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후두 내시경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Primary Tracheal Tumor C (원발성 기관 종양)

  • 이종호;문석환;조건현;왕영필;곽문섭;김세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1 no.8
    • /
    • pp.799-803
    • /
    • 1998
  • Background: Tumors of the trachea are rare despite their histologic similarity to tumors of the main stem bronchus and lung. Materials and methods: Fourteen patients with tracheal tumor underwent surgical, radiational, or laser photocoagulation therapy from March 1981 to July 1996. Nine patients were malignant and five patients were benign.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was adenoid cystic carcinoma. Results: Age ranged from 10 to 65 years with mean age of 45.9 years. Most tumors were located middle and lower one-third of trachea. Surgery was done through collar incision, or collar incision with vertical partial sternal division, or left posterolateral thoracotomy, or sternal division with laryngeal release. Two patients died after operation, because of the disruption of anastomosis and airway obstruction,and laryngeal edema after suprahyoid release. Only one patient died after 8 month of diagnosis. The other patients were doing well during the follow-up period.

  • PDF

Revaluation of Reflux Finding Score(RFS) in Laryngopharyngeal Reflux(LPR) (인후두역류증의 진단에 있어서 후두내시경검사 소견 점수화의 유용성에 대한 재검증)

  • Kwon, Kee-Hwan;Ban, Jae-Ho;Lee, Kyu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 /
    • v.15 no.2
    • /
    • pp.81-86
    • /
    • 2004
  • Background and Objectives : In general, ambulatory 24-hour pH monitoring is considered the current gold standard for larynogopharyngeal reflux(LPR). There is no validated instrument whose purpose is to document the physical finding and severity of laryngopharyngeal reflux.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flux finding score(RFS) and to quantify laryngoscopic findings using reflux finding score. Material and Methods : Thirty-three LPR patients confirmed by dual-probe pH monitoring and thirty patients of control were selected. The RFS was documented for each patient with telescopic laryngoscopy before treatment. For test-retest intraobserver reliability assessment, a blinded laryngologists determined the RFS on two separate occasions. To evaluate interobserver reliability assessment, the RFS was determined by t재 different blinded laryngologists.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cohort with pH-documented LPR was 45.8 years and the mean RFS was 11.4. The mean age of cotrol subjects was 52 years and the mean RFS was 5.4. The mean RFS for laryngologist no. 1 was 10.8 at the initial screening and 10.9 at the repeat evaluation. The mean FRS for laryngologist no.2 was 11.1 at the intial test and 10.9 at the repeat evalu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interobserver variability was 0.93 and intraobserver variability was 0.94. Conclusion : The RFS demonstrates excellent inter-and introaobserver reproducibility and is helpful for quantifying laryngeal finding in LPR. We can be 95% certain that an individual with a RFS greater than 7 has LPR.

  • PDF

Risk Factor Analysis of Endoscopic Dilation Procedure for the Management of Subglottic Stenosis in Pediatric Patients (성문하 협착 소아 환자에 대한 내시경적 기도 확장 시술 후 치료 실패 위험 요인 분석)

  • Park, Min Hae;Choi, Nayeon;Song, Bok Hyun;Jeong, Han-Sin;Son, Young-Ik;Chung, Man 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 /
    • v.31 no.1
    • /
    • pp.19-26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Endoscopic airway dilation is the primary treatment for pediatric subglottic stenosis (SGS) due to its feasibility and non-invasivenes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for the failure of endoscopic airway dilation in pediatric patients with SG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38 pediatric patients had endoscopic dilation from a single and tertiary referral center, retrospectively. The success of the endoscopic dilation procedure was defined as no dyspneic symptom without tracheostomy or laryngotracheal reconstruction. Demographic profiles, underlying disease, and Myer-Cotton SGS severity grade were recorded. Success rates and risk factors for the failure of treatment were analyzed. Results The SGS patients with severity grade I was most common. After mean 1.8 numbers of procedures, there were 23 patients (60.5%) in the success group and 15 patients (39.5%) in the failure group. Age, sex, underlying diseases, and SGS severity grad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In patients who had multiple endoscopic procedures, the failure group showed SGS deteriorated after procedures in 66.7%, compared to 11.1% of the success group. In multivariable analysis, a long-term intubation (≥1 month) was identified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failure of endoscopic dilation procedure. Conclusion Although endoscopic dilation procedure is safe and effective for the management, repetitive endoscopic dilation may not give clinical benefit in patient with long-term intubation. Other airway procedures must be considered in those group of patients.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ECT OF RLN ANASTOMOSIS REMOVAL ON PHONATION (반회신경 문합과 후윤상피열근 절제가 발성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김영모;이영구;이정식;이준열;김광문;김기령;홍원표;최홍식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1.06a
    • /
    • pp.11-12
    • /
    • 1991
  • 편측 성대마비의 음성개선을 위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치료방법은 teflon 또는 silicone 주입술, 외과적 성대 내전술, 갑상연골 성형술, 신경재식술, 등이 있으며, 근래까지는 Teflon 또는 Gelform 주입술이 제일 효과적인 방법이라 알려져 있으나, 이는 음의 높낮이 조절능력의 한계가 있고, 신경재식술의 결과 역시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저자는 발성기능의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하여, 사람의 후두와 비교적 유사한 특성을 가진 개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반회신경을 절단하여 편측 성대 마비를 유발한 뒤, 동측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후 절단된 신경을 문합하여, 성대의 외전근 작용의 소실과, 발성시에 주로 작용하는 내전근만의 작용을 유도하여,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전운동의 향상을 기대하였다. 본 실험에 앞서, 임의적으로 신경을 자극시킬 수 있는 신경자극기와, 주위조직으로부터 신경만을 분리하여 자극할 수 있는 전극을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또한 성대의 발성음을 임의대로 유발시킬 수 있는 생체 내 후두발성 모형(in vivo laryngeal phonation model)을 Moore(1987, 1988)등이 발표한 모형을 토대로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은 13마리의 개를, 반회신경 절단군(3 마리), 반회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3 마리), 후윤상피열근 절제군(3 마리), 반회신경 문합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4 마리)등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3 개월 후, 현수후두경, 후두 내시경, videolaryngoscopy, 신경자극 검사 등으로 성대의 내전운동 및 위치 변화의 관찰, 발성음의 음향분석 및 갑상피열근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반회신경 절단군과 반회 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은,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움직임이나 각도의 변화가 없었으며, 음향분석 결과 발성음이 아닌 잡음만이 포착되었다. 즉, 절단된 신경의 문합 없이 후윤상피열근 절제 만으로는 음성개선은 기대할 수 없었다. 2.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에서는 수술 후 3 개월에 정상적인 성대의 내전운동이 관찰되었으며, 음향분석상 기본주파수 동요율 및 발성음의 강도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즉, 반회신경이 절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윤상피 열근 만을 절제하면, 발성음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3. 반회신경을 절단후 문합하고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한군 에서는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보였고, 음향분석상 수술직후에는 잡음만이 포착되었으나, 3 개월 후에는 잡음이 아닌 발성음을 들을 수 있었으며, 이 발성음의 기본주파수 및 강도는 수술전보다 감소되어 있었으나, 기본주파수 동요율은 증가되어 있었다. 즉 이 술식으로 인한 뚜렷한 발성음의 향상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편측 신경 절단으로 인한 성대마비시, 절단된 신경을 봉합하고 성대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하면,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향운동의 향상으로, 음성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으며, 이 방법이 편측 성대마비 환자의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치료방법의 하나로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부식제에 인한 인두-식도 협착의 수술적 치료

  • 김재원;김영모;김태연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2003.09a
    • /
    • pp.111-111
    • /
    • 2003
  • 부식제 섭취로 인한 가장 흔한 합병증은 인두-식도 협착이며, 이로 인한 구강섭취 장애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이의 치료에 있어 기존의 수술적 치료가 소개되었으나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가져왔다. 부식제 섭취로 인한 인두-식도 협착에 있어 본원에서 시행한 수술적 치료 결과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향후 인두-식도 협착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2001년 12월부터 2003년 8월까지 본원 이비인후과와 일반외과에서 부식제 섭취로 인한 인후두 및 식도의 완전협착으로 진단 받고 치료를 시행 받은 4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하여 술전 이학적 소견, 수술적 치료방법, 술후 합병증, 구강 섭취 시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술전 내시경 검사로 인두-식도 접합부에 협착소견을 확인하였으며, 이중 경구 식이가 전혀 가능하지 못하였던 3명의 환자는 전후두인두식도 절제술 및 대장대체술 시행 하였으며, Levine- tube로 관급식이가 가능하였던 1명의 환자는 내시경적 확장술만 시행 받았다. 전 후두인두식도 절제술 및 대장대체술을 시행받은 3명의 환자 모두에서 문합부 유루, 출혈은 없었으나, 그 중 1명에서 술후 재협착으로 내시경적 확장술을 시행 받았고 이 환자를 제외한 2명의 환자에서 술후 10일과 13일에 경구섭취가 가능하였고 재협착이 있었던 환자는 술후 43일에 경구섭취가 가능하였다. 대장대체술을 시행 받았던 환자에서는 연식 이상의 식사가 가능하였으나, 내시경적 확장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관급식이만 가능하였다. 부식제 섭취에 인한 인후두 및 식도 협착에 있어 대장을 이용한 대장 대체술식을 이용하여 인두-식도 협착 치료에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대장대체술은 합병증 및 구강 섭취에 있어 좋은 결과를 가져다 주는 술식으로 판단되었다.결과를 이용하여 향후 전개될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및 관련시장의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 이에 따른 기업이나 정부차원의 대응전략을 파악하고자 한다.육구에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p<0.05). 운동과 비운동시킨 참돔의 지질 함량의 변화는 운동시킨 참돔은 운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로 인하여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r=-0.35), 비운동사육구에서는 절식으로 인하여 지질함량이 감소하였다(r=-0.38). 파괴강도와 가장 밀접한 영향을 가지는 콜라겐은 운동과 비운동 모두 사육기간동안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초기의 파괴강도값은 1.45±0.02kg(운동사육구), 1.36±0.18kg(비운동사육구)이였으며 사육기간동안 운동사육구는 파괴강도값이 증가한 반면, 비운동수조에서는 참돔의 파괴강도는 사육기간동안 큰 유의차가 없었다. 각 성분간의 상관도를 살펴보면, 수분함량과 파괴강도는 상관성을 가졌으며, 지질함량과 파괴강도도 같은 경향은 나타내었다. 운동기간동안의 파괴강도와 콜라겐 사이에는 상관성의 거의 없었다. 이는 운동기간에 따른 파괴강도의 증가가 콜라겐의 함량의 증가보다는 지질함량의 감소와 수분함량의 증가와 같은 성분과의 상관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는, 운동횟수에 의한 영향으로써 운동시간을 1일 6시간으로 설정하여, 운동횟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오전, 오후에 각 3시간씩 운동시키는 방법과 오전부터 6시간동안 운동시키는 두 방법을 이용하여 품질을 비교하였다. 각 조건에 따라 운동시킨 참돔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2회(오전 3시간, 오후 3시간)에 나누어서 운동시키기 위한 육의 수분함량은 73.37±2.02%를 나타냈으며, 1회(6시간 운동)운동시키기 위한 육은 71.74±1.66%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운동조건에서 양식된 참돔은

  • PDF

A Case of Parahilar Lymph Node Enlargement (폐문부의 림프절 종대 1예)

  • Lee, Hee Jung;Son, Ji Woong;Choi, Eugene;Lee, Won Yo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59 no.2
    • /
    • pp.209-212
    • /
    • 2005
  • Sarcoidosis, a multisystemic granulomatous disorder of unknown causes, which presents with bilateral hilar adenopathy, pulmonary infiltration, and cutaneous, ocular, bones, and nervous and reticuloendothelial systems involvement, commonly involves young adults of both sexes. Herein, the case of a 70-year-old male, with progressive hoarseness of two weeks' duration and mild dyspnea, is reported. A fiberoptic bronchoscopy,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oarseness, revealed paralysis of the left vocal cord, but with no other local abnormality. Two nodules, as pathologic findings, showed noncaseating epithelioid cell granulomas. We note a rare case of sarcoidosis, with vocal cord palsy, in Korea.

Recurrent Respiratory Papillomatosis improved by Treatment with Interferon-${\alpha}$ (인터페론 치료로 호전을 보인 재발성 유두종증 1예)

  • Kim, Ki Uk;Cho, Woo Hyun;Jung, Kyung Sik;Park, Hye Kyung;Lee, Jun Hee;Lee, Joung Wook;Lee, Jung Hyun;Kim, Yun Seong;Lee, Min Ki;Wang, Soo Geun;Park, Soon Kew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54 no.3
    • /
    • pp.346-352
    • /
    • 2003
  • Recurrent respiratory papillomatosis(RRP) is a chronic disease that is caused by the human papillomavirus(HPV) type 6 and 11. The most common site of the lesions is the larynx, but papillomas can occur throughout the respiratory and upper gastrointestinal tracts. Frequent recurrence of disease, can result in airway compromise and even death when papillomas either obstruct the airway or spread to the lung parenchyma. We encountered a case of a recurrent respiratory papillomatosis in a 23-year-old patient, who improved after treatment with interferon-${\alpha}$ The patiented with hoarseness, exertional dyspnea, and a productive cough.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