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횡단면적곡선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5초

횡단면적 곡선과 NURBS곡선을 이용한 선형 변환 (Variation of the Hull Form using SAC and NURBS Curve)

  • 김현철;김수영;안당;하문근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29-36
    • /
    • 1995
  • 본 연구는 선정된 기준선을 횡단면적 곡선(Sectional Area Curve:SAC)과 NURBS곡선을 사용하여 변환하는 기법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즉, 선정된 기준선의 광역(global) 선형변환은 횡단면적 곡선의 기하학적 특성을 변형시켜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국소(local) 선형변환은 가중치의 증감과 조정점 이동 등을 통한 NURBS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설계자는 이들 변환된 선형의 최종 횡단면적 곡선과 반폭도에서 기본적인 설계요구조건의 만족여부를 검토하게 된다.

  • PDF

적응형 회로망의 퍼지 추론과 B-spline 곡선을 이용한 횡단면적 곡선의 생성 (Generation of Sectional Area Curve using an ANFIS and a B-spline Curve)

  • 김수영;김현철;여경현;김민정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2권3호통권29호
    • /
    • pp.96-102
    • /
    • 1998
  • This paper presents to create a SAC(Sectional Area Curve) using an ANFIS(Adaptive-Network-based Fuzzy Inference System). First, it defines SACs of parent ships by using a B-spline approximation and a genetic algorithm and accumulates a database about SAC's control points. Second, it learns an ANFIS from parent ship data, which are related with principal dimensions and SAC's control points. This process is to model an ANFIS for SAC inferreice. When an ANFIS modeling is completed, we can determine a SAC through an ANFIS inferring.

  • PDF

통계해석에 의한 저항 추정 및 선형 개량 (Estimation of Ship Resistance by Statistical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to Hull Form Modification)

  • 홍성완;조규종;윤도수;김은찬;정우철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38
    • /
    • 1988
  • 본 논문은 선박저항 추정을 위한 통계해석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조파저항계수 추정식은 조파저항이론을 이용하여 선체주요치수와 횡단면적계수들로부터 유도하였으며, 그 회귀계수들은 저항시험 결과들을 회귀 분석하여 얻었다. 형상영향계수 추정식은 선체주요지수, 횡단면적와 저항시험결과들로부터 순수하게 회귀분석하여 얻었다. 또한 선체주요지수는 바꾸지 않고 횡단면적곡선만을 변화시켜 조파저항을 최소로 해주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들은 산적화물선의 저항성능 추정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조파저항이 최소가 되는 수정선형을 도출해 냈으며, 이로인한 유효동력의 절감효과를 저항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NURBS곡선을 이용한 수중운동체의 선형정의 (Hull Form Definition of Underwater Vehicle using NURBS Curve)

  • 김현철;표선식;김수영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1-9
    • /
    • 1995
  • 본 연구는 수중운동체의 선형을 수치적으로 표현하고 변형하는 기법을 내용으로 한다. 즉, 주요치수-전체길이, 중앙평행부의 길이, entrance 및 run부분을 정의하는 계수(이하 entrance 및 run계수라 한다.)등-를 주어진 설계조건으로 하여 실린더형 수중운동체를 생성하고, 이것을 NURBS(Nonuniform rational B-spline)곡선으로 표현한다. 또한 선형의 각 단면은 사용자 Interface를 통해 변화되고, 얻어진 수중운동체의 Offset과 횡단면적 곡선(Sectional Area Curve:SAC)을 도출한다.

  • PDF

쇄파현상을 고려한 선수형상개량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ore-Body Shape Considering Breaking Wave Phenomena)

  • 강국진;김은찬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2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선체로부터 멀리 전파해 나아가는 선형파와 선체 가까이에 존재하는 쇄파로 인한 조파저항성분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을 보여준다. 본 방법은 선형조파저항의 최적화 방법과 시험자료 분석을 통한 쇄파저항의 통계적 최적화방법으로 구성된다. 응용목적으로서, 수선형상이 포물선이고 측면이 수직한 모형을 기본선형으로 택하였고, 선형파를 최적화하는 방법과 경험적인 방법을 통하여서 선체전반부의 횡단면적 곡선을 변화시킨 두척의 수정모형선을 얻었다. 3척의 선형에 대한 시험 및 분석결과로부터 선체전반부의 횡단면적 곡선의 변화에 따른 선형파저항과 쇄파저항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방법으로 선체전반부가 최적화된 선형은 설계속도($F_n=0.26$)에서 기본선형에 비하여 약 47%의 조파저항감소를 보이고 있다.

  • PDF

ASMOD를 이용한 3차원 자유 형상 설계 (3-Dimensional Free Form Design Using an ASMOD)

  • 김현철;김수영;이창호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45-5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입출력 데이터로부터 비선형 다변수 모델을 자동 인식할 수 있는 적응형 Spline모델링(ASMOD : Adaptive Spline Modeling of Observation Data)과 혼합 곡선 근사법(Hybrid curve approximation)을 이용한 3차원 자유 형상 설계방법을 제안하고, 초기 선형 설계 단계에서 횡단면적 곡선(SAC : Sectional Area Curve) 생성 예를 통해 그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즉 실적선의 SAC를 Bspline 근사법(Fitting methdo)과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에 의해 정의하여, 조정점(Control points)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주요치수와 이들 조정점관의 관계-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ASMOD를 학습시킨후 , SAC결정을 위한 ASMOD 모델링을 구축한다. 다른 선형 특성 곡선들-design waterline curve, bottom tangent line, center profile line-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ASMOD를 모델링할 수 있으며, 이들 선형 특성 곡선들을 결합하여 초기 선형을 생성한다.

  • PDF

전동식 수문 설치 전·후의 농경지 침수 피해 분석 (Analysis of flood damages in paddy field by motorized gate)

  • 이승욱;김다예;맹승진;서성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57-357
    • /
    • 2023
  • 2017년 7월 16일 집중호우로 인해 무심천 상류에 위치한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고은리 655번지의 농경지 침수 피해가 발생하였다. 대상지역의 우안 제방에는 기존에 수동식 수문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내구연한이 지나고 부식되어 수년전에 망실되었으며, 2017년 7월 홍수 이후 유사한 규모의 홍수가 발생 할 경우 대상지역은 홍수피해를 겪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에 따라 홍수방어 시설인 전동식 수문을 설치하여 설치 전·후의 침수 피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주 수위관측소의 2017년 7월 15~16일 수위자료를 수집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Rating Curve)을 적용한 시간당 유량자료를 산정하였으며, 수문설치 지점인 고은리 655번지를 시점으로 하류 약 15.871km에 위치한 흥덕교까지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홍수분석을 수행하였다. 무심천 우안 제방 내 수문이 설치되기 전과 후에 따른 대상지역의 제내지 침수구역 범위를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측점은 96개의 횡단면으로 구성하였으며, 부정류 해석을 위한 경계조건으로 상류단 유입량, 측방 유입량 및 하류단 수위를 적용하였다. 홍수분석 결과 단면별 최대수위는 EL.41.92m~EL.66.29m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적용 홍수에 따른 최대 유속은 3.17 m/s로나타났다. 수문설치 지점의 하천 횡단에서 발생하는 최고 수위는 EL.66.29m로 산정되었으며, EL.66.29m를 기준으로 전동식 수문이 설치되기 전과 후의 침수범위를 분석하였다. 설치 전 홍수분석 결과 제내지 침수구역의 면적은 141,309.3m2로 분석되었다. 전동식 수문을 설치함에 따라 대상지역의 제내지 침수 피해를 겪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전동식 수문과 IoT기술을 접목하여 지자체의 재난관리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다면, 유사한 침수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도로선형의 결정에서 토공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arth-work Volume Calculation for Route Alignment of Highway)

  • 최재화;이석배;심정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9-100
    • /
    • 1993
  • 본 연구는 CAD와 LISP(LIST Processing)을 이용한 도로노선 결정에 있어서의 토공량 산정에 관한 연구이다. 컴퓨터의 비약적인 발전과 산업분야에서의 이용증대는 CAD/CAM/CAE 기술의 발전으로 이어져 자동설계 및 자동제작을 가능케 하고 있으며 또한 토목설계의 자동화도 꾸준히 추진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자동화 작업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로노선 결정시 각 노선의 토공량 산정을 자동화하여 토목설계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지형도에 DTM(Digital Terrain Model) 개념을 도입하여 지형정보를 자동독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 한 후 이 데이타를 가지고 LISP 언어를 이용하여 체계적인 알고리즘을 만든 후 CAD 시스템과 접목시켜 종·횡단 면적과 토공량을 산정해서 유토곡선을 출력하는 자동설계 시스템을 시험적으로 구축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PDF

체적 밸런스 선형변환방법에 대한 연구 (On the Volumetric Balanced Variation of Ship Forms)

  • 김현철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
    • /
    • 2013
  • This paper aims at contributing to the field of ship design by introducing new systematic variation methods for ship hull forms. Hull form design is generally carried out in two stages. The first is the global variation considering the sectional area curve. Because the geometric properties of a sectional area curve have a decisive effect on the global hydrodynamic properties of ships, the design of a sectional area curve that satisfies various global design conditions, e.g., the displacement, longitudinal center of buoyancy, etc., is important in the initial hull form design stage. The second stage involves the local design of section forms. Section forms affect the local hydrodynamic properties, e.g., the local pressure in the fore- and aftbody. This paper deals with a new method for the systematic variation of sectional area curves. The longitudinal volume distribution of a ship depends on the sectional area curve, which can geometrically be controlled using parametric variation and a variation that uses the modification function. Based on these methods, we suggest a more generalized method in connection with the derivation of the lines for a new design compared to those for similar ships. This is the so-called the volumetric balanced variation (VOB) method for ship forms using a B-spline modification function and an optimization technique. In this paper the global geometric properties of hull forms are totally controlled by the form parameters. We describe the new method and some application examples in detail.

VOB를 이용한 선형 설계 실용화에 대한 연구 (Practical Hull Form Design using VOB)

  • 김현철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35-242
    • /
    • 2016
  • In general, ship hull form design is carried out in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longitudinal variation of the sectional area curves is adapted from a similar mother ship to determine the volume distribution in ships. At this design stage, the initial design conditions of displacement, longitudinal center of buoyancy, etc. are satisfied and the global hydrodynamic properties of the structure are optimized. The second stage includes the local designing of the sectional forms. Sectional forms are related to the local pressure resistance in the fore- and aft-body shapes, cargo boundaries, interaction between the hull and propeller, etc. These relationships indicate that the hull sections need to be optimized in order to minimize the local resistance. The volumetric balanced (VOB) variation of ship hull forms has been suggested by Kim (2013) as a generalized, systematic variatio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ectional area curves in hull form design. This method is characterized by form parameters and is based on an optimization technique. This paper emphasizes on an extensional function of the VOB considering a geometrical wave profile. We select a container ship and an LNG carrier to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technique. Through analysis, we confirm that the VOB method, considering the geometrical wave profile, can be used as an efficient tool in the hull form design for 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