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회화명료도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음향성능 실태측정 및 평가지표 특성 고찰 (Characteristics of Acoustic Indicators Evaluating Speech Intelligibility in Kore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 이성복;김명준;양홍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7호
    • /
    • pp.462-469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various acoustic indicators evaluating speech intelligibility such as reverberation time(T30), D50, C50 and speech transmission index(STI) in Kore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Results showed that mean T30 at middle frequencies(500 Hz to 2000 Hz) measured in 9 classrooms was about 0.75 s, which exceeds a regulation specified on American National Standards(ANSI); 0.60 s. Mean D50, C50 and STI were 60 % to 66 %, +2 dB to +3 dB, and 0.65, respectively. The maximum difference in D50 and C50 according to different receiver points in a classroom was 13 % and 2.5 dB, while the maximum difference in T30 was 0.03 s. Whereas STI measured in classrooms has relatively low correlation with other indicators, correlation between D50 and C50 was high, R2=.9964. In addition, T30 and C50 were fitted well as logarithmic regression curve with R2=.9610. It was +3.73 dB in C50 and 68 % in D50 which are the value corresponding to 0.60 s in T30 on this curve.

입력 매개변수에 따른 시뮬레이션 오차에 관한 연구 (About the simulation error which follows in input parameters research)

  • 김태훈;김동욱;박광진;공정철;배동명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8-314
    • /
    • 2011
  • The research which sees, the parameters inputs and acoustic measurement result in simulation error most on a large scale concreteness of 3D models which affect number of effective surface. Therefore DATA of above the comparison which will listen, analyzed and investigated.

  • PDF

근전위 제어형 전기 인공후두의 시작 (Development of an Electrolarynx Controlled by EMG)

  • 민혜정;봉정표;최홍식;윤형로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6년도 제6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91-91
    • /
    • 1996
  •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전기 인공후두는 손으로 인공후두를 경부에 장착하고, 음의 intensity와 pitch를 변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손가락으로 조절해야만 하는데, 실제 회화 중에 잘 조절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음질과 명료도가 나쁘며, 발성을 의도했을 때 자유롭게 발성하는 것도 어렵다. 또한 회화 중에는 한손은 항상 전기 인공후두를 위해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흉골설골근 근전위에 의해 제어되는 인공후두를 제작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중략)

  • PDF

명료도 평가용 단음절 목록의 개발 (On the Development of Monosyllable Lists for Articulation Tests)

  • 김정환;강성훈;장대영;김천덕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9-76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일상회화에서 103,581개의 단음절 목록을 표집하고, 한국에 특성에 맞는 5가지 선정규칙을 적용하여, 국내의 명료도 평가용 단음절 목록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음성품질 열화요인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한귀요인인 S/N비와 차단주파수 변화에 대한 타당성 검증결과, 명료도 점수는 열화요인에 따라 체계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한, 명료도 점수에 미치는 두귀요인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방해잡음의 수평 제시각도 효과에 대해서도 검증한 결과, 명료도는 방해잡음의 수평 제시각도에 따라 변화하였다. 그리고, 모든 실험조건에서 목록간에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 PDF

애니메이션 <아버지와 딸>의 회화적 표현에 관한 연구 - 시각적 표현 및 서사적 특징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interly Representation in the Animated Film , Focusing on Visual Representation and Narrative Features)

  • 김민규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1호
    • /
    • pp.59-82
    • /
    • 2018
  • 본 연구는 마이클 두독 드 비트($Micha{\ddot{e}}l$ Dudok de Wit)의 <아버지와 딸(Father and Daughter), 2000>에 나타난 표현적 특징이 하인리히 뵐플린(Heinrich $W{\ddot{o}}lfflin$)이 정의한 회화성(繪畵性, painterliness)의 개념에 해당됨을 주목하고, 연구 작품의 시각적 표현방식과 서사적 특징을 회화성이라는 개념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뵐플린은 16세기 르네상스 전성기 미술과 17세기 바로크 미술의 양식을 비교하면서 회화적 양식의 특징들을 개념화 하였는데, 드로잉 도구로 그려진 연구 작품의 이미지들은 비정형적이고 모호한 형상으로 연출됨으로써 뵐플린이 정의한 회화적 표현방식의 요건들을 따르고 있다. 연구 작품의 이러한 표현방식은 중의적이면서도 모호한 서사의 연출에도 효과적으로 기능하면서 작가주의적 서정성의 표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연구 작품이 지니는 회화성은 상업적 애니메이션이 보여주는 명료성과 대비되는 것으로 작가주의적 경향의 애니메이션 감독들이 활용하는 표현 방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애니메이션에서의 회화성은 디지털 기법으로 인해 표현의 영역이 일원화되고 있는 현시대에 특히 조명되어야 하는 요소로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연구 작품을 통해 애니메이션에서 활용될 수 있는 회화적 표현 방식을 고찰하고 그 의의를 모색하여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표현 영역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음향측정시 실의 종류와 음원에 따르는 음향인자 측정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Pistol Impluse and MLS Source Measurements in Room Types)

  • 김정중;손장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28-1031
    • /
    • 2004
  • Last target of architectural acoustics is that people wish to convey voice effectively from the space adaptively in use purpose in building. But, to how exactly through space sound source that wish to deliver from indoor can be passed does quantification sound estimation method is proposing various kinds physical parameter to estimate degree of voice definition (Speech articulation) and reverberation. Result that evaluate sound source about MLS signal and Impluse signal by pistol in this treatise could know that converge in MLS and measurement error extent about reverberation time(RT) of sound benevolent person. And value is thought there is problem showing change irregularly about sound benevolent person of D50, C80 etc. Finally, in case is spread sound field in difference of sound pressure level, when measure about change of sound pressure level, sound benevolent person could know that there is no different effect.

  • PDF

문장-언어 변환을 위한 한국어 액센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Accentuation Rule for the Korean text to speech conversion)

  • 진달복;김성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804-806
    • /
    • 2004
  • 본 논문은 한국어 문서로부터 음성을 합성해 낼 때 액센트를 자동적으로 만듬으로써 보다 명료하고 자연스러운 회화음을 내기 위한 형식화된 액센트 규칙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규칙은 이호영님의 액센트 규칙으로부터 이끌어 낸 것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첫 음절의 음운(rhyme)이 -v인 경우에는 그 다음 음절에 액센트가 온다. (2) 첫 음절의 음운(rhyme)이 -v가 아닌 경우에는 첫 음절에 액센트가 온다.

어음청취역치와 순음청력검사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The Correlation Between Speech Reception Threshold and Pure Tone Audiometry)

  • 이철희;선우대활;민양기;백만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38.2-39
    • /
    • 1981
  • 어음청취역치는 어음명료도검사를 위한 기초검사이며 순음청력검사의 신뢰도를 검증하는데도 이용된다. 순음청럭검사와 어음청취역치의 연관성을 보기위해 본원에 내원한 전음성난청환자 50이(33명), 정상인 30이(40명)에 대해 Grason-Stadler 1702 Audiometer를 사용하여 순음청력검사와 어음청취역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어음청취역치와 회화음역에서의 순음평균치의 차이는 전음성난청의 경우 그 범위가 -3,3dB∼+8.3dB로 평근 2.4dB의 격차를 보였고 정상인의 경우 그 범위가 -6.7dB∼+5dB로 평균 1.9dB의 격차를 보였다. 2) 회화음역의 500Hz, 1,000Hz, 2,000Hz 각 주파수에서의 역치와 어음청취역치간의 차이는 전음성난청의 경우 500Hz에서 평균 6dB, 1,000Hz에서 평균 3dB, 2,000Hz에서 평균8.8dB였으며 정상인의 경우 500Hz에사 평균 3dB, 1,000Hz에서 평균 2dB, 2,000Hz에서 평균 5dB로서 전음성난청과 정상인에서 다같이 1,000Hz에서 어음청취역치와 순음역치의 차이가 가장 적었다.

  • PDF

공간평가를 위한 피스톨음원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nemy Aptitude of Pistol Sound Source for Space Estimation)

  • 송장렬;김정중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20-328
    • /
    • 2005
  • Last target of architectural acoustics is that people wish to convey voice effectively from the space adaptively in use purpose in building. But, how exactly through space sound (sound source) that wish to deliver from indoor can be passed method to do quantification and evaluate quantity of sound by method to serve indoor architectural acoustics estimation summer period and methods to estimate definition propose. This Study searches special quality of sound source about MLS signal that is occurred short-answer sound source (pistol sound source) and nondirectional speaker among indoor sound estimation method, and measure and analyzed reverberation time (RT60), definition (C80, D50) by regulation of each ISO 3382 in age place (classroom, hall, gymnasium). Analysis result and sound factor among could know that d of two sound sources converges in measurement error extent about reverberation time (RT60) of analysis incidental and sound factors and value shows change irregularly about sound factor of D50, C80, pistol sound source judged there is problem. Also, could know that problem is happened in deflection except reverberation time is in deflection analysis with wave that measure each in fixed distance in branch. Finally, when differ size of sound source and measure about change of sound pressure level in case measure sound pressure level giving difference about 10 dB, sound factor could know that there is no different effect.

서울시 가로수 역사와 수목 고찰 (A Study on the History and Species of Street Trees in Seoul)

  • 송석호;김민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8-67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시 가로수의 역사적 가치를 지닌 수종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고문헌에 기록된 가로수 역사와 수종을 고찰하였다. 또한 다양한 수종 대안을 위해 전통조경수목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가로수 역사는 고구려 양원왕(陽原王) 2년(546), 고려 명종 27년(1197) 등에 가로수로 추정되는 기록이 남아있으나 사료적 명료성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조선 초 세종 23년(1441)에는 국가의 역로(驛路)에 표목(標木)으로 가로수를 심은 것이 확인되며, 표목으로 식재된 가로수는 느릅나무와 버드나무가 확인된다. 조선 초 가로수제도의 시행은 단종 1년(1453) 기록으로 알 수 있으며 큰길 좌우로 소나무, 잣나무, 배나무, 밤나무, 회화나무, 버드나무 등이 식재되었고, 세조 5년(1459)에는 길가에 뽕나무를 심었다. 영조 연간에 그려진 정선의 『압구정』이나 『진헌마정색도』에는 가로수가 열식되어 있으며 이는 왕들의 행차, 한양 출입의 주요 도로, 마장(馬場)의 장소성, 수해에 따른 도로 보호와 표식 등의 복합적인 요인이 고찰되었다. 정조 연간에는 왕의 능 행차에 연관되어 소나무, 전나무, 버드나무 등의 가로수를 열식한 사례가 두드러지며, 이는 왕이 지나는 연도(輦道)와 해당 능역을 성역화하려는 가로수 식재기법으로 보았다. 개항 이후 고종 32년(1895)에는 국가에서 도로 좌우에 가로수를 심을 것을 장려하였고, 근대적 가로수 식재개념이 도입되었다. 당시 한양의 가로수는 사시나무가 속성수로써 주요하게 식재되었다. 서울시 가로수로 활용 가능한 고문헌 출현 교목은 삼국시대 17분류군, 고려시대 31분류군, 조선시대 55분류군이 추출되었으며, 16분류군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모두에서 중복적으로 3회 출현한 수목으로 역사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외래수종이 유입되고 법제가 변화하면서 가로수제도의 현대적 수용이 이루어졌다. 1936년 경성부 권역의 확대에 따른 가로수 6개년 식수계획(1934-1940)이 시행될 당시 경성의 10대 가로수 수종은 '모니리페라'로 불린 현재 미루나무의 아종, 이태리포플러, 사시나무, 은백양 등의 포플러류가 1~4순위로 가장 많이 식재되었으며 수양버들, 아까시나무, 버즘나무, 양버즘나무, 은행나무, 네군도단풍이 5~10순위로 나타났다. 1930년대 중후반부터 버즘나무와 양버즘나무가 새로운 가로수로 소개되며 대규모 식재되기 시작하였고, 1942년부터는 피마잠의 장점이 있는 가죽나무를 가로수로 권장하기도 하였다. 해방 이후 1957년 가로수 수종은 양버즘나무, 은행나무, 이태리포플러, 가죽나무, 미루나무, 수양버들 순으로 나타나 일제강점기 수종들의 순위변화를 보였으며, 양버즘나무와 은행나무의 비중이 높은 점에서 당시의 식재 경향이 현재까지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