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회복기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4초

사이클 선수와 철인3종 선수들의 지구력 및 근력 트레이닝이 효율성 및 경제성과 VO2 kinetics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ndurance and strength training of cyclists and triathlon athletes on efficiency, economy and VO2 kinetics)

  • 김도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491-49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훈련된 10명의 사이클 선수와 10명의 트라이애슬론 선수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트레이닝 상태에서 경제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모든 실험자는 50, 100, 150 watts의 자전거 프로토콜로 테스트 한 결과, 두 그룹의 효율성은 현저하게 다르게 나타났으며 철인3종 선수들의 경제성과 효율성이 사이클 선수들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산소섭취량과 작업량의 적절한 조합은 선수들의 산소부족량을 감소시켜 운동 후 회복기에 이에 맞는 부족량 부분을 다시 상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출산순위별 출산증가 요인 분석 (The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Rise of Fertility Rates by Each Parity)

  • 이성용
    • 한국인구학
    • /
    • 제32권1호
    • /
    • pp.51-70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이데올로기, 개인의 경제적 상황에 대한 인식, 그리고 개인의 사회 문화적 특성들이 어떻게 2006년 이후 2008년 까지 출산회복기의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출산순위별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로는 2008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한 2007년 전국 출산동향 조사가 사용되었다. 이 자료의 응답자는 2007년도에 출산한 여성 1467명과 2007년도에 출산하지 않은 여성 1,00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데올로기, 경제적 상황, 그리고 사회경제적 특성 요인들이 출산 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출산순위에 따라 차이가 났다. 둘째, 출산장려 정책은 육아와 같은 경제적 지원뿐 아니라 부부관계보다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를 중시하는 전통적 가족이데올로기를 강조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혼인연령을 낮추는 정책이 필요하다.

회복기 재활환자의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Factors Influencing Readmission of Convalescent Rehabilitation Patients: Using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Claims Data)

  • 신요한;정형선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51-461
    • /
    • 2021
  • Background: Readmissions related to lack of quality care harm both patients and health insurance finances. If the factors affecting readmission are identified, the readmission can be managed by controlling those factor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readmissions of convalescent rehabilitation patients. Methods: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claims data were used to identify readmissions of convalescent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 hospitals and long-term care hospitals nationwide in 2018. Based on prior research, the socio-demographics, clinical, medical institution, and staffing levels characteristics were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as independent variables. Readmissions for convalescent rehabilitation treatment within 30 days after discharge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d generalization estimation equation. Results: The average readmission rate of the study subjects was 24.4%, and the risk of readmission decreases as age, length of stay, and the number of patients per physical therapist increase. In the patient group, the risk of readmission is lower in the spinal cord injury group and the musculoskeletal system group than in the brain injury group. The risk of readmission increases as the severity of patients and the number of patients per rehabilitation medicine specialist increases. Besides, the readmission risk is higher in men than women and long-term care hospitals than hospitals. Conclusion: "Reducing the readmission rate" is consistent with the ultimate goal of the convalescent rehabilitation system. Thu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echanism for policy management of readmission.

도구적 일상생활 프로그램이 회복기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 재활 동기,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Program on General Self-Efficacy,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Social Support in a Patient with Subacute Stroke)

  • 최민경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19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on a patient with subacute stroke in the view of self-efficiency,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social support. Methods : Eight stroke patients who attended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at P hospital in Busan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2018 to January 2019 were recruited.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was offered to 8 stroke patients 1 session (at least 1 hours) a day, 5 times a week, for 4~5 weeks. The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was based 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OTPF) an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We evaluated self-efficacy, rehabilitation motivation, social support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Self-efficacy was evaluated using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20.0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Wilcoxon signed rank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iency, rehabilitation motivation, social support between before and after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p<.05).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fficiency, rehabilitation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of the stroke patien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fficiency and social support (p<.05).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have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rehabilitation motivation, social support. When considering the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with improved self-efficacy, rehabilitation motivation, social support of the participants, we suggest that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examine more extensive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on to the society with a larger sample size.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람의 심박변화와 활동강도를 이용한 운동 검출 방법 (Exercise Detection Method by Using Heart Rate and Activity Intensity in Wrist-Worn Device)

  • 성지훈;최선탁;이주영;조위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8권4호
    • /
    • pp.93-102
    • /
    • 2019
  • 웰니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개인의 건강상태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모니터링하는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과 일상 활동을 구분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기계학습을 활용한 방식이다. 하지만 개인별 학습 데이터에 의존적인 과적합 문제와 연속적인 사건으로 구성되는 사람의 행동을 독립적으로 취급하여 인식 결과가 중간에 끊기고 오인행동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운동 시 심박이 오르내리는 생체반응 원리를 기반으로 한 운동 상태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3축 가속도 센서와 PPG 센서를 통해 활동강도 및 심박 수를 산출하여 심박 회복기를 판단한 후, 활동강도 검사 또는 심박 상승기 검사를 통해 운동 상태를 검출한다. 실험 결과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평균 정확도 98.64%, 정밀도 98.05%, 재현율 98.62%로 기존 알고리즘보다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공립요양병원 운영평가 평가지표 개발 방안 (Development of Quality Indicators for Public Convalescent Hospitals)

  • 서지우;손민성;최만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25-537
    • /
    • 2021
  • 1990년대 후반부터 공립요양병원이 설립되었고, 2018년 기준, 79개소로 전체 요양병원의 5.1%를 차지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서 치매 국가책임제를 발표하면서 공립요양병원을 치매안심병원으로 지정하여 중증치매환자에 대한 전문치료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육성하고자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8년에 치매관리법을 개정하여 공립요양병원 운영평가를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으며, 2020년부터 본 평가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2020년도 공립요양병원 운영평가를 시행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공립요양병원을 치매환자의 전문치료기관 및 회복기 재활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역량 있는 기관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정립하였으며, 양질의 진료서비스, 공공성, 책무성 등 공공기관으로서의 행태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체계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평가지표가 적용가능한지 검증하기 위해 공립요양병원 79개소 중 20개소를 대상으로 시범 평가를 시행하였다. 본 평가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및 피드백이 진행되고 지속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전체 요양병원의 기준(standard)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노인보건정책의 발전과정 및 연구동향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Research Trends and Development Process of Health Policy for the Elderly)

  • 선우덕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773-784
    • /
    • 2008
  • 본 논문은 한국노년학회지의 노인보건정책연구와 관련된 게재논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유형과 주요 정책제언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노인보건정책에서 추구하여야 할 정책과제를 도출, 제시하는데 있다. 지난 한국노년학회지가 발간된 이후부터 2007년도까지 노인보건과 관련된 게재논문수는 총 61편이었고, 이 중에서 정신보건분야, 구강보건분야를 제외한 질병, 의료비 등 일반보건의료와 관련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연구방법론을 보면, 특정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되 표본조사를 통해서 구축된 자료와 노인복지기관이나 병원 등을 이용한 노인을 분석대상으로 한 논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할 수 있는 향후 정책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건강수준에 적합한 특화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성화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중심의 노인 일차보건의료체계의 구축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급성기 치료 이후의 회복기 치료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기요양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노인환자에 대한 의료적 관리체계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좌업생활 증가에 따른 건강유지 요인 분석 (Analysis of Health Maintenance Factors According to Increase in Sedentary Behavior due to the COVID-19)

  • 신세영;진승모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09-419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증대된 좌업생활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신체적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좌업생활을 주로 하는 사무직 여성으로 33명을 선정하였다. 집단 설정은 좌업생활 시간에 따라 고 좌업생활 집단 11명, 중 좌업생활 집단 11명 그리고 저 좌업생활 집단 11명으로 구분하였다. 측정변인인 최대산소섭취량과 초과산소소비량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혈중 젖산의 수치는 운동직후(p<.05), 그리고 회복기 15분(p<.001)과 20분(p<.001)의 시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회복반응의 정도는 저 좌업생활 집단에서 더욱 원활한 회복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은 좌업생활 정도에 따른 시간의 차이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요인에게 영향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개인적 공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좌업생활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지역별 회복기 재활 의료서비스 필요도 결정요인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onvalescent Rehabilitation Medical Service Needs at Regional Level)

  • 김정훈;김희년;최용석;정형선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0-54
    • /
    • 2023
  • Background: Based on the increase in the needs for convalescent rehabilitation medical service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calculate the needs for rehabilitation services and examine its determinants for 229 regions. Methods: Claim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were used to estimate patients who need to receive rehabilitation services, and data from various sources were also used for analysis. The number of cases and incidence rates of hospitalization related to convalescent rehabilitation were calculated to estimate the needs for services by region, and the results were visualized via a map. Multivariate regression and fixed effects regression using panel data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regional variation of the incidence rate. Results: First, the incidence rate of rural areas such as Jeolla-do, G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was higher than urban areas (metropolitan cities). Second, the population, proportion of the elder, medical aid recipients, financial independence, traffic deaths, smoking, diabetes rate, and medical infrastructur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incidence rate. Third, 'rho' values which mean the fraction of variance due to individual terms in panel data regression models were 0.965 and 0.976, respectively. Conclusion: The incidence rate of hospitalizations was correlated with most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and there is a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ese regional disparities are fixed in our society. An improved regional convalescent rehabilitation system is suggested to cover the entire area including rural areas with a high rate of aging.

가상현실기반 인지재활훈련과 컴퓨터기반 인지재활훈련이 회복기 뇌졸중 환자의 기능과 전전두엽 피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전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Function and Prefrontal Cortex in Convalescent Stroke Patients)

  • 이현민;김수산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3-114
    • /
    • 2023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computer-based and virtual reality-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on the cognitive function, upper limb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ir impact on the prefrontal cortex in convalescent stroke patients. METHODS: Ten recovering stroke patients were assessed for their cognitive function, upper limb function, and daily living activities using th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Fugl-Meyer Assessment,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The prefrontal cortex activity was measured with functional Near Infrared Spectroscopy. The virtual reality-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group utilized a program of daily living activities delivered via a laptop and Oculus Rift. The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group performed various cognitive tasks on an all-in-one PC. Both groups underwent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for 30 minutes per day,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with identical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herapies in the hospital. RESULTS: Both programs positively impacted the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reality-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had a larger influence on improving the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f convalescing stroke patients. CONCLUSION: The virtual reality program suggests its potential to enhance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in convalescent stroke patients through increased engagement, focus, real-time feedback, and game elements, making it a promising rehabilitation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