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난소의 황체세포의 체외배양시 TGF-${\beta}$1의 분비

  • 최재혁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김봉기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정학재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박진기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우제현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양병철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장유민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박수봉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성환후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본 연구는 난소의 황체를 체외배양시 TGF-$\beta$1의 황체내 발현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돼지 황체는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사육중인 돼지(체중 145$\pm$kg) 12두로부터 발정을 유도시켜 배란 후 약 48시간째 도축하여 난소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난소로부터 황체를 분리하여 세절한 후 0.25% collagenase용액(0.025mg DNase, 50mM EDTA, 50mM Dithio-threitol)으로 37$^{\circ}C$의 진탕 수조에서 30분간 배양하여 황체세포를 분리 회수하였다. 회수된 황체세포는 D-MEM용액(GIBCO, 10% FCS와 antibiotics 첨가)으로 2회 세척하여 1$\times$$10^{6}$live cell/$m\ell$이 되도록 희석하여 24 well culture plate(Corning, New Tork 14831)에 분주하여 $CO_2$ 배양기($CO_2$: 5%)에서 24시간 간격으로 2회 배양액을 교환해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황체 세포는 immunocytochemistry 방법으로 TGF-$\beta$1의 발현을 관찰함과 동시에 황체조직도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TGF-$\beta$1 의 발현 유ㆍ무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황체세포 그리고 황체 조직 뚜렷한 TGF$\beta$1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서 TGF$\beta$1은 황체기능을 유지하는데 하나의 인자로서 작용하며 다른 인자들과의 상호작용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