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효능기대증진 프로그램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4초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이 음주 여대생의 음주관련 지식, 음주거절 자기효능, 음주결과기대 및 문제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Reducing Alcohol Program on Drinking related Knowledge, Drinking Outcome Expectancy and Problematic Drinking Behavior of Women College Students)

  • 박경;최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364-373
    • /
    • 2015
  • 본 연구는 음주 여대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이 음주관련지식, 음주결과기대 및 문제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음주여대생과 대학생들의 음주문화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음주예방 절주프로그램으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WHO의 문제음주 절단점 기준인 AUDIT 8점 이상인 실험군 22명, 대조군 24명 총 46명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본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음주관련지식(F=14.33, p<.001)은 더 높았고, 음주결과기대(F=18.28, p<.001)와 문제음주행위(F=5.57, p=.003)는 더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은 음주 여대생 뿐만 아니라 캠퍼스 내 대학생들의 음주문화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절주프로그램으로 활용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 당뇨 환자의 캠프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과 환자 역할 행위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mping Programs on Self-efficacy and Sick-role Behavioral Compliance in Juvenile Diabetes Mellitus Patient)

  • Park, Yeon-Hee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9-68
    • /
    • 1997
  • 당뇨병은 고혈당을 조절 안할 경우에는 돌이킬 수 없는 신체적 합병증은 물론 정신적 손상까지 받지만, 고혈당은 노력만 하면 조절이 가능하며, 정상에 가까울 정도로 조절되면 정상인과 같은 삶을 영위할 수 있다. 그러나 보건의료 전문가의 인슐린 주사 요법, 식사 및 운동요법 등의 일방적인 처방만으로 성공적인 당조절을 기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당뇨병 환자에게 당뇨병이라는 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이 병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게 만드느냐가 더욱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당뇨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각 지역과 의료기관마다 다양한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특히 소아 당뇨병 환자는 이러한 전통적인 당뇨병에 관한 교육을 통해서 당뇨병에 관한 지식은 많이 가지고 있지만, 당뇨병 자가 조절을 위한 환자 역할 행위(sick-role behavior)를 변화시키는데는 그다지 성공절이라 할 수 없다. Bandura(1977)는 자기 효능은 ‘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수행 성취,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에 관한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들은 자기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 오늘날 이러한 정보를 활용한 중재 프로그램 중에서 가정과 학교를 떠나 자연 환경 속에서의 집단 활동을 통하여 사회 학습 경험을 하는 캠프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캠프에 참여한 당뇨병 아이들은 캠프 활동속에서 다른 동료 아이들이 자신이 갖고 있는 문제들을 성공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것을 관찰하여 대리 경험하게 될 때 희망을 가지게 되며, 당뇨병을 가진 다른 동료들과 공통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그들은 자신이 더 이상 혼자가 아니며 남과 ‘다르지’도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어 점차 자신감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캠프 프로그램이 소아 당뇨병의 자기 효능을 증진시키고, 당뇨병 환자 역할 행위 이행 정도를 높여주는지를 규명해 봄으로써, 소아 당뇨병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 방안을 제시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를 시도하였다. 1996년 8월 10일 부터 12월 12일까지 종합병원에서 추후 관리하고 있는 소아 당뇨병 환자중 선정 기준에 맞는 환자 4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19명은 실험군으로 Bandura의 자기 효능 증진을 위한 정보원을 활용한 캠프 프로그램을 5박 6일간에 걸쳐 실시하였고, 다음 22명은 대조군으로 캠프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자료수집은 자기 효능 척도와 환자 행위 역할 이행 척도를 캠프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사전 조사를 하고 중재 후 4주째 사후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로 Chi-square test, t-test, ANCOVA,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캠프 프로그램은 소아 당뇨병 환자의 자기 효능을 증진시키고 환자 역할 행위 이행을 높여주는데 효과적 이었다. 소아 당뇨병 환자의 자기 효능은 환자 역할 행위 이행과 순 상관 관계가 있어, 자기 효능이 증진될수록 환자 역할 행위 이행 정도가 높아졌다.

  • PDF

의료취약지역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동기-행동기술모델을 중심으로 (Mediating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 Focusing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 이승민;박순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27-3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동기-행동기술모델을 중심으로 의료취약지역 간호대학생의 건강지식, 건강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2022년 10월 1일부터 10월 20일까지 의료취약지역 G시에 거주 중인 간호대학생 15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생활 만족도, 스트레스 관리,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이었고 가장 큰 영향 요인은 사회적 지지였다. 총 설명력은 84.9%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에 관한 관심 제고와 건강 행위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건강한 간호사로 성장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효능기대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한 운동요법 프로토콜 개발 - 제 2 형 당뇨병 환자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Exercise Therapy Protocol Applied to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i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 황애란;김춘자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66-378
    • /
    • 2000
  •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have chronic metabolic disorder and they need self care for their lifetime. But most Diabetes Mellitus patients don't know how to do a self care due to the lack of adequate support from health care professionals. It has been reported that lack of exercise therapy compliance guide is very important on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xercise therapy protocol applied to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based on Bandura's self efficacy model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Firstly, a conceptual framework was developed through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based on Bandura's self efficacy model. In order to identify the contents of program and to design a preliminary protocol, a with the consultation experts was made. A clinical validity was tested using twenty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who received follow-up care regularly through the diabetic out-patient clinic from October, 1998 to May, 2000. After this process, the final protocol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bellows : The final exercise therapy protocol applied to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consists of individualized exercise test and prescription, a small booklet relating personal experience with Diabetes Mellitus and a telephone coaching program for 12 weeks on performance accomplishment, vicarious experience and verbal persuasion, which are all induction modes of efficacy expect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exercise therapy protocol applied to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is applicable to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this exercise therapy protocol could show a positive effect on the exercise compliance of Diabetes Mellitus patients.

  • PDF

폐경관리를 위한 효능기대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Menopause and its Effect)

  • 송애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48-364
    • /
    • 1998
  • The two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develop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menopause based on the self-efficacy theory of Bandura(1977), and 2)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menopause. The first phase was to development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through video tape. A telephone coaching program served as a follow-up to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which provided encouragement and support to the subjects. The second phase was the experimental stage. This experimenta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based on theory of Bandura would increase the self-efficacy and the management of menopause. Results : The video which we developed consisted of 2 parts. Part one discussed the symptoms and the management of menopause. Part two reflected the vicarious step-by-step success of middle-aged women's menopause management. The telephone coaching program served as a follow up to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and provided encouragement and support to the subjects. The total length of the video is 50 minutes. The hypotheses stated in phase two were supported by following results : I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consisting of the natural and artificial menopause groups both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general and concrete self-efficacy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s, both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menopause management scores increased n the natural and artificial menopause experimental group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w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increasing self-efficacy and management of menopause.

  • PDF

중국인 유학생의 흡연경험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융합적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moking Experienc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 장경애;허성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30-138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거주 중국인 유학생의 흡연경험 유무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부산시내에 위치한 지역대학 내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4.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한 결과 흡연 비경험자가 흡연 경험자보다 칫솔질과 구강건강관리 관련 자기효능감,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점수가 각각 높게 나타나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칫솔질 자기효능감은 구강건강관리 관련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었고, 구강건강관리 관련 자기효능감은 구강건강 삶의 질과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흡연경험의 유무는 외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한 유학생활을 위해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전달하여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유방자가검진을 위한 효능기대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and It's Effect for Breast Self Examination)

  • 정명옥;태영숙
    • 종양간호연구
    • /
    • 제2권1호
    • /
    • pp.50-60
    • /
    • 2002
  • Breast self-exam is easiest, safe and cost effective to be recommended as an important method for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This experimental research with non-equal control design was to develop the efficacy expectation program for breast self-exam based on Bandura's self-efficacy information source. The study objects selected from two local churches in Busan. Twenty from S church were selected as a study group, twenty from D church as a control group.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was based on Bandura's efficacy promoting source and was two hour lecture including slide, video tape, demonstration, pamphlet. After this, there were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m and consultations through telephone f or verbal persuasion on the weekly basis between the first week and the fifth week. The effect from the experiment were measured on the first week after education and on the fifth week. Data from control group wa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an 11, 2 001 to Feb 15, 2001 and data from study group wa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an 12, 2001 to Feb 16, 2001. Measurement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by the author with the advice of specialist in order to measure self-efficacy and breast self-exam practice. Data analysis was done by using SPSS/10.0 PC program $with^2-$ test. t-test and ANCOVA. Proved results for hypothesis were as follows. 1) It was supported that "Study group educated by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has higher score in change rat e of self-efficacy than control group." (1 week after education F=18.395, p=.000 5 weeks after education F=28.972, p=.000) 2) It was supported that "Study group educated by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has higher score in change rate of exam practice than control group." (1 week after education F=37.984, p=.000 5 weeks after education F=28.972, p=.000) In conclusio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for breast self-exam developed by this study may increase s elf-efficacy and breast self-exam practice.

  • PDF

여대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in Influenc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Interpersonal Competence on Career Maturity)

  • 정유진;변상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225-238
    • /
    • 2017
  •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을 결합시켜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조사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3월 6일 부터 3월 20일까지 진로지원센터를 운영하는 00도 00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345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33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v.22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수입과 학년은 진로성숙도에서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능력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탄력성은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대인관계능력과 진로성숙도 사이에서 모두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도된 변인들을 결합시킨 진로성숙도 증진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를 지원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경추손상 환자를 위한 효능증대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and it효s Effect for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s)

  • 황옥남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44-555
    • /
    • 1996
  •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and it's Effect for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o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EEPP) based on the Self-Efficacy Theory of Bandura for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CSCIP), and invesgated it's effects. The research process of this study was done in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was an analysis of the patient's life experience. The second phase was to develop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VTR Tape Program(EEPP) that reflected the life experience of the CSCIPS. EEPP was composed Performance Accomplishment and Vicarious Experience with a home visitation program based on Verbal Persuation, which are all induction modes of efficacy expectation of Bandura. The third phase was an experimental stage.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n AB Single Experimental Design. Research subjects were three CSCIPs (cervical area 5-7).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4th June to 22th Oct, 1995.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tion showed great increase self-efficacy score, subject self-care score, all competence of daily living score, and social activitie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an EEPP is an effective home nursing intervention technique for rehabilitation of CSCI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