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횡보강근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4초

S형 보도사장교의 케이블이 횡방향 거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cable on the lateral behavior of S-shaped Pedestrian-CSB)

  • 지선근;임성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577-584
    • /
    • 2019
  • 최근 국내 사장교는 경관적인 요소를 위하여 비정형적인 형태가 시도되고 있다. 새로운 기하구조가 적용된 사장교는 그 특성을 명확히 분석하여 구조안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대상 교량은 S자형 곡선 보도사장교로 S자형 평면곡선과 역삼각형트러스 횡단면을 가진 보강거더, 곡선반경 내측에 1면으로 배치된 경사 주탑과 modified Fan 타입 주케이블, 수직 백스테이케이블이 적용되었다. 곡선사장교는 직선사장교와 같이 종방향의 거동에만 초점을 두고 장력을 조정할 경우 횡방향으로 과다한 변위와 모멘트가 발생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주케이블이 교량의 횡방향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장력에 의한 주탑의 횡방향 변위 방향에 따라 케이블을 2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지간중앙부 케이블 그룹을 GR1, 주탑지점부 케이블 그룹을 GR2라 할 때 GR1과 GR2의 조합비율이 보강거더, 받침, 주탑 그리고 수직앵커케이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교량에 적용된 장력비율을 1.0GR1+1.0GR2라 하였을 때, 1.2GR1+0.8GR2의 조합에서 주탑지점부 보강거더의 좌측과 우측 상현재 응력이 최소가 되었고, 좌우 부재의 편차도 최소가 되었다. 또한, 받침의 수평력, 주탑의 횡방향 변위와 모멘트, 수직백스테이케이블의 장력도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유사한 기하구조를 가진 사장교의 장력 결정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강된 이음부를 가진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의 구조성능 (Structural Performance of Precast Concrete Arch with Reinforced Joint)

  • 정철헌;주상훈;최동찬;이종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29-47
    • /
    • 2014
  • 내구성과 미관성이 우수한 석조 아치교량은 단경간 교량으로서 가장 오래되고 경험적으로 시공되었던 구조물로서 유럽에서는 지금까지도 현장에 시공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시공법의 비효율성과 비경제성으로 인해 교량 목적으로 시공되는 경우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자들이 제안한 시스템에서 구조성능의 향상이 가능한 보강된 이음부의 접합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이음부는 횡방향 루프이음과 종방향 보강근을 적용한 형식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으로 이루어진 아치에 적용하여 실험을 통해서 구조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보강된 이음부는 소량의 보강근으로도 블록 상호 간의 상대변위와 힌지거동을 억제시켜 기존의 형식보다 충분한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형 콘크리트 판넬구조의 수직접합부 전단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Strength of the Vertical Joints in Precast Concrete Large Panel Structures)

  • 서수연;이원호;이리형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1-119
    • /
    • 1994
  • 대형 콘크리트 패널구조 시스템의 수직접합부 저항요소는 접합부 충전 그라우트의 부착과 전단키에 의한 맞물림작용, 철근을 장부작용으로서, 이들 요인의 상관관계에 의해 그 내력이 결정된다. 따라서 수직접합부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이 이들 요인에 관한 연구로 국한된다고 할 수 있다. 수직접합부의 전단강도에 관한 연구는 국외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 여러 실험식이 제시되어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도 수직접합부에 관한 일련의 실험연구가 진행되어 설계식이 제시되었으나, 이들 설계식은 국부적인 실험결과만을 대상으로 제시되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실험결과를 근거로한 설계식이 요망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험된 총 94개의 수직접합부 실험결과를 분석하고 수정된 Mohr-Coulomb의 항복선이론을 적용하여 적합한 설계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안된 설계식은 전단키의 효과와 횡보강근의 효과를 고려한 식으로서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를 그라우트로 사용하며 횡보강근으로 루프철근을 사용한 수직접합부에 적용된다. 실험결과의 희구분석과 항복선 이론을 이용한 수식의 전개로부터 제안된 설계식의 정확성과 경제성을 평가 한 결과, 본 제안식이 실험결과를 안전측으로 평가할 뿐만아니라 기존식에 비하여 경제적인 설계가 가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텐션 슬래브 구조에서 긴장강선 용접절단순서에 따른 긴장재 및 콘크리트의 응력변화 고찰 (Investigation of Stress Changes in Concrete and Strands according to Cutting Order of the Strands in Pre-tensioned Concrete Slab)

  • 문도영;김장호;김규선;윤만근;지광습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419-429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긴장력 도입을 위한 강선의 용접절단순서가 강선의 변형률과 콘크리트 응력에 미치는 영향 을 실험과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실험에서는 각각 다른 3개의 용접절단순서에 따른 강선과 횡방향 보강 철 근의 변형률 변화를 계측하였다. 해석에서는 실험과 동일한 조건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실험 결과와 비교·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강선의 변형률과 횡방향 보강근의 변형률이 긴장재의 절단순서에 따라 다른 결과 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결과는 해석을 통하여도 검증되었다. 따라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시공시 구 조특성에 따라 적절한 절단순서의 조절이 고려되어야 한다.

기존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평가 (Seismic Evaluation of the Existing RC Piers)

  • 전귀현;이지훈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155-16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국내기존 철근콘크리트(RC) 교각의 구조적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단면강도와 변형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이와같은 특성을 고려한 내진성평가절차를 제시하였다 기존 RC교각의 내진성평가를 위해서는 단면휨강도를 지배하는 구요소인 작용축력과 주철근비 및 주철근강도 주철근 항복후 부재변형성능과 전단강도를 지배하는 횡철근비 및 앵커상세 그리고 주철근 부착파괴를 결정하는 주철근의 이음부위치에 대한 상세조사가 요구된다. 국내기존 RC교각은 대부분 횡철근의 앵커가 부적절하고 주철근의 위치가 소성힌지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휨연성거동을 위한 변형성능이 충분히 확보되어있지 못하다 따라서 여기서 제시된 평가절차는 기존 연속교 고정단교각의 내진성평가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내진보강을 하여 지진에 대한 안전성확보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대형인발시험을 이용한 수동지지저항 부재가 설치된 강재스트립 보강재의 인발저항 평가 (Pullout Resistance of Steel Strip Reinforcement with Transverse Members using Large-scale Pullout Tests)

  • 이광우;조삼덕;한중근;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강재스트립 보강재에 횡방향으로 연속되는 지지부재가 결속된 새로운 형태의 보강재에 대하여 대형인발시험을 수행하여 인발저항력을 평가하였다. 시험결과, 지지저항은 수직응력에 대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인발저항 평가시 마찰저항과 지지저항을 각각 산정하여 설계에 반영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험대상 보강재의 지지부재에 의한 지지저항강도를 산정한 결과, 수직응력에 따른 수동지지저항에 의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이축반복하중을 받는 2주형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과 보강 (Seismic Performance and Retrofit of Reinforced Concrete Two-Column Piers Subjected to Bi-directional Cyclic Loadings)

  • 정영수;박창규;이호율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47-55
    • /
    • 2006
  • 본 연구는 도로교의 교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2주형 철근 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과 보강방안을 실험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체는 지름 400mm, 높이 2,000mm인 2주형 원형교각 10기를 제작하였으며, 하중은 $0.1f_{ck}A_g$ 크기의 축방향하중하에서 교축방향과 교축직각방향의 이축 횡방향하중을 교번 반복재하하였다. 실험변수는 심부구속철근비, 주하중방향, 주철근 겹침이음 그리고 보강방안을 선택하였다. 주철근 겹침이음이 있는 교각에 대한 보강방안으로 steel band, steel jacket, 그리고 prestress 강선을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주하중방향이 교축직각인 실험체가 소성힌지구간이 교각의 상 하부 양측에 발생하면서 주하중 방향이 교축방향인 실험체보다 연성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스트레스 강선으로 보강한 실험체는 과보강으로 인한 소성힌지구간의 이동으로 연성도 저하가 나타났으나, steel jacket 및 steel band로 보강한 실험체는 모두 요구연성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teel band에 의한 보강방안은 시공성 등을 감안하여 바람직한 철근 콘크리트 교각의 내진 보강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지진을 경험한 형상비 2.5 RC 교각의 내진 변위 연성도 평가 (Displacement Ductility Evaluation of Earthquake Experienced RC Bridge Piers with 2.5 Aspect Ratio)

  • 정영수;박창규;이은희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79-88
    • /
    • 2003
  • 1992년 내진규정 도입이전에 설계시공된 공용중의 철근콘크리트 교각은 대체로 소성힌지구간에 겹침이음 시공되었다. 본연구는 형상비 2.5의 철근콘크리트 교각실험체의 내진 연성도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이다. 실험에 사용된 6기의 실험체는 횡방향 구속력, 주철근의 겹침이음 그리고 섬유보강을 변수로 가지고 있다. 이 실험체는 한국도로공사가 개발한 인공지진동을 사용하여 유사동적실험을 수행하여 지진이력을 주었으며, 유사동적실험 후에는 일정한 축력, P=0.1 $f_{ck}$ $A_{g}$을 유지하면서 변위제어방식으로 유사정적실험을 실시하여 잔류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소성힌지구간에 겹침이음 된 RC 교각이 낮은 연성에서 파괴에 도달하였다. 이는 주철근 겹침이음이 주철근의 충분한 연성발달을 저하시킨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섬유보강된 실험체는 ?강성과 변위연성도의 현저한 개선능력을 보였다..

구속상세가 SD400 및 SD500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겹침이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Confinement Details for Lap Splice of Headed Deformed Reinforcing Bars in Grade SD400 and SD500)

  • 김승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62-71
    • /
    • 2015
  • KCI 2012와 ACI318-11에서 확대머리 이형철근에 대한 정착길이 산정식을 제시하고 있지만 확대머리 이형철근을 이용한 겹침이음상세에 대한 규정은 없다. 또한, 정착길이 산정에 있어서 횡보강근 효과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400MPa과 500MPa 설계기준항복강도를 가지는 확대머리 이형철근에 대하여 겹침이음구간에 대한 구속상세를 평가하기 위하여 겹침이음실험을 실시하였다. 겹침이음 구간내 적용되는 구속상세는 스터럽과 Tie-down 철근이다. 실험결과, 스터럽만으로 보강된 실험체들에서 겹침이음강도 증가에 큰 영향이 없어 취성적인 파괴를 나타낸 반면에, 스터럽과 Tie-down 철근으로 보강된 실험체들은 공칭휨강도 이상의 실험휨강도와 휨거동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스터럽과 Tie-down 철근 상세는 400MPa과 500MPa의 확대머리 이형철근에 대한 겹침이음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반복하중을 받는 대각보강된 철근콘크리트 연결보의 강섬유 형상비와 혼입률에 따른 이력거동 (Hysteretic Behavior of Diagonally Reinforced Concrete Coupling Beams According to Aspect Ratio and Volume Fraction of Steel Fiber Under Cyclic Loading)

  • 최지윤;손동희;배백일;최창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84-9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반복하중을 받는 대각선 철근콘크리트 커플링 보의 강섬유 형상비와 혼입률에 따른 이력거동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강섬유의 형상비와 혼입률을 주요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국내 건축구조기준에서 제시한 연결보의 횡방향 보강량이 약 53% 완화된 4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에서는 ACI 374.2R-13에 따른 변위제어법으로 반복하중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강섬유가 혼입된 모든 실험체가 현행 구조기준에서 제시하는 공칭전단강도를 상회함을 확인하였다. 강섬유의 형상비가 증가할수록 대각선 철근의 좌굴을 방지하고 강섬유의 브리징 효과로 콘크리트의 균열면 증가를 방지하였다. 강섬유가 혼입된 실험체의 전단강도, 강성감소 및 에너지 소산능력은 강섬유가 혼입되지 않은 Vf0 실험체보다 우수하였다. 따라서 강섬유 철근콘크리트가 횡철근의 디테일을 완화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