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활동중심 수업

검색결과 666건 처리시간 0.026초

스페인어 교양수업에서 액션러닝을 통한 소통 강화 교수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Spanish Teaching Model Applying Action Learning through Strengthening Communication)

  • 강필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21-127
    • /
    • 2021
  • 본 연구는 스페인어 학습자를 위한 액션러닝을 활용한 소통강화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고 스페인어 수업 사례연구를 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2019년 9월1일부터 12월20일까지 교양 스페인어 수강생 91명을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나누어 동일한 조건 하에 진행하였지만 실험반의 경우에는 액션러닝을 활용한 소통강화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하였다. 즉, 교사주도하의 개인적 쓰기활동으로 이루어진 통제반과는 다르게 실험반은 팀별 자유로운 토의와 협력활동을 통해 쓰기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두 반 모두 쓰기 능력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향상되었지만, 액션러닝을 적용한 실험반의 학습자들이 글의 내용, 표현, 유창성 측면에서 더 유의마한 결과를 나타냈고 정의적 영역 검사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왔다. 학습자 중심 융합 활동에 필요한 이러한 수업모형의 개발은 비단 스페인어 의사소통의 향상뿐만 아니라 다른 외국어 수업활동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학문적의의가 있을 것으로 본다.

출력활동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수 방안 연구 - 다시 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n Reading Educational Method by Using Output Task - focused on cases of retelling activity -)

  • 조윤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402-410
    • /
    • 2020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에게 읽기 능력은 수업에서 강의를 듣거나 보고서를 쓰는 등의 활동의 기본이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이유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읽기 능력의 향상은 한국어 습득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읽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 출력가설을 이해하고 다시 말하기 활동을 제안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자 한다. 출력은 보통 말하고 쓰는 능력의 향상을 위해 목표 언어를 발화하는 기회를 많이 주는 것을 강조하는 가설로 인식되곤 한다. 그러나 읽기 능력의 향상에 있어서도 출력활동의 효율성은 검증되고 있고 계속 연구되어 오고 있다. 출력은 학습자들이 스스로 발화하도록 돕고 자신의 발화를 통해 목표언어와의 차이를 인지하게 함으로써 지식을 내재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출력가설의 한 활동으로 다시 말하기 활동을 제안하여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수업 모형을 적용한 실제 수업의 예를 보여줌으로써 실제 수업에서의 적용 가능성 또한 보여주고자 한다.

공과대학 학생의 수업 내 학습활동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Learning Activity in Clas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송명현;김경언;강승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69-73
    • /
    • 2016
  • 대학교육력 강화와 질 제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학습자의 학업성취와 학습과정, 다양한 학습활동이 대학교육의 주요한 성과변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학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 학습성과, 교육여건, 교육환경 뿐 아니라 공학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 중심으로 그들이 어떠한 학습을 하고 있는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과대학 학생들의 전반적인 수업 내 활동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수업 내 학습활동 촉진을 위한 교수-학습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공과대학 학생들은 수업에서 교수들이 요구하는 활동에는 활발히 참여하나 그에 반해 자기주도적인 학습 참여는 덜한 편이었다. 과제수행에 관한 사고력 증진 활동은 자주 수행하였으나, 일상생활에 응용하거나 비판적 사고 활동은 많이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내 수강생들과 활발한 협력이 이루어졌고, 수업에 대한 태도가 성실한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과대 수업내 학습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및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지원이 필요하다.

성인학습자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법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to Improve the Learning Ability of Adult Learners)

  • 장영은;조우홍;변길희;윤경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423-424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방법에 대한 개선점을 모색하여 교수자의 수업역량 향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BL(문제중심수업) 교수법을 기초로 4주차 수업을 설계하고 웹엑스(Webex)를 활용한 교수법을 49명의 학생에게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연령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디지털기기 활용법에 대한 사전 숙지가 필요하며, 둘째, 팀활동을 위한 웹엑스 세션별 수업은 강의실 수업에서 수동적인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이끌었고, 셋째, PBL(문제중심수업) 수업 방식은 비대면 수업에서도 학생주도의 수업을 이끌어 내고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 해결과 실천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수자의 비대면 수업 교수법에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 PDF

초등학교 과학과 실험 및 관찰 수업 사례에서 나타난 수업의 문제점: 도시 지역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Problems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in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

  • 정은영;홍미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287-296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분석을 통하여 초등 과학 수업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에 중점을 두어 7개의 수업 사례를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수업 관찰 결과,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는 실험이나 활동을 한 뒤에 정리하고 토의할 시간이 부족하고 교사의 적절한 안내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실험이나 활동 결과를 학습목표와 관련지어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관찰 관점이나 실험 방법에 대한 안내가 부족하였고, 실험 기구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과 유의할 점, 실험 기구를 사용하는 이유 등에 대한 안내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관찰 관점, 실험 기구의 용도와 사용법 등에 대한 교사의 안내 활동을 강화하고 실험 결과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PDF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생각 비교 (A Comparison Betwee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Gifted Child and Science Teacher about the Good Science Class)

  • 양일호;최현;임성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20
    • /
    • 2014
  • 이 연구는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학생들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 하였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 영재 수업이라는 공통의 경험과 그 현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면담을 통해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문제는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과학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사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해 교사들은 첫째, 교육내용 및 방법의 범주면에서 학생 중심의 주제 선정과 교육과정의 비정형성, 개인차를 인정하는 학습 속도의 조절과 탐구 능력을 촉진하는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 수업기술 및 태도 범주면에서는 허용적인 분위기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 만족도를 높이며, 학생들의 의견을 수용하는 과정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질 것을 권장하였다. 셋째, 영재학생 지도교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할 것을 포함하였다. 영재 학생들은 첫째, 수업 내용면에서 주제 선택의 자유와 심화된 탐구에 도전 의지를 갖고 해결하는 즐거운 수업을 좋은 과학 수업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수업 활동면에서 탐구 방식의 자율적 선택과 과학자처럼 활동하기, 소통과 협력이 가능한 모둠활동, 과정 중심 프로젝트나 산출물에 대한 총합적인 평가를 선호하였다. 셋째, 수업 환경면에서는 물리적 환경이 잘 갖춰진 실험실에서 허용적인 분위기와 학생에 대한 존중을 요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영재학생과 지도교사 사이의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밝혀 영재학생을 위한 과학 영재 수업의 질 관리 및 효과적인 좋은 과학 영재 수업 전략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작곡가 하이든의 삶을 통한 대학생들의 인성교육 (Character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Life of Composer, Joseph Haydn)

  • 오세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407-41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제4차 혁명시대의 교육의 영역에 있어서 중요한 키워드로 작용하고 있는 '인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성교육의 다양한 방법 중 작곡가 하이든의 삶과 그의 음악을 통한 교수방법의 접근과 수업활동으로 음악과 인성의 융합교육을 통해 인성덕목의 인식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연구 가설과 인성 덕목의 하위요소들의 사전, 사후 인식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총 6회에 걸친 하이든의 삶과 음악을 활용한 수업활동을 통한 인성교육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인성교육 덕목 전체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p<0.01)를 가져왔고 인성덕목의 하위 요소인 친절, 관용, 책임, 신뢰, 사랑, 배려, 지도력 그리고 공동체의식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p<0.01)를 가져왔다. 한 작곡가의 삶과 음악을 통한 활동 중심 수업은 효과적인 인성교육의 결과로 연구의 가치가 있었다. 향후 보다 광범위한 연구대상을 통해 다양한 교수활동 적용으로 심화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활동중심의 협력학습을 통한 고등학교 수학수업의 개선사례 연구 (A Learning Model for Improvement in Learning Mathematics through Cooperative Group Activities in High School)

  • 한만영;박달원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03-120
    • /
    • 2004
  • 본 논문은 입시교육에 치중함으로써 흥미나 자신감을 잃고 학습 결손이 누적되어 학습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속출하는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수학에 대한 인식 및 이해실태를 정확히 진단한 후,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동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ㆍ적용하였다. 설문조사와 참여관찰평가, 인터뷰 자료의 분석 결과, 수학수업의 긍정적 변화를 알 수 있었다.

  • PDF

장애인 활동보조인 교육의 IPA 분석 : 평택 H대학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of personal assistants education for the disabled : Focused on management in Pyeongtaek, H university)

  • 정소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4호
    • /
    • pp.71-92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활동보조인 교육 실시 결과를 바탕으로 중점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활동보조인 교육 중요도만족도 측정 문항의 요인구조, 상관성을 검증하고 IPA 메트릭스를 통해 각 요인들이 중점 개선, 개선 요망, 노력 지속, 현상 유지 중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 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경기남부권의 활동보조인 교육에 참여하는 231명이 대상이었다. 연구결과, 활동보조인 교육은 '교육 운영'과 '교육과정'의 2개의 요인으로 탐색되었고, 대부분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PA 분석결과 활동보조인 교육 운영에서는 '교육기간'이, 교육과정에서는 '실기수업'과 '이론수업' 요인이 중점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기간은 활동보조인 교육 운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론수업은 활동보조인 교육과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경기남부권 활동보조인 교육운영 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대상자를 중심으로 중요도-만족도를 조사한 것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제한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활동보조인의 업무수행능력 제고를 위한 활동보조인 교육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교육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예비 화학 교사의 논의와 글쓰기가 강조된 탐구 중심 과학 수업 계획과 수행: 어려움과 극복과정을 중심으로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that Emphasizes Argumentation and Writing: Focus on Ways to Overcome Difficulties)

  • 방애리;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5호
    • /
    • pp.342-35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예비 화학 교사가 논의와 글쓰기가 강조된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과 이를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 화학 교사가 각 주제 수업 개발 후, 10개 주제 전체 수업 개발 후, 각 주제 수업 수행 후, 10개 주제 전체 수업 수행 완료 후에 작성한 반성적 저널, 수업 지도안, 수업 녹음, 학생 작성 활동지 등을 분석하였다. 예비 화학 교사는 논의와 글쓰기를 강조한 탐구 수업 과정에서 자신의 과학 지식이 부족함을 인식하고 이후의 수업 준비에서는 철저한 과학 개념 확립을 위한 노력을 하였다. 학생 수준 파악의 어려움은 현장 경력교사의 조언,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교과서의 서술 내용 분석 등을 통하여 극복하려 노력하였다. 또한 다양하고 방대한 과학 수업 자료를 참고하여 탐구 중심 과학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고, 각 주제의 수업 목표를 명확히 세운 후 구체적인 교수-학습 활동을 선정할 수 있었다. 수업 시간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적극적인 학생 참여를 유도하는데도 어려움을 겪었고 현장 경력 교사의 조언을 토대로 격려와 통솔을 병행함으로써 향상되었다. 또한 수업을 진행하면서 논의와 글쓰기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 제공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논의 참여와 글쓰기 수준 향상을 도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