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회전기계

Search Result 1,63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ISO TC108/SC2(기계. 차량. 구조물에 발생되는 기계진동과 충격의 측정/평가) 소개

  • 정균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8.04a
    • /
    • pp.284-285
    • /
    • 1998
  • ISO TC108/SC2에서 취급하는 기계, 차량 및 구조물에 발생되는 기계진동과 충격의 측정 및 평가 기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SC2내에는 현재 7개의 Working Group(WG)이 23개 기준에 대하여 보완 및 개정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이들 기준의 적용대상은 회전기계, 선박, 철도차량, 자동차 및 건물로서 본문에서는 기준 내용을 요약하고 개정과정도 일부 소개한다.

  • PDF

Analysis of Navigation Error According to Rotational Motions of Rotational Inertial Navigation for Designing Optimal Rotation Sequence (최적 회전 절차 설계를 위한 회전형 관성항법장치의 회전 동작별 항법 오차 분석)

  • Jae-Hyuck Cha;Chan-Gook Park;Seong-Yun Cho;Min-Su Jo;Chan-Ju Par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9 no.2
    • /
    • pp.445-452
    • /
    • 2024
  • This paper analyzes the navigation error for each rotational motion in order to design an optimal rotation sequence, which is a key technology in the rotational inertial navigation. Rotational inertial navigation system is designed to cancel out navigation errors caused by inertial sensor errors by periodically rotating the inertial measurement unit. A properly sequenced rotational motion cancels out the maximum amount of navigation error and is known as an optimal rotation sequence. To design such an optimal turning procedure, this paper identifies the feasible rotational mo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rotational inertial navigation system and analyzes the navigation error introduced by each rotational motion.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vigation error generated during a rotation sequence in combin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conditions for designing an optimal rotation sequence.

Optimum Balancing Using Ggenetic Algorithm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평형잡이에 관한 연구)

  • 최원호;양보석;주호진;임동수;노철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137-141
    • /
    • 1995
  • 회전기계에서 발생하는 진동 원인 중 약 60% 이상이 불평형(unbalance)에 의한 진동이다. 불평형은 기계의 과도한 진동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베어링의 수명 단축 및 소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기게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기계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부드럽고 진동이 없는 운전을 위하여 평형잡이(balancing)는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불평형은 축 중심선에 대하여 회전체의 질량 분포가 비대칭이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그 원인으로는 부품 자체가 비대칭에서 오는 설계 또는 제도 오차, 주물의 기포 및 용접의 불균일 등에 의한 재질상의 결함, 그리고 부품조립시 형상누적공차 등에 의한 가공.조립오차 등이 있다. ISO의 정의에 따르면 평형잡이는 회전체의 질량 분포를 조사하고 필요하다면 저널의 진동과 베어링의 작용력들이 운전속도에 대응하는 주파수에서 특정한 한계내에 있도록 보증하게 하기 위한 조정을 하는 과정이다. 불평형 상태에 대한 조사도 평형잡이로 표현된다. 그러나 수정이 필요하다고 간주된다면 수행된다. 모든 회전체는 초기 불평형(initial unbalance)이라 불리는 임의의 불평형을 가지고 출발한다. 완벽하게 평형이 잡힌 회전체를 달성하는 것이 평형잡이 작업의 목적은 아니다. 임의의 잔류 불평형(residual unbalance)은 항상 허용된다. 경제적인 이유에서 회전체는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적절한 허용치보다 더 이상 평형잡이를 하지 않는다. 현장에서 현장 평형잡이를 수행하게 될 경우, 가끔 계산된 수정질량이 매우 클 경우가 있다. 이때 기게의 조건상 큰 수정질량을 부착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작은 수정질량으로 평형잡이를 할 수 있다면 기계의 안정성 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향계수법(Influence Coefficient Method : ICM)의 기본 개념과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 GA)을 이용하여 회전기계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허용진동 내에서의 최적 수정질량 계산법을 제시한다.

  • PDF

Frequency Distribution of Mechanical Noise Signals for Ultrasonic Wave and AE Sensor with Brush Spark of DC Motor (직류전동기 브러시 섬락에 따른 기계적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분포)

  • 이상우;김인식;이광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8 no.2
    • /
    • pp.36-43
    • /
    • 2004
  • In this paper, the frequency spectra from respective mechanical noise signals detected using ultrasonic wave and AE(Acoustic Emission) sensor were analysed to under spark generation between brush and commutator side with arbitrarily 15$^{\circ}$ rotation for brush from the DC motor in operation. Also, the frequency spectra from respective magnetizing noise signals detected using ultrasonic wave and AE sensor were analysed to under neutral point for brush from the DC motor in normal operation. And the analyses and comparison between the mechanical noise signal and magnetizing noise signal of ultrasonic wave with brush location change from the DC motor in operation. As the experimental results, tile mechanical noise signal of ultrasonic wave under spark generation between brush and commutator side with brush location change from the DC motor in operation were increased about 2.5∼3.0 times than magnetizing noise signal of ultrasonic wave form the DC motor in normal operation. Also, the main frequency band for mechanical noise signals of AE under spark generation between brush and commutator side with brush location change from the DC motor in operation, appeared about 1.3[MHz]∼l.5[MHz] by the fast fourier transform.

A Study on the Statistical Diagnosis for A Rotor System (로터시스템의 통계적 이상진단 시스템에 대한 연구)

  • 김성철;김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717-720
    • /
    • 2000
  • 베어링을 이용한 회전축은 모든 회전축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회전축은 발전기 터어빈, 고정밀 공작기계 등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대규모의 회전축에 이상이 생긴 경우, 이상을 방치하고 계속 사용하게 되면 기계전체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전체의 파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미리 이상을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면 많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여러 종류 로터시스템 여러 종류의 이상진단을 시도하여 왔으며 앞으로도 많은 종류의 이상진단이 이루어지리라 생각한다. 다양한 형태의 이상진단은 시스템에서 추출되는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처리하는 기법과 추출하는 센서의 특징을 파악하여 이상진단 알고리즘을 수립하는 과정을 망라하게 된다. 특히 이상진단 알고리즘에는 측정된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감안한 이론이 적용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로터시스템을 이용한 베어링 진단 유무에 대한 이상진단을 통계적 패턴인식 이용하여 정상과 비정상 상태를 구분하여 여러 종류의 이상을 구분하는 작업수행을 연구하고자한다.

  • PDF

Rotational Motion Control Using ER Clutch/Brake Actuators (ER 클러치/브레이크 작동기를 이용한 회전운동제어)

  • Choi, S.B.;Cheong, C.C.;Kim, J.H.;Han, M.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5 no.8
    • /
    • pp.126-13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회전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작동기로서 전기장에 대하여 매우 빠른 응답특성을 갖고 있는 두 쌍의 실린더형 ER(electro-rheological) 클러치/브레이크 작동기를 제안하였다. 자체조성 된 ER유체의 빙햄특성 모델을 실험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이와 연계한 작동기 모델을 구성하여 전기장에 따른 전달 및 제동 토크를 해석한 후 알맞은 크기의 클러치/브레이크 작동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작동기의 동적특성(시상수 등)을 작동기 모델에 고려하기 위하여 계단입력 전기장에 따른 과도응답 실험을 클러치와 브레이크 모드에서 각각 수행하였다. 제안된 작동기의 응용성을 보이기 위하여 두쌍의 작동기로 구동되는 실험실 차원의 소형 와권식 세탁기 시스템을 구성한 후 동적지배방정식을 유도하다. 각 작동기와 연계된 PID제어기를 설계하여 세탁과 탈수시의 회전운동을 제어하였으며, 부하질량의 변화에 대한 작동기 시스템의 제어 효율성과 장시간 운전을 통한 제어 내구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