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활동성지표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메르스가 관광산업의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Mers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ourism Industry)

  • 김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15-524
    • /
    • 2017
  • 본 연구는 전염병이 관광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메르스 발생 전후 호텔업, 여행업, 항공업의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호텔업의 경우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세전 순이익률과 매출액영업이익률이 메르스 발생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두 변수 모두 메르스 발생 이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업의 경우 안정성지표인 부채비율과 차입금의존도가 메르스 발생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수 모두 메르스 발생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성지표 중 재고자산회전율이 메르스 발생이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업의 경우 수익성지표 중 매출액영업이익률이 메르스 발생 이후 약간 높아졌으며 활동성 지표 중 총자산회전율이 메르스 발생이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관광산업의 경영자는 업종의 특성에 맞게 전염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완화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의 수립 등 적극적인 대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쿠폰제 경영컨설팅 기업의 재무성과 (An Analysis on the Firms' Financial Performance of Coupon-System Management Consulting)

  • 전창수;이성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74-377
    • /
    • 2009
  • 기업 경영이 점차 글로벌화 되어가는 환경 하에서 중소기업의 경쟁력강화대책의 일환으로 경영컨설팅 지원사업이 시작된 지 10년이 되었다. 그동안 실증적인 사후자료에 의한 평가는 전무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쿠폰제 경영컨설팅 사업을 통한 사업참여 중소기업의 재무적 상황을 중심으로 사업참여 전 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본 사업의 시행성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5년도 중소기업 쿠폰제 경영컨설팅 지원사업 참여기업 중 지원사업 중 지원예산의 규모가 가장 크고, 업체에 지원금액이 많은 사업 혁신과제컨설팅(II)부문의 컨설팅을 수행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재무비율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사업참여 이전 및 이후의 재무상황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2005년을 기준으로 이전 1년 및 이후 2년간을 비교하였으며, 2005년 중소기업 쿠폰제 경영컨설팅 지원사업 혁신과제컨설팅(II) 70업체 중 사업참여 이전 및 이후 2년간의 자료를 구할 수 있는 34개 업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년도별 표본의 재무비율 산출은 EXCEL 2007을 사용하였으며, 쿠폰제 경영컨설팅 전 후 두표본 집단간의 차이 검증은 SPSS win 15.0K의 Wilcoxon 부호순위검정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경영컨설팅 전 후 전반적으로 가설은 기각되고, 성장성지표의 매출액증가율 및 활동성지표의 경영컨설팅 후 2년 총자산회전율은 기각되지 않으나 역의 영향력(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쿠폰제 경영컨설팅사업의 실질적인 효율성 제고가 필요하다.

  • PDF

활동중심원가계산을 이용한 품질관리활동의 성과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quality management activity using activity based costing)

  • 이홍우;이진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9
    • /
    • 2002
  • 품질관리는 일본의 성공에서도 볼 수 있듯이 경영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나, 품질관리의 성과는 비재무적인 척도로 측정되어 경영자의 경영성과에 반영되지 못했다. 즉, 품질관리활동이 수익성 지표로 전환되지 못하여 실질적인 경영수단으로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에 품질원가 이론은 품질관리의 성과를 재무적 척도로 측정하려는 시도이지만, 적절한 측정수단이 없는 것이 문제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품질관리성과를 재무적 척도로 측정하여 수익성지표와 연결할 수 있도록 활동중심원가계산을 도입하여 품질원가를 측정하여 품질 관리성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의 효용성을 설명하기 위해 중소기업의 사례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 PDF

2005년 쿠폰제 경영컨설팅 기업의 재무성과 (An Analysis on the Firms' Financial Performance of 2005 Coupon-System Management Consulting)

  • 이성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888-2898
    • /
    • 2010
  • 기업 경영이 점차 글로벌화 되어가는 환경 하에서 중소기업의 경쟁력강화대책의 일환으로 경영컨설팅 지원 사업이 시작된 지 10년이 되었다. 그동안 실증적인 사후자료에 의한 평가는 전무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쿠폰제 경영컨설팅 사업을 통한 사업참여 중소기업의 재무적 상황을 중심으로 사업참여 전 후를 비교 분석함으로 써 본 사업의 시행성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검증결과 경영컨설팅 전 후 대부분의 대립가설은 기각되고, 성장성지표의 매출액증가율 및 활동성지표의 경영컨설팅후 2년 총자산회전율은 기각되지 않아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역의 영향력(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쿠폰제 경영컨설팅사업의 실질적인 효율성 제고가 필요하다.

마케팅효과성 측정에 관한 연구

  • 박경윤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권
    • /
    • pp.81-92
    • /
    • 1998
  •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환경은 과거 어느 때보다 더 불확실하다. 생존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강력한 예산통제를 실시하고 있는 기업의 최고경영자는 가장 우선적으로 마케팅활동부문을 고려대상으로 여긴다. 이러한 성향은 기업내에서 마케팅활동의 결과인 마케팅성과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성과의 지표인 마케팅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을 제안하고, 이 방법이 전략적 마케팅계획수립을 위한 다양한 도구중 하나로 사용가능한지를 실증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마케팅효과성의 지표로 사용 가능한 10개의 기준변수를 찾고, 발견된 지표들의 총가치를 계산함으로써 마케팅효과성의 수준을 나타내는 수치를 도출하였다. 식음료, 섬유/의류, 제약, 화학, 전기/전자, 기타 소비재 제조업체로부터 얻은 53개 설문자료를 통해 마케팅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4개의 방정식(마케팅믹스성과, 마케팅비용과 투자성과, 판매성과, 이익성과)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예비적 성격을 띄고 있는 본 연구는 표본기업의 수가 적고, 한정된 업종에 제한과 횡단적 분석 등으로 인해 일반화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향후 효과성지표에 대한 정교한 목록개발과 종단적 연구를 통한 질적, 양적 지표의 성과간 비교와 가중치 변화추이에 따른 효과성측정 등의 추가적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

  • PDF

의료기관 회계정보공시에 의한 병원의 재무비율 특성과 수익성 관계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ratios and profitability correlation of hospitals by disclosure of accounting inform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ratio by disclosure of accounting information -)

  • 심용우;이상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4호
    • /
    • pp.25-39
    • /
    • 2019
  •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회계정보공시 자료 즉,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활용하여 의료기관의 재무비율을 통한 안정성비율, 수익성비율, 성장성비율, 활동성비율을 분석함으로서 병원의 수익성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재무비율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목표는 의료기관의 회계정보공시 자료의 2016년과 2017년도 재무제표를 분석하며 의료기관의 설립형태 및 종별, 규모별의 일반적 특성 및 재무비율의 평균 차이 분석을 실시, 재무지표에 대한 평균값을 통해 의료기관의 재무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재무비율을 통한 안정성비율, 수익성비율, 성장성비율, 활동성비율의 평균 비교 분석 및 재무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개정된 의료회계기준규칙에 의한 의료기관의 회계정보공시 자료를 활용하여 의료기관의 의료수익의료이익률, 총자산의료이익률, 의료수익순이익률, 총자산순이익률에 대해 회귀분석을 하였다. 주요결과를 보면 회계정보공시 자료에는 첫째, 재무상태표 통한 총자산, 총부채, 자본총계의 변화를 통한 병원의 규모 및 부채의 규모는 증가 추세이며 자본총계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또한 경영성과가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손익계산서에서 평균 의료수익의 증가는 미비한 편이며, 평균 당기순이익은 감소하는 편이다. 이에 의료기관은 의료 활동을 통한 이익 창출의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의료기관의 종별에 따라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부채비율, 안정성비율, 수익성 비율의 차이가 컸으며, 설립형태에 따라서 국공립병원, 학교법인병원, 의료법인·재단법인병원의 평균 재무비율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병원경영의 수익성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병원의 의료수익순이익률과 총자산순이익률의 경영 성과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병원도산 예측에 관한 연구 (Predicting hospital bankruptcy in Korea)

  • 이무식;서영준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3호
    • /
    • pp.490-502
    • /
    • 1998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병원도산 예측모형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로 1992년에서 1997년 사이 5년간의 전국 병원 경영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1995년부터 1997년 사이에 도산한 병원중도산전 3년까지의 연속된 자료가 있는 31개 병원을, 비교군 병원은 도산병원과 유사한 병상규모를 가지고 당기순이익이 발생한 31개 우량병원을 선정하여 단계적 판별분석에 의한 실증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산전 각 연도별로 도산병원과 우량병원간에 연구변수의 단순 평균치분석 결과, 자본구조 지표인 자기자본비율과 수익성지표인 총자본의료이익을, 의료수익의료이익을, 총자본경상이익을, 의료수익경상이익율, 총자본순이익을 등은 도산 1, 2, 3년전 모두에서 도산병원과 우량병원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본고정성지표는 도산 1년전에 고정비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유동성지표는 도산 1년전에는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도산 2년전에는 당좌비율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활동성지표로는 도산 1년전에 총자본회전율과 재고자산회전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도산 2년전에는 총자본회전율과 의료미수금회전율이, 도산 3년전에는 의료미수금회전율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생산성지표로는 도산 2년전에 총자본투자효율이, 도산 3년전에는 조정환자1인당 부가가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료실적지표로는 도산 3년전 일평균재원환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도산 1, 2, 3년전 판별함수는 각각 도산 1년전 Z=($0.0166\times$당좌비율)-($0.1356\times$총자본경상이익을)-($1.545\times$총자본회전을), 도산 2년전 Z=($0.0119\times$당좌비율)-($0.1433\times$총자본의료이익율)-($0.0227\times$총자본투자효율), 도산 3년전 Z=($0.3533\times$총자본순이익율)-($0.1336\times$의료미수금회전율)-($0.04301\times$조정환자1인당부가가치)+($0.000119\times$일평균재원환자수)이었다. 셋째, 도출된 도산 1, 2, 3년전 각 판별함수의 예측력은 77.42%, 79.03%, 82.25% 이었다.

  • PDF

TPM, PAC 활동에서 생산성지표와 재무회계 지표의 연계방안 전략 (The Linkage Strategies Between Productivity Metrics and Financial Accounting Metrics in TPM and PAC Activities)

  • 최성운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1-161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 strategic model of linkage between productivity metrics and financial accounting metrics to properly evaluate the financial effect of TPM activitie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This linkage strategy provides a connection tool for clear communication between factory-level and headquarters that the metrics proposed by this paper ultimately improves a quality of support from the management by receiving the factors required for productivity activities in the practical field. This factor includes such as equipment, raw materials and labors. Here, we propose that chain reaction models using break down structure of productivity metrics and financial metrics enhance the knowledge sharing of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which generally tend to create oversimplified communication between management in headquarters and employees in the practical fields. The productivity metrics include OEE(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s) of TPM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OLE (Overall Labor Effectiveness) of PAC(Performance and Analysis and Control) activities, and OYE (Overall Yield Effectiveness) of TMM(Total Material Management) activities. The financial accounting metrics include ROE(Return on Equity), ROA(Return on Asset), and AVR(Added-Value Rate). The suggested chain reaction model selects the financial metrics as initial stage and branch down until final stage of productivity metrics. When demand exceeds supply, an ideal speed rate, the lean OEE strategy can be initially applied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demand and supply, then apply variable costing to estimate correct amount of operating profit. In addition, the paper presents a new type of model for linkage between financial accounting metrics including CAPEX(Capital Expenditure), OPEX(Operating Expenditure), EVA(Economic Added Value), DCL(Degree of Combined Leverage), and TPM productivity activities including AM(Autonomous Maintenance), PM(Preventive Maintenance), MP(Maintenance Prevention) and QM(Quality Maintenance). In order to support the evidence of proposed linkage strategy, a case analysis on 52 projects from national TPM contest from 2011 to 2012 is analyzed. The case presents the classification of CAPEX and OPEX activities from TPM, and proposes the correct implementation of financial effect for TPM projects.

광고비가 마케팅 및 재무적 성과에미치는 영향: 브랜드 애호도, 수익성, 기업가치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dvertising Expense on Brand Loyalty, Profitability, and Firm Value)

  • 이은주;백태영;신현준;전경민;차경천
    • 광고학연구
    • /
    • 제27권4호
    • /
    • pp.71-90
    • /
    • 2016
  • 기업 경영자는 매년 지출하는 광고비가 고객만족을 높이고, 개선된 고객만족이 장기적으로기업에 이득을 가져올 수 있는 투자인지 알고 싶어한다. 경영자가 광고 지출수준을 결정할 때 소비자의 고객만족과 관련된 측면을 중요하게 고려하면서도, 궁극적으로 투자자가 중시하는 수익성과 기업가치에 역점을 두고 평가할 것이다. 본 논문은 1998년 외환위기 이후 17년간한국 대표기업의 범산업적 종단 데이터를 사용하여, 광고비 지출이 브랜드 애호도에, 그리고 재무성과에 미치는 장기적인 효과를 다각도로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국내기업의 광고비 지출비율이 고객만족 결과요인인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브랜드 애호도가 재무성과(수익성, 기업가치)에 미치는 효과를 산업별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기업 184개사의 1998년부터 2014년까지(17년간) 패널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제조업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발견하지 못했으나, 서비스 기업의 광고 활동(광고 수준)은 마케팅 지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애호도는 수익성지표(ROA, ROE)와 기업가치 지표(Tobin's q)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서비스 기업 경영자는 기업의 현재와 미래성과를 고려하여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광고수준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개선된 애호도는 기업수익성을 높이고, 또한 투자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기업가치를 높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학부속 한방병원의 수익성 영향요인 연구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fitability of Oriental Medicine Hospital of University in Korea)

  • 이우천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2호
    • /
    • pp.109-116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부속 한방병원의 재무지표인 유동성, 안정성, 활동성 및 비용 관련 요인이 수익성 지표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밝히고, 이로부터 경영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대학부속 한방병원의 의료수익의료이익률, 총자본의료이익률, 의료수익순이익률과 총자본순이익률은 각각 1.17%, 3.76%, 2.37%, -1.89%로서 우리나라 전체 한방병원의 동일 지표 값인 8.9%, 8.7%, 2.6%, 2.5%와 비교해보면 의료수익의료이익률과 총자본의료이익률, 그리고 총자본순이익률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안정성 지표인 유동비율과 당좌비율, 고정비율은 각각 256.76%와 231.17%, 121.02%로서 전체 한방병원 평균과 비슷하였으며, 성장성 지표인 총자본증가율과 의료수익증가율은 -2.21%와 1.89%이었고 활동성 지표인 총자본회전률은 135.69%로서 전체 한방병원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한편, 의료원가인 인건비, 재료비, 관리비 비율은 각각 53.39%, 16.62%, 28.58%로서 전체 한방병원의 35.3%, 10.7%, 45.1%와는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2011년 우리나라 전체 한방병원의 원가율은 91.1%였으나, 대학부속 한방병원의 원가율은 98.59%로서 7.49%가 높았다. 상관관계 분석에서 대학부속 한방병원의 경우, 의료수익의료이익률은 의료수익증가율과 더불어 증가하고, 의료수익순이익률과 총자본순이익률은 총자본증가율과 더불어 하는 증가하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관리비 비율은 모든 수익성 지표와 부의 상관을 보였는데 이것은 한방병원의 수익성 개선을 위해서는 관리비 절감에 집중해야 함을 의미한다. 다중회귀분석에서 수익성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성장성지표인 총자본증가율과 활동성 지표인 총자본회전률이었으며 비용지표 중에서는 관리비 비율 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병원의 수익성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병원의 총자본을 증가시키고 적극적인 진료활동을 통해서 총자본회전률을 높이며, 관리비를 절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