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활동 분류

Search Result 1,54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ype and strategy of storytelling in mobile video contents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 focused on activity-centered video on YouTube (모바일 과학기술 영상 콘텐츠의 유형과 스토리텔링 전략 : 활동형 유튜브 채널을 중심으로)

  • Kim, hye-yung;Yoo, d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77-178
    • /
    • 2019
  • 논문은 국내 모바일 과학기술 영상 콘텐츠의 활성화를 위해 과학기술 관련 유튜브 채널의 글로벌 선도그룹의 유형과 스토리텔링 전략을 분석하였다. 구독자 순위를 기준으로 상위 22개의 채널을 맥락과 활동에 따라 3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이 중 언어사용이 적고 역동적 볼거리를 제공하는 활동 중심의 채널들을 다시 4개의 세부 유형으로 나누었다. 4개 유형을 중점으로 스토리텔링 전략을 분석하여 킬러콘텐츠 제작 시 고려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Spatial Estimation of Satellite-based Landcover Classification in Han River Watershed (인공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한강 유역 토지 피복의 공간 분포 산정)

  • Choi, Minha;Han, Seungjae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70-170
    • /
    • 2011
  • 토지피복은 지표면의 물리적 상태 및 사용 용도에 따른 특성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정보로 농업, 환경, 재해, 수자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식생활동으로 인해 생기는 증산과 토양에서 일어나는 증발을 증발산이라 통칭하며, 이의 정확한 산정은 수리, 수문학적 유역 분석에 중요하다. 정확한 증발산의 산정을 위해서는 기압, 온도 등 기상 인자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토지피복 특성 역시 증발산에 큰 영향을 주므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점차적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추세이므로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정보의 취합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andsat 5 TM(Thematic Mapper) 영상을 기반으로 무감독 분류법을 이용하여 ISODATA Training과 Masking기법을 사용하여 한강 유역의 토지피복도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지역의 영상을 사용하였고, 토지의 분류는 수역, 시가, 나지, 습지, 초지, 산림, 농지의 7가지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대다수를 이루는 수역, 시가, 산림, 농지에 대한 높은 정확도를 갖는 토지피복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군사경계 외부의 지역도 포함된 결과이다. 단, 나지와 습지, 초지 부분의 정확도는 비교적 떨어지나, 우리나라의 토지특성상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 않으므로 신뢰할 만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이 결과와 외부 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향상된 토지피복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토대로 군사지역 등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토지피복 현황을 파악하여 정확한 증발산 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Efficiency Algorithm of Multispectral Image Compression in Wavelet Domain (웨이브릿 영역에서 다분광 화상 데이터의 효율적인 압축 알고리듬)

  • Park, Gyeong Nam;Kim, Yeong Chun;Jang, Jong Guk;Lee, Geon I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38 no.4
    • /
    • pp.38-3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브릿 영역에서의 영역 분류와 대역간 예측 및 선택적 벡터 양자화를 이용한 다분광 화상테이타 압축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각 대역을 웨이브릿 변환 후, 각 대역의 기저밴드의 대역별 특성을 이용하여 영역 분류를 행하였다. 그리고, 다른 대역과 해상도가 동일하고 공간적 분산이 작으며 분광적 상관성이 큰 기준대역 (reference channel)을 결정한 뒤, 이를 영역별 스칼라 및 분류별 가변 벡터 양자화를 행하여 부호화 하였다. 또한 기준대역과의 대역간 상관성이 큰 대역들에 대해서는 영역별 대역간 예측을 행한 후, 활동도가 높은 블록에 대해서만 선택적 벡터 양자화로 부호화를 행하였다. 이때, 활동도가 높은 블록들의 위치정보는 기준대역으로부터 얻어지는 임계치 지도 (threshold map; THMAP)를 이용하였다. 즉, 제안한 방법에서는 각 대역에 대해 웨이브릿 영역에서의 영역 분류 후 영역별 대역간 예측을 행함으로써 다분광 화상데이타에 존재하는 대역간 중복성을 제거하고 선택적 벡터 양자화를 행함으로써 대역내 중복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압축효율을 향상시킨다. 실제 원격 센싱된 인공위성 화상데이타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의 부호화 효율이 기존의 기법에 비하여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The Effects of Children's Forest Math Game Activities on Their Understanding of Number and Space Concept (유아의 숲 체험 수학놀이 활동이 수와 공간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 Kang, Young-Si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1
    • /
    • pp.473-480
    • /
    • 2018
  •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children's forest math game activities on their understanding of number and space concept. To achieve this, an evaluation was carried out to 20 4-year-old children in each group -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 by an evaluation sheet after forest math game activities during a total of 16 sessions 4 times a week for 4 week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forest math game activities had an effect on their understanding of number and space concept.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higher evaluation in the classifying and order finding items than the contro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classifying and order finding in the forest math game were factors to help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understanding abilities. This implies that their forest math game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mathematical problem-understanding abilities. Consequently, active forest math game activities for children are needed to help them understand the concept of number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task objects and solving tasks in order.

Comparison of Level of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and the Healthy Elderly (뇌졸중 노인과 정상 노인의 참여수준 및 삶의 질 비교)

  • Lee, Juyeon;Lee, Chun-Yeop;Yoon, Tae-Hyung;Kim, Tae-Hoo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9 no.1
    • /
    • pp.47-56
    • /
    • 201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evel of activity participation(instrumental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of living)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with and without stroke,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activity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ir scores on measures. Methods : The Korean Activity Card Sort(K-ACS) was conducted among 25 elderly people with stroke and 25 elderly people without stroke living in Busan, and their level of activity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were evaluated using the The Medical Outcome Study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SF-36). Results : Elderly people with and without stroke bot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tained level of activity participa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leisure activities, social activities, and the SF-36 score. The scores of the elderly people with stroke for the retained level of activity participation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Korean Activity Card Sor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F-36 score, whereas leisure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F-36 score. Among the elderly people without strok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ores for the retained level of activity participation, leisure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of living in the Korean Activity Card Sort and the SF-36 scor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SF-36 score. Conclusion : The level of activity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could be considered to correlate with one another, and an intervention to improve the activity participation of elderly people with stroke would help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월간 양계 찾아보기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5 no.12 s.50
    • /
    • pp.122-127
    • /
    • 1973
  • 지난 1년간 본지에 게재된 각종 기사를 분야별로 분류하여 싣는다. 이 찾아보기난을 이용하여 독자여러분의 지식 활동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