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황체기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THE HORMONAL LEVELS OF THE SHORT LUTEAL PHASE IN KOREAN W0MEN (III);CHANGE OF STEROID GLUCURONIDES (황체기 단축현상을 가진 한국여성의 호르몬 양(Ⅲ);뇨내 Steroid Glucuronides의 변동)

  • Yoon, Yong-Dal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12 no.1
    • /
    • pp.31-40
    • /
    • 1985
  • 월경주기 중 황체기가 짧은 여성 즉 황체기 단축현상을 가진 한국여성(SLP) 의 특성을 조사하고 진단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재료는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12명의 여성에서 26주기와 8명의 황체기 단축현상을 가진 여성에서 17주기를 선택하였다. 기상후 첫 오줌에서 steroid glucuronides의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SLP 의 estrone -3 -glucuronide ($E_1G)의 농도는 초기 여포기와 황체기 동안 정상인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또한 SLP 의 전 월경기 중 pregnanediol-$3{\alpha}$-glucuronide($P_2G$)의 농도 역시 유의성있게 낮았다. 그러나 $E_1G/P_2G$의 비율은 여포기가 황체기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고, SLP 여성의 비율이 정상인 보다 각 월경주기 중 유의성있게 높았다. 위의 결과로 보아 $E_1G$, $P_2G$$E_1G/P_2G$의 농도차로 황체기 단축현상을 가진 여성을 진단 하고 또 치료시 난소의 기능조절에 이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 PDF

Influence of menstrual cycle on preferred clothing and preferred ambient temperature (생리주기가 쾌적착의량과 쾌적온도에 미치는 영향)

  • Jeong, Woon-S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655-1660
    • /
    • 2001
  • 여성의 생리주기가 행동성 체온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6명의 건강한 여자대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22.5$^{\circ}C$와 55%RH의 환경에서 피험자 스스로가 의복을 선택하는 쾌적의복선택 실험과 피험자 스스로가 온도를 선택하는 쾌적 온도선택 실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평균피부온은 생리주기에 관계없이 쾌적온도선택 실험보다 쾌적의복선택 실험에서 높게 유지되었고, 생리주기에 따른 쾌적착의량과 쾌적온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6명의 피험자 중 4명의 피험자가 선택하여 착용한 착의량은 황체기보다 여포기에 더 많았고 (p<0.05), 5명의 피험자가 선택한 쾌적온도 역시 황체기보다 여포기에 평균 1.4$^{\circ}C$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이러한 결과는, 피부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여포기보다 황체기에 심부체온을 높게 유지하기 위한 행동성 체온조절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나, 보다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다수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야 할 것이다.

  • PDF

Effects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on the Changes of Energy Intake and Body Composition (월경전 불쾌기분장애가 식이 섭취량 및 체구성 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Chang, Un-Jae;Kim, Dong-G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4 no.2
    • /
    • pp.190-19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 of energy intake, blood sugar and body composition in accordance with menstrual cycle among the women with the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PMDD) group and women with no premenstrual symptoms (NPS) group. Energy and carbohydrate intak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luteal and menstrual phases than follicular phase in both groups. Protein intak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luteal phase than follicular phase in both of groups. Fat intake was not difference in according to the menstrual phases in both groups. Weight and body wat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luteal and menstrual phases than follicular phase in both groups. Fat ma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luteal phase than follicular phase in both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s in energy,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intake, weight, body water and fat mass between groups were not significant. Above finding of this study showed that women's energy intake and body composition have connection with change of menstrual cycle and implied that more systematic study which affects menstrual cycle is requested.

돼지 난소의 황체세포의 체외배양시 TGF-${\beta}$1의 분비

  • 최재혁;김봉기;정학재;박진기;우제현;양병철;장유민;박수봉;성환후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3.06a
    • /
    • pp.89-89
    • /
    • 2003
  • 본 연구는 난소의 황체를 체외배양시 TGF-$\beta$1의 황체내 발현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돼지 황체는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사육중인 돼지(체중 145$\pm$kg) 12두로부터 발정을 유도시켜 배란 후 약 48시간째 도축하여 난소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난소로부터 황체를 분리하여 세절한 후 0.25% collagenase용액(0.025mg DNase, 50mM EDTA, 50mM Dithio-threitol)으로 37$^{\circ}C$의 진탕 수조에서 30분간 배양하여 황체세포를 분리 회수하였다. 회수된 황체세포는 D-MEM용액(GIBCO, 10% FCS와 antibiotics 첨가)으로 2회 세척하여 1$\times$$10^{6}$live cell/$m\ell$이 되도록 희석하여 24 well culture plate(Corning, New Tork 14831)에 분주하여 $CO_2$ 배양기($CO_2$: 5%)에서 24시간 간격으로 2회 배양액을 교환해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황체 세포는 immunocytochemistry 방법으로 TGF-$\beta$1의 발현을 관찰함과 동시에 황체조직도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TGF-$\beta$1 의 발현 유ㆍ무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황체세포 그리고 황체 조직 뚜렷한 TGF$\beta$1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서 TGF$\beta$1은 황체기능을 유지하는데 하나의 인자로서 작용하며 다른 인자들과의 상호작용을 시사하고 있다.

  • PDF

Effects of Ovarian Estrus Stage of Oocytes and Supplementation of Medium with BSA, Cysteine and Myoinositol on in vitro Maturation of Canine Oocytes (난자의 회수시기, BSA, Cysteine 및 Myoinositol이 개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Keun;Lee, Bong-Ku;Lee, Kyu-Seu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34 no.1
    • /
    • pp.13-18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varian estrus stage of oocytes and supplementation of medium with BSA, cysteine and myoinositol on in vitro maturation of canine oocytes. The in vitro maturation(IVM) rate to metaphase II (M II) stage of oocytes recovered from different stage of the reproductive cycle (inactive, follicular and luteal stage) cultured in TCM-199 media were $0.0{\pm}0.0%$, $10.0{\pm}4.1%$ and $5.7{\pm}1.6%$, respectively. The IVM rate of oocytes collected from follicular sta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nactive or luteal stage of oocytes. The IVM rates of oocytes recovered from different stage of the reproductive cycle cultured in TCM-199 media with 5% BSA and 0.1 mM cysteine were$0.0{\pm}0.0%$, $15.8{\pm}4.7%$, $5.6{\pm}1.5%$, respectively. The IVM rates of oocytes recovered from different stage of the reproductive cycle cultured in TCM-199 media with 5% BSA and 10 mM myoinositol were $0.0{\pm}0.0%$, $18.4{\pm}4.6%$ and $5.7{\pm}1.9%$, respectively. The IVM rate of follicular stage oocyt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ocytes collected from follicular stage and with cultured 5% BSA and 0.1 mM cysteine or 5% BSA and 10 mM myoinositol compared to other experimental group.

  • PDF

Pain Threshold & Taste Threshold Variations across the Menstrual Cycle (월경주기에 따른 동통역치 및 미각역치의 변화)

  • Byun, Young-Hee;Koo, Sun-Ju;Choi, Jae-Kap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3
    • /
    • pp.253-260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월경주기에 따른 동통역치와 미각역치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안면부에 동통성 질환이 없고 정상 월경 주기를 가진 건강한 20대 여성 11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2회의 연속적인 월경주기 동안, 월경기(menstrual phase), 여포기(follicular phase), 황체기(luteal phase)의 세 시기에서 압력통각역치, 전기미각역치, NaCl 미각역치를 각각 측정하였다. 각 역치를 월경주기의 시기별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압력통각역치와 전기미각역치는 월경주기의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황체기에서 월경기에서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역치를 나타내었다. NaCl 미각역치는 월경주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Patterns of Pulsatile and Surge Modes of Follicle-Stimulating Hormone Treated with Different Progesterone Levels in Ovariectomized Goats (난소제거된 Shiba 염소에서 다른 농도의 Progesterone 처치에 의한 FSH Surge 및 Pulse 분비에 미치는 영향)

  • Kim, Seung-Joon;Tanaka, Tomomi;Kamomae, Hideo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8 no.2
    • /
    • pp.225-231
    • /
    • 2011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gesterone levels that effects on the pulsatile and surge modes of FSH secretion. In previous studies we have shown that LH surge occurred in the follicular levels of progesterone, whereas there was no surge mode secretion of LH in either the sub luteal or luteal levels of progesterone. LH pulsatile frequencies were high in two groups such as follicular level and sub luteal level. But in the luteal level of progesterone the pulsatile pattern of LH were strongly suppressed. Namely, sub luteal levels of progesterone, around 1 ng/ml, completely suppressed the LH surge but did not affect the pulsatile frequency of LH secretion. Because of this we hypothesized that the two secretory patterns of FSH are similar to that of LH. Long-term ovariectomized Shiba goats that had received implants of estradiol capsules and three different progesterone silastic packet inducing follicular, subluteal and luteal levels of progesteron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uch as non-P, low-P and high-P group.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daily throughout the experiment for the analysis of gonadal steroid hormone levels and at 10-min intervals for 8 h on Days 0, 3, and 7 (Day 0: just before progesterone treatment) for analysis of the pulsatile frequency of FSH secretion. Then estradiol was infused into the jugular vein of all animals at a rate of 3 ${\mu}/h$ for 16 h on Day 8 to determine whether an FSH surge was induce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every 2 h from 4 h before the start of the estradiol infusion until 48 h after the start of the infusion. In each group, the mean ${\pm}$ SEM concentration after progesterone implant treatment was 3.3 ${\pm}$ 0.1 ng/ml for the high P group, 1.1 ${\pm}$ 0.1 ng/ml for the low P group, and < 0.1 ng/ml for the non-P group, concentrations similar to the luteal levels, subluteal levels, and follicular phase levels of the normal estrous cycle, respectively. The FSH pulse frequency was maintained highly in all groups on Day 0, Day 3 and Day 7. An FSH surge was induced in all 4 cases of the Non-P group. In the High P and Low P groups,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FSH remained low until 48 h after the start of estradiol infusion, and no occurrence of FSH surge was found in any of the anim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not only confirm that the pulsatile patterns of FSH were not inhibited strongly relative to LH, they also suggest that some other mechanism and factor may be controlling the FSH secretion.

Some Aspects of Physiology of Estrous Cycle in Goats (산양의 발정주기의 생리에 관한 고찰)

  • 박충생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 no.1
    • /
    • pp.59-68
    • /
    • 1986
  • 산양의 발정주기의 생리와 조절에 관한 최근 연구 보고들과 한국 재래산양의 대한 이들 연구 결과를 모아 고찰하였다. 온대지역에서 산양의 번식계절은 분명하나 한국재래산양의 경우는 비번식계절이 비교적 짧거나 계절적 무발정율이 낮은 편이며, 비번식계절에는 기능적 황체가 유지되지 않는다. 한국재래산양의 발정주기와 발정지속기간은 타품종과 비슷하며, 발정지속기간의 반복력은 매우 낮으며, 발정주기중의 progesterone과 estradiol-17$\beta$의 소장을 규명하였다. 한국재래산양의 경우 황체기에 PGF2 1-3mg을 투여하면 항체퇴행을 유기할 수 있으나 주기중의 투여시기에 따라 투여후 발정개시 시간에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pro-gesterone priming후 PGF$\alpha$를 투여함으로써 효과적인 발정동기화를 이룰 수 있었다. 분만후 1개월경과 유상후 12일경에 발정이 재귀되었으며, 첫 발정 후 80%의 산양에서 5-7일의 단발정주기를 나타냈으며, 대부분의 과배란유기 산양에서도 단발정주기를 나타냈는데 이는 황체의 조기퇴행 때문이었다. 초발정후 3-5일에 GnRH를 연속 주사하면 단발정주기의 발생율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 PDF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를 이용한 한우 난소의 황체단백질 특성 분석

  • 우제현;정학재;김봉기;최재혁;박민영;양병철;박수봉;성환후;권무식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3.06a
    • /
    • pp.85-85
    • /
    • 2003
  • 한우 난소의 황체는 다양한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난소의 생식기능유지와 임신유지에 중요한 인자가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들 황체에서 분비하는 단백질은 황체기능에 필수적으로 중요한 작용을 한다. 본 연구는 난소의 황체일령에 따른 단백질 분비 패턴을 조사함으로써 황체세포의 기능과 임신 유지에 관련되는 인자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한우에서 채취한 난소에서 황체를 분리, 황체시기별(전기, 중기, 말기)로 구분하여 cytosol을 분리 정제하였다. 황체시기별로 분리된 황체 단백질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ion-exchange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단백질 패턴을 조사, 추출된 fraction을 단백질 정량후 SDS-PAGE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기에서의 단백질의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단백질 패턴 또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시기별로 구분한 각각의 fraction을 SDS-PAGE로 조사했을 때 중기와 말기황체 cytosol의 fraction 3번과 4번에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SDS-PAGE에서 120kb, 95kb, 34kb, 25kb 등의 단백질 밴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초, 중기황체에서만 특이하게 검출되는 단백질 band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들 단백질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기별로 분리된 황체를 일반적인 IEF단백질 분리법으로 cytosol을 회수한 후 IPG-system을 이용하여 1차원 전기영동을 한 후, SDS-PAGE로 이차원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이차원 전기영동 결과, SDS-PAGE의 결과와 비슷한 위치에 부분적으로 다른 spot의 양상을 보였다. 특히 기능황체에서의 특이적 발현 spot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황체의 progesterone분비기능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단백질들이 전, 중기에 발현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퇴행황체에서는 발현이 안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른 양상을 띤 spot을 분리하여 어떤 단백질인지를 분석하여 각각의 황체단백질의 특성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mparison of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and Dydrogesterone as a Luteal Support in Intrauterine Insemination Cycle (자궁강내인공수정시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과 디드로게스테론의 비교)

  • Jang, Eun-Jeong;Jee, Byung-Chul;Kim, Sang-Don;Lee, Jung-Ryeol;Suh, Chang-Suk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7 no.2
    • /
    • pp.153-158
    • /
    • 2010
  • Objective: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between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and dydrogesterone as a luteal phase support in stimulated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cycle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in 183 IUI cycles during January 2007 to August 2009. Superovulation was achieved by using gonadotropins combined with or without clomiphene citrate. The luteal phase was supported by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300 mg/day (n=136 cycles) or dydrogesterone 20 mg/day (n=47 cycles) from day of insemination.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of female, infertility factors, number of mature follicles ($\geq$16 mm), total motile sperm counts, and endometrial thickness on triggering day between the two groups. The clinical pregnancy rates per cycle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21.3% in the micronized progesterone group vs. 19.1% in the dydrogesterone group, p=0.92). The clinical miscarriage rate tended to be 3-fold higher in the micronized progesterone group (34.5% vs. 11.1%, p=0.36).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oral dydrogesterone as a luteal support has similar clinical outcomes compared with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Large-scaled randomized study would be required to confirm our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