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회주철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Fracture Characteristics of Gray Cast Irons with A or D Type Flake Graphite (A 또는 D형 편상(片狀) 흑연을 갖는 회주철의 파괴특성)

  • Park, Jang-Sik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12 no.5
    • /
    • pp.412-422
    • /
    • 1992
  • 일방향 응고법으로 주조된 아공정 회주철의 파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회주철에서는 흑연의 형태변화로 인하여 파단면의 형상에 큰 차이점이 유발되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파단면의 특성분석을 위하여는 주사전자현미경의 이차전자(secondary electron)를 이용한 입체사진(stereopair micrograph)을 촬영하여 입체전인 관찰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일방향으로 응고된 D형 흑연을 갖는 회주철이 A형 회주철에 비하여 열등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것은 극히 미세한 망장(網狀)의 혹연조직과 오스테나이트의 이차 수지상 조직(secondary dendrite arms)의 형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조직은 고 강도의 철상을 거치지 않고 주로 흑연상 주위의 취약한 부분을 통하여만 파괴가 전파되도록 유도함으로써 D형 주철의 파괴강도를 저하시킴이 발견되었다. A형 회주철에서는 조직의 조대함으로 인하여 고 강도의 철조직이 파괴에 참여하게 되어 파괴강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Effects of Riser Design and Chemical Composition on the Formation of Shrinkage Cavity in Gray and Ductile Iron Castings

  • Yu, Sung-Kon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24 no.2
    • /
    • pp.101-107
    • /
    • 2004
  • 회주철 및 구상흑연주철에 있어서 압탕방안 및 합금원소가 수축결함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두 종류의 압탕방안으로 실린더형상의 계단상시편을 제조하였으며 회주철의 경우 5조성(ISO 150, 200, 250, 300, 350), 구상흑연주철의 경우 6조성(SG 10, 20, 30, 40, 50, 60)을 사용하였다. 회주철 및 구상흑연주칠 공히, 1차 압탕방안의 경우 액상수축에 의한 1차수축결함이 후육부의 표면에 발생하였으며 수축결함의 내면은 매끄러웠다. 회주철의 경우 응고수축에 의한 2차수축결함은 생성되지 않았으나 구상흑연주철의 경우 모든 시편의 내부열점에 2차수축결함이 발생하였고 그 내면은 거칠었다. 2차압탕방안의 경우 회주철의 모든 시편에서는 1차 및 2차수축결함이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구상흑연주철의 경우 탄화물 생성원소가 첨가된 SG 40, 50 및 60의 3조성에서 2차수축결함이 열점에 생성되었다. 견고한 ���V주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주형벽이동으로 인한 표면팽창은 어느 경우에도 관찰되지 않았다.

Cavitation Erosion Behavior in Seawater of Shot Peened Gray Cast Iron (쇼트피닝 처리된 회주철의 해수 내 캐비테이션 침식 손상 거동)

  • Park, Il-Cho;Kim, Seo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11-111
    • /
    • 2017
  • 쇼트피닝 기술은 크게 피로강도 향상을 위한 쇼트피닝(shot peening), 재료의 청정 및 도장 품질 향상을 위한 쇼트블라스트(shot blast) 그리고 쇼트피닝 시 판재의 변형되는 성질을 이용한 핀포밍(peen forming)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해양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회주철의 효과적인 내구성 향상을 위해 쇼트피닝 기술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쇼트피닝 기술 적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제품의 균일성, 정확성,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쇼트피닝 강도를 제어하는 여러 가지 변수들에 대하여 최적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회주철에 대한 최적 쇼트피닝 분사조건 규명작업은 반드시 쇼트피닝 가공 전에 수반되어야만 한다. 그 일환으로 실험은 쇼트피닝 분사시간과 분사압력을 변수로 하여 회주철 표면에 적용하였으며, 기계적 특성 평가를 통해 최적의 쇼트피닝 조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쇼트피닝 분사조건에 따른 회주철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캐비테이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경도 측정, 횡단면 관찰 및 표면의 3D 현미경 관찰 등을 통해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캐비테이션 실험은 ASTM G32 규정에 의거하여 천연해수 내 $30^{\circ}C$에서 $50{\mu}m$의 진폭으로 실시하였다. 실험 후에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손상표면을 관찰하였으며, 손상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무게 감소량을 계측하여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Addition of Rare Earth Element in the Spent Permanent Magnet Scrap to Gray Cast Iron (회주철에서의 폐 영구자석 스크랩을 활용한 희토류 원소 첨가 영향 연구)

  • Park, Seung-Yeon;Noh, Jung-Hyun;Kim, Hyo-jung;Lim, Kyoung-Mook
    • Resources Recycling
    • /
    • v.27 no.3
    • /
    • pp.48-57
    • /
    • 2018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strength gray cast irons by adding a rare earth element (R.E.) included in a spent permanent magnet scrap to gray cast irons. The improvement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gray cast irons is attributed to A-type graphite formation promoted by complex sulfide, which was formed by R.E. in the spent magnets during a solidification process. The cast specimen inoculated by R.E. in the spent magnet scrap showed excellent tensile strength up to 306 MPa, and is similar to that of the specimen inoculated by expensive misch-metal. In this regards, we concluded that the cheap spent magnets scrap is a very efficient inoculation agent in fabrication of high performance gray cast ir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