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효도

Search Result 35,638, Processing Time 0.074 seconds

Familism and Filial Piety (가족주의와 효)

  • Lee, Sung-Yo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9 no.2
    • /
    • pp.215-240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parents' related variables, children related variables and the familism related variable on the two types of filial piety behaviors, which are the traditional familism type of filial piety and the individualistic type of filial piety. The former is measured by the coresidence with parents, financial support to parents, while the latter is measured by visiting to parents' house and phone calling on parent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he national survey for filial piety consciousness" administered by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the 598 married children are analysed. The key findings are followings. The first one is that the attributes related our traditional familism are still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on both the familism type of filial piety and individualistic types of filial piety. The second is that the children who fulfill the traditional familism type of filial piety also do well the individualistic type of filial piety.

한양 80리를 잇는 효원의 도시, 수원 갈비

  • Gwon, Jung-Geol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v.2 no.4
    • /
    • pp.72-75
    • /
    • 2009
  • 우리 조상들은 예부터 "효는 만 가지 일의 근본" 이라 하여 효를 숭상해온 민족이다. 정조대왕이 몸소 효를 실천하여 백성들에게 보여줌으로써 나라의 근간으로 삼고자 축조한 곳이 바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수원 화성이다. 비명에 돌아가신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침을 보호하고 살아 계신 어머니 혜경궁 홍씨에게 효도를 다하며, 백성들이 편히 살 수 있도록 건설한 화성에는 정조대왕의 효심(孝心)과 애민(愛民) 사상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 PDF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and Family Values in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효에 대한 인식과 가족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Bae, Moon-Jo;Park, Se-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5
    • /
    • pp.275-28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gender on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in undergraduates. The researched were 155 male and 176 female students in Daegu.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ason of filial piety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mily values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Finally, the variable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family values were gender, awareness of emotion supporting, financial supporting, physical supporting, and attachment with their parents.

The Development of Real-time Character Effector : PRISM GEM (실시간 문자효과기(프리즘젬) 개발)

  • 박성춘;이경국;박근수;이범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6.06a
    • /
    • pp.107-112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문자나 그래픽 요소에 대한 실시간 다중 디지털 효과를 구현한 프리즘젬 장비를 소개한다. 프리즘 젬은 문자를 포함한 여러 그래픽 요소에 대하여 각기 다른 디지털 효과를 편집하여 실시간으로 동시에 효과를 수행할 수 있어서 방송 화면에 다양한 표시 효과를 제공한다. 프리즘젬은 그래픽 보도와 특별히 제작된 효과용 보드를 장착한 PC형 장비로 소형이며 경제적이다. 프리즘젬은 다양한 문자와 그래픽을 편집할 수 있고, 이들에 대한 위치 변환, 크기 변환, 회전, 기울임, 구부림, 퍼뜨림, 클리핑, 스크롤, 블링킹 등의 효과와 함께 곡선이나 나선형과 같은 다양한 경로 이동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레즘젬 장비와 하드웨어 구성, 실시간 다중 디지털 효과를 위한 효과 보드의 동작 원리, 실시간 처리 성능, 복합적인 모양 변형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효과 변환 함수의 모델링 방법, 경로 이동 효과를 포함한 효과 애니메이션 방법, 운용 소프트웨어 기능 등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 PDF

The Study on Hyo Consciousness and Filial P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효 의식과 효행에 관한 연구)

  • Lee Sook-Hee;Shin Hyo-Shik;Lee Seon-Jeo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17 no.2
    • /
    • pp.159-170
    • /
    • 2005
  • This Study has an aim to offer the basic materials to teach the establishment and practice of Hyo consciousness to teenagers after finding the degree of accomplishment about their filial piety as the changes of related variables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followings. 1. The objects of research's Hyo consciousness and filial piety was totally high. 2. The teenagers' Hyo consciousness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dolescent's sea school's place, parents' job, the level of parents' education, income level, religion, family composition, and the place people who were educated Hyo live. 3. The teenagers' filial piety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dolescent's sea mother's job, the level of father's education, religion, and the place people who were educated Hyo live. 4. The teenagers' filial piety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Hyo consciousness. 5. In the relative influence of changes of having influence on filial piety, the better relative changes for filial piety were expressed as sex, religion, the place people who were educated Hyo a lot live, and Hyo consciousness. That is, the more they had Hyo consciousness the more they practiced filial piety. and girl students was expressed higher than boy students in practicing.

  • PDF

The anti-oxidative stress effect of antioxidants in the cell using DCFH-DA (DCFH-DA를 이용한 항산화제의 세포내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 유영근;신미희;최종완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28 no.1
    • /
    • pp.42-57
    • /
    • 2002
  • 본 연구는 널리 알려져 있는 항산화제들의 세포 수준에서의 anti-oxidative stress 효과 및 그 기작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에 사용한 항산화제로는 지용성인 retinol, $\alpha$-tocopherol, propyl gallate(PG) 및 butylated hydroxy toluene(BHT)과 수용성인 ascorbic acid, $\alpha$-glucosyl rutin 및 green tea extract를 사용하였으며 이들 항산화제들의 시간별 세포 생존율을 NR assay 로 측정한 후 적정 농도에서 DCFH-DA(2', 7'-dichlorofluorescin-diacetate) 를 이용하여 항산화제들의 anti-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 항산화제의 항산화 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NBT(Nitro-blue-tetrazolium) 및 DPPH(Diphenyl-picry-hydrazl)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Anti-oxidative stress 실험에서 지용성 항산화제들은 전반적으로 수용성 항산화제에 비하여 세포에 대한 독성이 상대적으로 강하여 retinol 의 경우에는 0.01%에서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를 관할할 수 있었으며 1 시간경과 후 측정시 53.1%의 억제 효과를 보여 주었다. PG 의 경우에는 0.1%에서 2 시간 경과 후 측정시 50%의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수용성 항산화제인 green tea extract 및 $\alpha$-glucosyl rutin의 경우에는 1%에서 1시간 경과 후 측정시 각 각 51.6% 및 69.7%의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시료처리 후 자외선 조사시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의 경우 수용성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alpha$-glucosyl rutin 및 green tea extract 와 지용성 항산화제 중에서는 $\delta$-tocopherol 에서만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으나 자외선을 조사 하지 않았을 때 보다 약 20%-40%까지 억제 효과가 감소되었다. 그리고 PG 및 retinol 의 경우에는 자외선 조사시 독성이 증가하여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를 측정할 수 없었다. NBT실험에서 $\alpha$-glucosyl rutin, $\alpha$-tocopherol 및 PG 1%에서 70%이상의 superoxide anion 생성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DPPH 실험에서는 ascorbic acid 와 PG 1%에서 98%의 hydroxyl radical 생성 억제 효과를 보여 주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BHT 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세포 수준에서의 oxidative stress 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해 볼 수 있었으며 특히 수용성 항산화제들에서 두드러진 효과를 보여 주었다.

A Study on the 3D Space Perception available Motion Graphic (모션그래픽을 이용한 3D 공간감 연출에 관한 연구)

  • Joo, He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269-27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모션그래픽 응용으로 3D 공간감 연출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3D 공간에 입체적 효과를 연출하여 작품 전시회 효과를 나타내고, 다양한 공간 효과를 연출하여 2D의 평면 효과가아닌 3D 공간 효과를 연출함으로써 다양한 3D입체감 효과를 높여 방송, 다큐 같은 영상 전시에 응용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Correction of Shadow Effects in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pproach on the using Samples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그림자 효과 보정에 관한 연구 - 표본을 통한 접근 -)

  • 윤아영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104-104
    • /
    • 2004
  • 본 연구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에서 나타나는 그림자 효과를 보정하여 공간정보 획득을 향상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그림자 효과를 받은 화소와 그렇지 않은 화소의 군집을 표본으로. 사용하여 그림자 효과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표본은 그림자 효과를 받은 화소와 그렇지 않은 화소를 대상으로 각기 생성된다. (중략)

  • PDF

NMDA, quisqualate 및 kainate에 의하여 유발된 신경독성에 미치는 betaine의 효과

  • 박미정;김소라;김영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39-239
    • /
    • 1994
  • 신경쇠약의 치료로 상용하며, 빈혈의 치료와 예방의 효과가 있으며, 노화방지에 도움이 되어 민간약으로는 장수(長壽)약으로 꼽히고 있는 구기자가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을 차단하며, 이러한 효과는 구기자의 성분 중 betaine에 의하여 나타난다. Betaine이 어떠한 작용 기전에 의하여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을 차단하는 지를 밝히기 위하여 글루타메이트가 작용하는 각기 다른 수용체인 NHDA 및 non-NMDA 수용체에 어떻게 작용하는 지를 알아보았다. 각 수용체의 선택적인 효능제인 NMDA, kainate 및 quisqualate 각각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독성을 유도시킨 후 이에 대한 betaine의 작용을 알아 본 결과 betaine은 quisqualate에 의하여 유도된 신경독성에서 모두 유사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효과는 betaine과 구조가 유사한 glycine의 다른 구조 유사체인 dimethylglycine이나 sarcosine과는 다른 작용양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Dimethylglycine과 sarcosine은 kainate에 의한 독성에 대하여 미약한 효과를 나타냈으나, NMDA에 의한 독성에는 정상대조군의 LDH 값의 50% 이상에까지 이르게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이들이 NMDA에 의한 신경독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betaine의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을 차단하는 효과는 다른 glycine 구조 유사체처럼 glycine과 경쟁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결과는 아니라고 여겨진다. 또한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이 일어나는 기전 중의 하나가 calcium 이온의 세포내의 과도한 유입으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세포내의 calcium 이온의 양을 측정하여 본 결과 betaine은 글루타메이트로 인한 세포내 calcium 이온의 증가에 대하여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betaine의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 차단 효과는 이미 미생물에서 보고된 바 있는 betaine의 세포내 삼투압에 대한 보호작용이나 항산화작용과 관련된 기전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 PDF

Effects of Pig Manure and Wine Sludge o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Growth in Greenhouse (돈분발효퇴비와 포도주부산물이 시설 내 고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Shin, Myung-Sook;Jeon,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04b
    • /
    • pp.69-70
    • /
    • 2001
  • 포도주 부산물이 퇴비와 혼합처리 시용에 따른 고추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평창군 비가림재배 시설하우스 농가에서 수행하였다. 초기 생육기인 정식 후 15에는 고추의 초장은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정식 후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은 증가추세를 나타내었으며, 경경의 경우 정식 후 45일, 75일에는 유의차(p>0.05)가 인정되었다. 대조구(돈분발효퇴비 2,000kg/10a)가 0.53cm에서 1.67cm로 1.14cm 증가하였는데, 처리구 T4(포도주부산물 400kg+돈분발효퇴비 1,000kg/10a)는 0.5cm에서 1.74cm로 1.24cm 증가하여 대조구에 비하여 8.7%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각 처리구의 엽록소 함량은 45일에 증가하다가 75일에 다시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며, 처리 15일에서 T1(포도주부산물 200kg+돈분발효퇴비 2,000kg/10a)과 대조구 사이에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T1(포도주부산물 200kg+돈분발효퇴비 2,000kg/10a)이 대조구(돈분발효퇴비 2,000kg/10a)보다 2.6이 높은 56.1로서 가장 높았으며, T4(포도주부산물 400kg+돈분발효퇴비 1,000kg/10a)에서는 53.4로 대조구와 같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엽면적은 정식 후 45일에서 T4(포도주부산물 400kg+돈분발효퇴비 1,000kg/10a)가 60.0$\textrm{cm}^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홍고추의 주당 수량은 돈분발효퇴비와 포도주부산물을 같이 시비한 처리구가 대조구(돈분발효퇴비 2,000kg/10a)에 비하여 감소현상을 보였는데 이러한 현상은 생육후반기에 암모니아 가스에 의해 작물의 피해가 발생하여 수량이 감소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