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활력도

검색결과 1,114건 처리시간 0.037초

형광염색반응에 의한 장기 저장 사과 화분의 활력 측정 (Convenient Evaluation of Stored Apple Pollen Viability by Fluorochromatic Reaction)

  • 이희재;김수진;김태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3호
    • /
    • pp.337-340
    • /
    • 1999
  • 장기 저장한 사과 화분의 활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본배지와 fluorescein diacetate(FDA)를 첨가한 배지를 slide glass 위에 얇게 도포한 후 기내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FDA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화분 발아가 저하되었다. 따라서 FDA 용액을 이용한 형광염색반응법으로 사과 화분의 활력을 측정할 수 있는지 구명하기 위하여 10%의 sucrose 용액을 slide glass 위에 한방울 떨어뜨린 후 0.002%의 FDA를 첨가한 곳에 화분을 치상한 결과, 형광반응이 일어나는 치상 후 30분 경에 활력이 있는 화분은 자외선하에서 명확히 형광을 나타냈다. 기내발아율과 형광반응률을 측정한 결과, 39개월 장기 저장한 사과의 화분도 활력이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방법으로 조사한 품종별 화분의 활력은 '후지' 와 '천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쓰가루'는 중간 정도, '조나골드'는 낮게 나타났다. 형광염색반응법에 의한 형광반응률은 대체로 기본배지에서의 발아율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3개월간 저장한 '천추'의 화분은 형광반응률이 발아율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형광반응률과 발아율은 높은 정의 상관을 보여 형광염색 반응법에 의해 장기 저장 사과 화분의 활력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었다.

  • PDF

폐석지내(廢石地內) 광(光) 저해(沮害)에 대한 사방오리나무 잎의 항산화(抗酸化) 보호(保護) (Antioxidant Protection of Alnus firma Sieb. et Zucc Leaves against Photoinhibition in Tailings)

  • 한심희;이재천;이위영;박영기;오창영;김종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1호
    • /
    • pp.124-130
    • /
    • 2006
  • 광 저해에 대한 보호 메커니즘을 구명하기 위하여, 폐석지내 선구수종인 사방오리나무를 대상으로 수목의 활력과 잎 발달 단계에 따라 잎 내 엽록소 형광, 엽록소와 카로테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을 분석하였다. 활력이 높은 개체는 오후 12시에 활력이 낮은 개체는 오후 2시에 가장 낮은 광화학효율을 나타냈으며, 두 개체 모두 오후 6시에 광화학효율을 완전히 회복하였다. 성숙 잎은 어린잎보다 전 측정 시간에 걸쳐 광화학 효율이 높았다. 엽록소, 베타카로틴 및 크산토필 함량은 활력이 높은 개체와 성숙한 잎에서 높았으며, 특히 크산토필 함량은 활력이 높은 개체가 활력이 낮은 개체보다 어린잎에서는 8.7배, 성숙 잎에서는 18.8배 높았다. 항산화효소는 SOD만이 활력이 높은 개체에서 잎의 연령 간 활성 차이를 나타냈다.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의 살충제 감수성 변이-에스테라제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력 (Variation in Insecticide Susceptibilities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Esterase and Acetylcholinesterase Activities)

  • 김용균;이준익;강성영;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2-178
    • /
    • 1997
  •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은 야외집단과 실내집단들간에 살충제 감수성에서 큰 변이를 보였다. 조사된 모든 약제에서 야외집단은 비선발 실내집단보다 높은 약제 저항능력을 보였다. 약제 선발된 실내집단은 선발 약제에 대해 저항능력을 높게 발현시켰다. 이러한 약제 저항능력의 변이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와 에스테라제 활력 변이와 비교 분석되었다. 약제 저항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력이 낮아지고 에스테라제활력은 높아졌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Km(Michaelis-Menten constant)값은 약제저항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기질에 대한 이 효소의 친화도가 낮아졌다. 이 효소의 효소활력 변이는 같은 집단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기질에 대한 이 효소의 친화도가 낮아졌다. 이 효소의 효소활력 변이는 같은 집단 내에서 발육단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어 2, 3, 4령충보다는 5령충에서 특히 Km값이 증가하였다. 파밤나방의 에스테라제는 6.5% 비변성조건의 겔에서 21개 밴드를 보였다. 이중 E2, E7, E8, E11, E16, E7 밴드들은 약제저항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발현 빈도수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파밤나방의 살충제 감수성변이에 해독효소활력증가와 작용점변환이 포함됨을 나타낸다.

  • PDF

신활력사업계획 수립 및 추진과정에 대한 평가와 개선 방안 (A Critical Assesment on the Shin-hwal-ryuk Policy as a New Regional Development Policy in Korea)

  • 이종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1-222
    • /
    • 2007
  • 신활력사업은 전국 234개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인구, 재정, 산업 등의 지표를 바탕으로 낙후된 하위 30%에 해당하는 70개 시 군의 혁신역량을 제고하고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취지로 시작된 새로운 낙후지역발전정책이다. 그러나 신활력사업계획의 수립과정은 지역혁신에 기초한 지역발전 논리나 거버넌스 구축 과정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신활력사업은 그 취지 상 지역 스스로 지역의 주도하에 숙의(熟議) 민주주의(deliberative democracy)를 통해 사업을 추진해야만 한다. 그러나 실제 추진 과정에서 진정한 의미의 자율적 지방화의 성격을 띠기보다는, 지역을 믿지 못하고 성과에 집착하는 조급한 중앙정부에 의한 타율적 지방화의 모습이 노정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신활력사업계획 수립 및 추진과정은 능동적으로 지방화를 하기 보다는 수동적으로 지방화를 당하는 측면이 적지 않다고 평가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신활력사업계획의 수립 및 추진과정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 PDF

Aspergillus Ochraceus Group이 함유된 미생물제제(微生物製劑) 시용(施用)에 따른 토양미생물상 변화와 오이의 생장반응(生長反應) 및 수량(收量) (Effects of Microbial Fertilizer Included Aspergillus Ochraceus Group on Density of Soil Microorganism and Growth Responses and Yield of Cucumber)

  • 송범헌;이철원;정봉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05-411
    • /
    • 1999
  • 본 시험은 농가관행 재배방법에 퇴비 및 토양미생물제인 "활력토" 입제를 이용하여 오이의 생장반응, 수량성, 토양미생물의 변이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은성백다다기 오이 품종을 공시하며 충북 청원군 소재 농가 비닐하우스에서 시험한 결과이다. 정식후 20일까지의 초장은 NPK구에 퇴비와 활력토를 추가 시용한 시험구에서 다른 시험구들에서보다 높았다. 건전한 꽃수 역시 생육초기에는 화학비료와 퇴비 및 활력토를 추가 시용 한 시험구에서 유의성있게 많았으나 정식후 25일이후에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활력토와 화학비료에 활력토를 추가 시용한 시험구들의 정식후 60일째의 선충방제가는 각각 39%와 61.6%였다. 오이 정식후 재배 토양의 토양미생물의 밀도는 방선균, 세균, 진균 순이었으며, 시험처리구별로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오이의 상품성이 인정되는 과실수량은 대조구에 비해 시험처리구들에서 약 40%에서 60%까지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화학비료에 활력토와 퇴비를 시용한 시험구들의 수량이 다른 시험구들의 수량에 비교해 높은 수량을 보여 화학비료, 퇴비 및 활력토를 단일시용하는 것보다 혼용해서 이용하는 것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동 수목 활력도 측정 시스템 개발 (Developing the Automatic Measurement System of Tree's Vigor based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 심규원;전문장;김중규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61-71
    • /
    • 2007
  • 본 연구는 현재 인력기반 중심의 측정장비인 사이고미터가 가지고 있는 제약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목의 수세활력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이고미터와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배터리 수명은 약 1,844일 정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센서 네트워크 안정성 검증 결과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최대 거리는 130m로 나타나 산림지역이나 가로수 관리에 적용할 경우 조사 및 관리비용의 절감과 노동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들깨 유전자원의 보존 기간, 방법에 따른 종자 활력 변화

  • 노나영;성필모;조규택;이정로;남성희;윤문섭;메스핀 K. 헤일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1-71
    • /
    • 2022
  • 들깨는 잎은 채소, 종자는 기름과 향신료로 이용하는 특용작물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는 국가등록 3,066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들깨 유전자원의 보존기간과 방법에 따라 종자 활력의 차이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농업유전자원센터 보존 중인 들깨 유전자원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온도는 4도, -18도, 밀폐용기 보관하여 보존한 들깨 종자를 10년 보존 후 발아조사를 수행하였다. 발아환경은 페트리디쉬에 거름종이를 깔아 멸균수로 수분을 공급하고, 종자를 50립씩 2반복 치상 후 20도에서 7일, 14일에 조사하였다. 4도에서 보존한 들깨 577자원은 발아율이 85%이상인 자원이 184자원으로 나타났다. -18도에서 보존한 들깨 725자원은 발아율이 85%이상이 자원이 329자원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으로 식물유전자원은행에서 양호한 발아율의 기준으로 85%를 사용하는데, 4도 보존 들깨 유전자원들은 조사한 자원의 32%가 양호하였고, -18도 보존 자원들은 45%가 발아 기준을 만족하였다. 들깨유전자원을 10년 주기로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18도 보존 종자의 발아율이 4도 보존 종자보다 기준발아율이 13% 우수하였으나 두 처리 모두 85% 기준발아율을 만족하는 자원이 50%이하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들깨유전자원을 4도, -18도에서 장기 보존할 때에 종자 활력 예측 및 활력 모니터링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순수 로즈마리 정유제품의 생산국별 향기성분과 항산화 활력 (Aroma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ure Rosemary Essential Oil Goods Produced in Different Countries)

  • 우진호;목민균;한고운;이상용;박권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696-700
    • /
    • 2010
  • 국내외에서 유통되고 있는 로즈마리 정유 31점을 수집하여 GC통한 유효성분분석과 항산화 활력시험을 실시하였다. 주요 성분은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1.8-cineol, verbenone 및 borneol 등이 동정되었다. 주요성분에 따라 생산국별로 함량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프랑스 원산 정유의 품질이 우수하였고, 국내에서 재배하여 추출한 정유가 ${\alpha}$-pinene과 camphene의 함량이 높았다. ISO가 제시한 9가지 성분의 함량을 충족하는 제품은 총 31점 중 5점(16%)으로 낮았다. 전자공여능(EDA)은 4.8-96.0%로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60%이상의 항산화능 활력을 갖는 정유는 13%였다. 특정 성분 함량에 따른 항산화 활력정도의 차이는 일치하지 않았으며, 스위스 원산의 정유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력을 보였다.

개의 동결 정액 제조시 Straw의 크기와 융해온도가 정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aw Size and Thawing Rate on Post-thaw Quality of Bog Semen)

  • 손정민;김영실;신영지;임영환;윤기영;이두수;신상태;조종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7-83
    • /
    • 2006
  • 본 연구는 개 동결 정액 융해 시 straw 크기 및 융해 속도가 융해 정자의 질(quality)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최적의 융해 조건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상적인 번식능을 가진 비글 수컷 5마리에서 정액을 채취하여 원심 분리하여 정장을 버리고 남은 정자에 동결보호제인 glycerol이 첨가된 tris-glucose-egg yolk extender를 첨가하여 동결하고 액체질소에 보관한 후 융해하였다. 동결 융해 조건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traw는 0.25 ml과 0.5 ml크기를 사용하였고 융해 조건은 $75^{\circ}C$에 10초, $55^{\circ}C$에 12초 및 $37^{\circ}C$에서 120초로 하여 융해 후 정자의 활력도(vigor), 운동성(motility), Hypo-osmotic test(HOS test)를 이용한 생존성(viability) 및 $SperMac^{\circledR}$ 염색을 하여 정자의 membrane integrity를 비교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0.5 ml 크기의 straw를 사용한 경우 $37^{\circ}C$ 융해가 $55^{\circ}C,\;75^{\circ}C$ 융해보다, 0.25 ml 크기의 straw를 사용한 경우에는 $37^{\circ}C,\;55^{\circ}C$ 융해가 $75^{\circ}C$ 융해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력 지수 및 생존성을 보였다(P<0.05). Straw크기에 따라 비교하였을 경우 0.5 ml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력도, 생존성 및 membrane integrity를 보였다(P<0.05). 결론적으로 개 정액이 동결 및 융해 시 0.5ml straw를 이용하여 동결한 후 $37^{\circ}C$에서 120초 동안 융해하는 것이 최적의 조건임이 사료된다.

보리의 수발아정도 및 탈곡방법이 종자활력 관련 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outing Degree and Threshing Methods on Germination and Seedling Vigor in Barley)

  • 이은섭;천종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5-69
    • /
    • 1991
  • 과맥에서 종자활력의 저하요인을 구명하고자 과맥 2계통(피, 과 isogenic line포함) 및 피맥 1품종의 종자의 수발아를 유도하여 손과 기계탈곡(700 rpm ) 한 종자를 이용하였다. 1. 수발아된 종자를 손 탈곡하여 배부분의 손상이 없어서 발아세, 발아율, TTC치은 수발아 정도에 따른 차이가 적었으나, 출아력은 수발아가 클수록 감소되었다. 2. 수발아된 종자는 기계탈곡시 배의 부분적인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손 탈곡에 비해서 종자활력에 관계된 형질들이 고도로 유의적인 감소를 가져왔고 효소활력은 크게 증가되었다. 3 손 탈곡구에서 수발아 정도는 효소활력 ( r =0.9 31**, 0.951**) 및 발아력 ( r=0.46*)과 정상관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