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황사배출량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Methods of emission estimation of Asian dust and its numerical simulation in East Asia (동북아시아 황사발생시 배출량 산정방법 연구 및 수치모의)

  • 김유근;송상근;문윤섭;정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77-178
    • /
    • 2003
  • 황사는 중국의 발원지와 가까우면서 풍하측에 위치한 우리나라와 일본을 비롯한 동북아시아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이 지역을 중심으로 황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중국 건조지대의 기온 증가, 강수량 감소로 인한 사막화 현상과 삼림감소 등의 영향으로 황사현상의 발생빈도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 및 산업화로 인해 배출된 다량의 오염물질이 황사와 섞여 함께 수송되므로 그 피해는 훨씬 심각하다. 현재 이러한 황사의 발생원인뿐만 아니라 수송 및 침적과정과 관련된 기상요소 및 종관기상학적 특성을 비교ㆍ분석하는 실질적인 연구방향과 이를 바탕으로 한 황사현상의 장거리수송모델 및 배출량 산정과 관련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Particulate Matter Forecasting Improvement by using Asian Dust Emissions in East Asia (황사배출량을 적용한 동아시아 미세먼지 예보 개선 연구)

  • Choi, Daeryun;Yun, Huiyoung;Chang, Limseok;Lee, Jaebum;Lee, Younghee;Myoung, Jisu;Kim, Taehee;Koo, Youns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 /
    • v.18 no.4
    • /
    • pp.531-546
    • /
    • 2018
  • Air quality forecasting system with Asian dust emissions was developed in East Asia, and $PM_{10}$ forecasting performance of chemical transport model with Asian dust emissions was validated and evaluated. The chemical transport model (CTM) with Asian dust emission was found to supplement $PM_{10}$ concentrations that had been under-estimated in China regions and improved statistics for performance of CTM, although the model were overestimated during some periods in China. In Korea, the prediction model adequately simulated inflow of Asian dust events on February 22~24 and March 16~17, but the model is found to be overestimated during no Asian dust event periods on April. However, the model supplemented $PM_{10}$ concentrations, which was underestimated in most regions in Korea and the statistics for performance of the models were improved. The $PM_{10}$ forecasting performance of air quality forecasting model with Asian dust emissions tends to improve POD (Probability of Detection) compared to basic model without Asian dust emissions, but A (Accuracy) has shown similar or decreased, and FAR (False Alarms) have increased during 2017.Therefore, the developed air quality forecasting model with Asian dust emission was not proposed as a representative $PM_{10}$ forecast model in South Korea.

Seasonal Ionic Composition of Acid Rain at Pusan (부산지역 산성강우의 계절적 이온성분 변화)

  • 전보경;박기형;박정호;최금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89-290
    • /
    • 2000
  • 산성비는 광역적인 오염현상으로 넓은 지역의 생태계 파괴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산성비중 강우성분은 계절적 변화의 폭이 크며, 지역적인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특히, 우리나라는 중국에 인접하여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큰 중국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봄철 황사시 중금속, 황산화물의 농도가 증가한다. 또한, 해당지역의 대기질이나 강수량 등 기상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지역이 다르므로 산성비 조성의 해석이 쉽지는 않다. (최금찬등, 1998) (중략)

  • PDF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Climatological Variables over the Asian Dust Source Regions and its Association with Particle Concentrations in Busan (황사 발원지 기후자료의 시계열 특성과 부산지역 먼지 농도의 연관성 분석)

  • Son, Hye-Young;Kim, Cheol-He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0 no.6
    • /
    • pp.734-743
    • /
    • 2009
  • In order to examine how climatological condition can influence on urban scale particulate air pollutants, single and cross spectrum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to daily mean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s ($PM_{10}$) in Busan together with the climatological variables over the Asian dust source regions. Single power spectrum analysis of $PM_{10}$ concentrations in Busan shows that, aside from the typical and well-known periodicities, 3-4 year of peak periodicity of power spectrum density was identified. In cross spectrum analysis, this 3-4 year periodicity is found to have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wind speed and pressure, and negative with th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hich is rather consistent with both characteristics of air mass during the Asian dust event whose periodicities have been recorded inter-annually over the Korean urban cities. Over the Asian dust source regions, $PM_{10}$ vs. precipitation shows no significant periodicity from the time series of precipitation data, but the periodicity of EDI (Effective Drought Index) shows some interannual variabilities ranging from 2 to 4 years over the various source regions, suggesting that, rather than precipitation itself, the EDI could be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frequency of Asian dust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urban particle concentrations in Korean cities.

대구지역 대기환경용량평가에 관한 연구

  • Choe, Geun-Sik;Kim, Hae-D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90-91
    • /
    • 2010
  • 우리나라는 산업화와 도시화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 자동차 통행량,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 등으로 대기오염물질배출원의 수와 규모가 증대되어 광역도시를 중심으로 대기질이 악화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수도권대기질은 선진국의 주요 도시에 비해 대기오염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됨에 따라 정부는 대기질을 OECD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으나, 지역의 대기상태 및 그 동안의 대기질 개선을 위해 이행된 정책의 효율성 측면에서 볼 때 사후적인 규제위주의 농도규제 방식으로는 급증하는 대기오염배출시설의 배출량총량 관리가 어렵고, 지자체별로 개별적인 분산관리로는 광역적으로 이동되는 대기오염물질의 관리가 불가능하다. 또한 대기오염과 상관성이 큰 에너지정책, 산업정책, 도시계획 등 관련 정책과의 통합적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사전에 이를 예방하는 총량관리가 요구되어 진다. 총량규제란 특정지역의 기상, 지형조건 등을 이용하여 대기환경용량을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지역별 배출허용총량을 할당하여 궁극적으로는 오염원별로 대상오염물질의 삭감량을 정하는 제도로 선진국에서는 대기환경용량을 바탕으로 1970년대부터 사업장을 중심으로 배출농도 규제와 함께 총량규제를 병행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동차에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대기환경보전법 제9조에서 환경기준을 초과하여 사람의 건강이나 재산,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동 지역 또는 특별대책지역 중 사업장이 밀집되어 있는 구역에 대하여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총량으로 규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환경부는 2003년도에 서울, 인천, 경기도내 19개시 지역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총량을 관리하는 대기오염총량제 실시를 포함한 '수도권대기질개선에관한특별법'을 제정하였고, 현재는 사업장에게 연도별 배출허용총량을 할당하고, 할당량 이내로 오염물질을 배출하도록 관리하는 사업장 대기오염물질총량관리 제도로 시행 중에 있다. 그러나 수도권대기질개선특별대책을 수립하면서 총량관리의 본격 이행 및 배출권 거래제도 도입에 대한 특별법안이 제정되고 부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 총량관리를 본격 이행하는데 있어서의 필요한 준비여건은 아직 초기 단계이고, 관련 연구의 수행실적 또한 수도권에 제한되어 적은 편이다. 따라서 현재는 총량관리가 수도권에 국한하여 실시되고 있으나, 점차 타 도시까지 광역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에 필요한 제반 사항들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하여 정책방향을 설정하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농도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에 대한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고농도가 자주 발생되거나 그러할 가능성이 높은 $NO_X$을 대상으로 대기오염기여도를 평가하고 대기확산모델을 통한 대기환경용량을 산정하였다. 대기오염농도 현황을 살펴본 결과, 대구지역의 대기오염은 $NO_2$, $SO_2$, CO는 전형적인 1차오염물질의 변화경향을 보였으며, $PM_{10}$는 봄철에 황사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나 실제 대구지역에서 배출되는 양을 추정하기 힘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NO_2$는 공업, 상업지역에서 $SO_2$$PM_{10}$는 공업지역, CO는 상업지역, $O_3$은 교외지역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구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현황은 CO가 47%, NOX가 43%로 전체 배출량의 90%를 차지하였고, 2005년 이후 $NO_X$는 감소하고 $SO_X$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배출원대분류 중도로 및 비도로이동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선 오염원이 75%로 대구지역에서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SCST3 대기확산모델을 이용하여 대기환경용량을 산정하기위하여, 먼저 대구지역의 대기환경용량평가는 가시적인 위해성이 높고 개선정책이 용이한 $NO_X$을 대상물질로 선정하였고, 배출량과 오염농도간의 상관도가 0.659로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배출량을 삭감하였을 때 대기오염농도의 개선이 명확히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단위격자 당 한계배출율을 알아내는 작업을 실시하여, 대구지역을 동일하게 장기환경기준 80%수준인 22.4ppb를 만족시키기 위한 한계배출율은 2.23g/s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산출한 한계배출율을 이용하여 장기환경기준치 80%수준 달성을 목표로 하는 경우의 대기환경용량을 산정하고 실제 배출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구지역 전체의 환경용량은 약 3만 톤으로 실제 배출량 2만2천 톤에 약 8천 톤 이상의 여유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구역별로 상이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에 따른 구역별 개선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기환경용량을 파악한 후 단위격자 당 한계배출율을 초과하는 대상 지역을 추출하여 삭감한 결과 초과배출량의 80%를 삭감해야 대구지역 전체에서 50ppb이하 농도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실제로 초과배출량의 80%를 삭감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어, 대구지역을 동일한 %율로 삭감한 결과 30% 삭감했을 때 50ppb수준을 달성하였고, 50%삭감했을때 2007년 환경기준인 30ppb수준을 달성하였다. 또한 배출원대분류 중 기여율이 높은 도로와 비도로오염원을 50%삭감한 결과 도로이동오염원의 삭감만으로도 상당한 고 배출지역의 농도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비도로오염원을 포함하여 삭감하였을 때는 대구지역 전체에서 50ppb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총량규제의 실시에 맞추어 대구지역의 실제적인 환경용량의 정확한 파악과 고배출지역에 대한 삭감방법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 시행될 지역총량규제에 대한 기초적인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Estimation of Concentration of Asian Dust (PM10) Using WRF-SMOKE-CMAQ (MADRID) During Springtime in the Korean Peninsula (WRF-SMOKE-CMAQ(MADRID)을 이용한 한반도 봄철 황사(PM10)의 농도 추정)

  • Moon, Yun-Seob;Lim, Yun-Kyu;Lee, Kang-Yeol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2 no.3
    • /
    • pp.276-293
    • /
    • 2011
  • In this study a modeling system consisting of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Sparse Matrix Operator Kernel Emissions (SMOKE), the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 and the CMAQ-Model of Aerosol Dynamics, Reaction, Ionization, and Dissolution (MADRID) model has been applied to estimate enhancements of $PM_{10}$ during Asian dust events in Korea. In particular, 5 experimental formulas were applied to the WRF-SMOKE-CMAQ (MADRID) model to estimate Asian dust emissions from source locations for major Asian dust events in China and Mongolia: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model, the Goddard Global Ozone Chemistry Aerosol Radiation and Transport (GOCART) model, and the Dust Entrainment and Deposition (DEAD) model, as well as formulas by Park and In (2003), and Wang et al. (2000). According to the weather map, backward trajectory and satellite image analyses, Asian dust is generated by a strong downwind associated with the upper trough from a stagnation wave due to development of the upper jet stream, and transport of Asian dust to Korea shows up behind a surface front related to the cut-off low (known as comma type cloud) in satellite images. In the WRF-SMOKE-CMAQ modeling to estimate the PM10 concentration, Wang et al.'s experimental formula was depicted well in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Asian dusts, and the GOCART model was low in mean bias errors and root mean square errors. Also, in the vertical profile analysis of Asian dusts using Wang et al's experimental formula, strong Asian dust with a concentration of more than $800\;{\mu}g/m^3$ for the period of March 31 to April 1, 2007 was transported under the boundary layer (about 1 km high), and weak Asian dust with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400\;{\mu}g/m^3$ for the period of 16-17 March 2009 was transported above the boundary layer (about 1-3 km high). Further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MAQ model and the CMAQ-MADRID model for the period of March 31 to April 1, 2007, in terms of PM10 concentration, was seen to be large in the East Asia area: the CMAQ-MADRID model showed the concentration to be about $25\;{\mu}g/m^3$ higher than the CMAQ model. In addition, the $PM_{10}$ concentration removed by the cloud liquid phase mechanism within the CMAQ-MADRID model was shown in the maximum $15\;{\mu}g/m^3$ in the Eastern Asia area.

A Study on Prediction of Asian Dusts Using the WRF-Chem Model in 2010 in the Korean Peninsula (WRF-Chem 모델을 이용한 2010년 한반도의 황사 예측에 관한 연구)

  • Jung, Ok Jin;Moon, Yun Seob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6 no.1
    • /
    • pp.90-108
    • /
    • 2015
  • The WRF-Chem model was applied to simulate the Asian dust event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from 11 to 13 November 2010. GOCART dust emission schemes, RADM2 chemical mechanism, and MADE/SORGAM aerosol scheme were adopted within the WRF-Chem model to predict dust aerosol concentrations. The results in the model simulation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with the weather maps, satellite images, monitoring data of $PM_{10}$ concentration, and LIDAR images. The model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long-range transport from the dust source area such as Northeastern China and Mongolia to the Korean Peninsula. Comparison of the time series of $PM_{10}$ concentration measured at Backnungdo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736, and the root mean square error was $192.73{\mu}g/m^3$.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M_{10}$ concentration using the WRF-Chem model was similar to that of the $PM_{2.5}$ which were about a half of $PM_{10}$. Also, they were much alike in those of the UM-ADAM model simulated by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eanwhile,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PM_{10}$ concentrations during the Asian dust events had relevance to those of both the wind speed of u component ($ms^{-1}$) and the PBL height (m). We performed a regressive analysis between $PM_{10}$ concentrations and two meteorological variables (u component and PBL) in the strong dust event in autumn (CASE 1, on 11 to 23 March 2010) and the weak dust event in spring (CASE 2, on 19 to 20 March 2011), respectively.

Estimation of Dust Emission Schemes and Input Parameters in Wintertime Asian Dust Simulation: A Case Study of Winter Dust Event on December 29, 2007 (겨울철 황사 모의시 황사배출량 산정식과 입력자료의 평가: 2007년 12월 29일 황사사례 연구)

  • Kang, Jung-Yoon;Kim, Sang-Woo;Yoon, Soon-Ch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28 no.1
    • /
    • pp.1-11
    • /
    • 2012
  •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a severe wintertime dust event that occurred on December 29, 2007 in Korea. Three different dust emission schemes, namely, those of Marticorena and Bergametti (1995), Lu and Shao (1999), and Shao (2004) (hereinafter, referred to MB, LS, and S04 schemes, respectively) were implemented in Weather Research Forecast with Chemistry (WRF/Chem) to assess their performance in simulating wintertime Asian dust events. WRF/Chem simulation reproduces dust emission over Mongolia on December 27 and 28, 2007 and the onset timing of the dust event in Korea well. There is, however, a huge difference among the estimated dust emission amounts for the three schemes; the dust concentration derived by MB scheme is 6 times larger than that from LS scheme. The three schemes overestimate dust concentrations when comparing to observed surface-level $PM_{10}$ mass concentrations in Ganghwa, Seoul, and Yeongwol. This discrepancy is thought to be mainly due to the overestimated model winds and the surface condition such as snow cover fraction, which did not adequately represent the real conditions. Considering frozen soil effect on dust emission, the model results are comparable with observation data: it is important to consider frozen soil in simulating wintertime dust events.

Analysis of Sensitivity to Prediction of Particulate Matters and Related Meteorological Fields Using the WRF-Chem Model during Asian Dust Episode Days (황사 발생 기간 동안 WRF-Chem 모델을 이용한 미세먼지 예측과 관련 기상장에 대한 민감도 분석)

  • Moon, Yun Seob;Koo, Youn Seo;Jung, Ok Ji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5 no.1
    • /
    • pp.1-1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ensitivity of meteorological fields and the variation of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s (PMs) due to aerosol schemes and dust options within the WRF-Chem model to estimate Asian dusts affected on 29 May 2008 in the Korean peninsula. The anthropogenic emissions within the model were adopted by the $0.5^{\circ}{\pm}0.5^{\circ}$ RETRO of the global emissions, and the photolysis option was by Fast-J photolysis. Also, three scenarios such as the RADM2 chemical mechanism and MADE/SORGAM aerosol, the MOSAIC 8 section aerosol, and the GOCART dust erosion were simulated for calculating Asian dust emissions. As a result, the scenario of the RADM2 chemical mechanism & MADE/SORGAM aerosol depicted higher concentration than the others' in both Asian dusts and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of PMs. By comparing of the daily mean of PM10 measured at each air quality monitoring site in Seoul with the scenario resul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67, and the root mean square error was $44{\mu}gm^{-3}$. In addition, the air temperature, the wind speed, the planetary boundary layer height, and the outgoing long-wave radiation were simulated under conditions of no chemical option with these three scenarios within the WRF or WRF-Chem model. Both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PBL height and the wind speed of u component among the meteorological factor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Asia dusts in range of 1,800-3,000 m and $2-16ms^{-1}$, respectively. And, it was shown that both scenarios of the RADM2 chemical mechanism and MADE/SORGAM aerosol and the GOCART dust erosion were interacted on-line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Asian dusts or aerosols within the model because the outgoing long-wave radiation was changed to lower than the others.

Fabrication of High-transparent and Self-cleaning Solar Cell Protection Film (고투과성 및 자정기능을 가지는 태양전지 보호필름의 제작)

  • Lee, Seong-Hwan;Han, Kang-Soo;Shin, Ju-Hyeon;Hwang, Seon-Yong;Lee, H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75.1-75.1
    • /
    • 2011
  • 화석연료의 고갈과 온실가스 배출의 증가로 지속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생산이 요구되는 가운데, 태양광 발전은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에너지 생산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 직사광을 이용한 발전 방법 때문에 실외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이나 오염물질로부터 태양전지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보호층에 의한 입사광의 반사 및 먼지나 황사에 의한 보호층의 오염 등은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ET 필름에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및 핫 엠보싱 공정을 이용하여 moth-eye 반사방지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보호층에서의 입사광 반사를 억제하였다. 또한, 이러한 반사방지 패턴에 초소수성 자기조립단분자막을 코팅하여 표면 에너지를 낮춤으로써 먼지 및 황사에 의해 오염되었을 경우에도 빗물에 의해 오염 물질이 쉽게 씻겨 내릴 수 있는 자정기능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반사방지를 통한 입사광 투과량의 향상 및 초소수성 표면에 의한 자정작용에 의하여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이 증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