주기적 업데이트가 유리하며, 정신적 피해를 제외할 경우 피해비용 추정결과의 편차가 진술선호기법 보다는 작은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해비용의 과대추정에 유의하여 대체비용법에 기반한 일본 후생노동성의 감 단수피해추정기법을 우리나라 자료에 맞게 수정하여 공급지장비용을 추정하였으며, 경제학적 접근법에 의한 용수의 한계가치비용 등과 비교를 통해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An Analysis on Energy Efficiency Motor Program (고효율 전동기 수요관리 프로그램 분석)

  • Lee, Tae-Yong;Park, Jong-Keun;Kim, Jin-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11b
    • /
    • pp.114-117
    • /
    • 2002
  • 국내에서는 전력산업의 구조개편이 한창 진행중에 있다. 과거에는 하나의 전력회사가 발전, 송전, 배전을 함께 운영하면서 소비자에게 전력을 공급하였다. 하지만 매년 전력사용량의 급격한 증가와 전력산업이 규모의 경제이론에서 점차 벗어남에 따라 구조개편에 대한 요구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발전부문에서 경쟁이 도입되어지며 배전부문도 지역적으로 분할되어져 과거의 전력회사는 송전부문만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풀(pool)시장이 생겨 전력의 수급을 담당하는 전력계통의 '운영기능'과 전력을 사고 파는 전력의 '시장 기능'을 함께 담당하게 될 것이다. 특히 전력사용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머지않은 미래에 전력의 수급에 문제가 생길 것이 예측된다. 이러한 이유로 구조개편 이후에는 발전이나 송전부문에서의 변화보다 배전에서의 변화가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구조개편 후 지역적으로 나누어진 배전사업자들은 그들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부하삭감을 위한 수요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할 것이다. 이것은 발전량의 조절만으로 정제급전을 실시한 과거와는 달리 부하량의 감소가 함께 사용됨으로 보다 나은 편익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고효율 전통기를 사용한 부하삭감으로 전력의 생산자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편익이 발생하여 사회적 후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고효율 전동기 수요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비용과 편익을 분석함으로서 나타내었다.

  • PDF

유동성제약(流動性制約)과 소비지출(消費支出) : 한국(韓國)·일본(日本)·미국(美國) 비교분석(比較分析)

  • Kim, Jun-G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7 no.4
    • /
    • pp.63-95
    • /
    • 1995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가계(家計)가 소비지출시 어느 정도 유동성제약(流動性制約)(liquidity constraint)하에 처해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론적인 모형(模型) 제시와 함께 한국(韓國) 일본(日本) 미국(美國)을 대상으로 실증분석(實證分析)을 시도하였다. 3개국 공히 내구재(耐久財) 소비지출시 비내구재(非耐久財) 소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동성제약 현상이 더 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소비자들은 내구재와 비내구재 등 모든 형태별 소비지출에 있어서 일본(日本)과 미국(美國)에 비해 더 심한 유동성제약하에 처해 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에 들어서는 소비자금융시장에서의 유동성제약(流動性制約)이 점차 완화(緩和)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전히 일본과 미국의 수준을 크게 상회(上廻)하였다. 이러한 추정결과들은 장기간에 걸친 생산자(生産者) 중심의 금융제도 및 관행 등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소비자금융시장(消費者金融市場)이 선진국에 비해 낙후(落後)되어 있음을 반영한다. 위의 분석결과는 향후 할부금융제도(割賦金融制度) 도입 등 소비자금융 규제 완화가 본격화되면 유동성제약(流動性制約)이 완화되어 가계의 차입(借入)과 저축(貯蓄)을 통한 소비의 평탄화(平坦化)(smoothing)가 가능해짐으로써 소비자의 후생(厚生)이 증대되고 경기변동(景氣變動)의 진폭이 축소될 것임을 시사한다. 또한 소비자금융의 활성화는 기존의 유동성제약하에 처해 있었던 가계들의 소비를 촉진시켜 단기적으로는 경제 전체의 저축률(貯蓄率) 하락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 PDF

한국의 적정인구 추세에 관한 연구

  • Kim, Hyeong-Gi
    • Proceedings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Conference
    • /
    • 2006.12a
    • /
    • pp.193-230
    • /
    • 2006
  • 본 논문은 국가별 추계인구와 미래 9개년 인구관련 설명변수들의 추정값을 통하여 적정인구 모형을 구형하고 한국의 적정인구를 추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후생을 고려한 생산함수 확장모형, 세계 176개국의 표본자료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2000{\sim}2300$년 한국의 적정인구를 추정하고 그 추세곡선을 나타내는 것이다. 모형의 종속변수는 UN에 의한 세계각국의 추계인구이고, 설명변수는 9개 변수 즉 PPP GDP, 인접지역 경제통합율, 교육수준, 영어구사비율, 국토유효면적, 에너지량, 기온, 수자원량, 무역거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0{\sim}2300$년 한국의 적정인구는 $4,350{\sim}4,950$만명으로 추정되며, 2000년${\sim}$2050년은 $4,700{\sim}5,010$만명, 2050년${\sim}2100$년은 $4,770{\sim}4,400$만명이 된다. 2125년 최저점 4,350만명을 통과한 후 점진적으로 2300년의 4,870만명으로 접근해 갈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네 가지이다. 첫째 한국의 적정인구가 2125년을 기준으로 이전은 감소 이후는 증가 추세일 것이므로 정책결정시 적정한 목표인구를 설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현 추세로 진행되면 2050년 이후 적정인구가 추계인구보다 $500{\sim}600$만명 더 많아진다는 점이다. 셋째 2125년 이전의 적정인구는 좁게 $4,770{\sim}4,545$만명으로서, 출산율 향상을 통한 적정인구의 유지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넷째 적정인구 추세의 기복은 출산기피로 인한 인구감소 때문으로 출산지원과 입양 및 이민 유입의 정책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 PDF

Economic Effect Analysis on the Intensification of Competition in LM Market (LM시장 경쟁 확대의 경제적효과 분석)

  • 권수천;김병운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8 no.12B
    • /
    • pp.1124-1134
    • /
    • 2003
  • The recent intensification of competition in the LM market has become a major issue. In this research effort, a study is made to determine the expected social benefits that can be realized from the increase of competition in the LM market through CPS.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consumer benefits up to 144.8 billion won can be created through the boost in competition from CPS. However, a reduction of 207.9-438.7 billion won in revenues is expected for service providers. Depending on the existing service providers, revenues may fall by at least 264.4 billion won and up to 486.2 billion won. For newcomers to the market 30.2-89.1 billion won will be created.

The Welfare Effects of the Military Purveyance Program of Livestock Products (축산물 군납사업의 사회적 후생효과 분석)

  • Chang, Jae Bong;Kim, Yoon Hy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8 no.4
    • /
    • pp.31-39
    • /
    • 2022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welfare effect of the military purveyance program,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the sales channel and demand base in Korea's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dustry, as well as the stable supply of safe ingredients for military meals essential for the morale and combat power of soldiers. The military purveyance program causes additional demand for domestic livestock products, affecting the trading volumes and price levels in the market. This will change the welfare of producers and consumers, and affect the welfare of soldiers who are subject to military meals. The analysis results obtained through a simulation method based on the equilibrium displacement model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pork delivered for military service, producer surplus increased by KRW 55.3-62.2 billion and consumer surplus decreased by KRW 55.1~62.0 billion based on pork production in 2021. It wad analyzed that the consumer surplus in the military supply market,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market, increased by KRW 96.9 billion won, resulting in a total welfare gain of KRW 97.1 billion.

A Study on the Plans for Activating Parallel Importation (병행수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Kang, Heuong-Jung;Wee, Sang-Woo
    • Korea Trade Review
    • /
    • v.42 no.6
    • /
    • pp.27-50
    • /
    • 2017
  • This study is to present practical plan to stimulate Parallel Import Policies, Which is one of the government policies to drop import prices of imported goods. Although, preliminary studies focused on legal aspect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 from the perspective of trade, we conducted a study on economic aspects through parallel import, consumer welfare, etc. For this study, the parallel import system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as compared with Korea and the domestic parallel import market status was analyzed by comparing market price. According to the study, the current parallel import system lacked the limits of government regulation and distribution market structure. It proposed practical plans such as political suggestions and changes in distribution struc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nalyzing the problem of parallel imports that currently occur in the Korea market based on data concerning parallel imports in practical ter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