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자자세

검색결과 643건 처리시간 0.024초

연령별 신체자세에 따른 혈압의 차이분석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according to Body Position by Age Groups)

  • 송미령;이영신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3권3호
    • /
    • pp.238-244
    • /
    • 2011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연령군별 측정자세 변화에 따른 혈압의 변화 정도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 연구는 탐색적 조사연구로서 연구대상자는 20세에서 59세까지 성인 136명을 대상으로 만성질병이 없고 연구 목적과 연구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령군을 나누어 앙와위, 좌위, 직립위에서 혈압의 차이를 paired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연령군에 따라 운동여부와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연령과 측정자세에 따른 혈압 변화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repeated measure ANC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초기 성인군(20대와 30대)에서는 자세의 변화에 따른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의 변화가 없었으나40대와 50대에서는 수축기 혈압에서 앙와위에 비해 좌위(p=.007, p<.001)와 직립위(p<.001, p=.001)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수축기(p=.004)와 이완기(p=.019) 모두에서 연령과 측정자세에 따른 혈압 변화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어 연령군에 따라 자세로 인한 혈압의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40세 이후에는 혈압측정시에 자세를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며 중년기 이후 자세의 변화에 따른 혈역동의 변화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성이 있다.

복 회음부 절제술 환자를 위한 고정용구 제작 및 유용성 평가 (The evaluation for usefulness of the custom made immobilization device for the anteroperitoneal resectio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 양오남;이우석;홍택균;조영필;윤화룡;김정만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65
    • /
    • 2003
  • I. 서론 및 실험목적 방사선 치료에 있어 환자의 고정(immobilization)은 치료의 성적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방사선 치료방법이 수없이 변화하고 발전을 거듭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과제로 남아있는 것이 환자를 고정하는 것과 재현성의 유지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본원에서는 직장암 환자 중 복회음부 절제술 환자에 있어 setup의 재현성을 유지하여 보다 정확한 치료를 위해 본 고정용구를 제작하였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II. 대상 및 실험방법 본원에서 치료를 받고있는 직장암환자 중 복회음부 절제술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환자의 병변 부위의 해부학적인 정보를 기본으로 고정용구를 제작하였다. 자체 제작한 고정용구를 환자에게 적용하여 Setup의 재현성과, 변화 및 오차를 비교분석 하였다. III. 결 과 복회음부 절제술 환자 중 고정용구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는 set-up 후 일정시간에 $5mm{\sim}1cm$ 내외의 Set-up의 변화 및 오차가 발생하였고, 고정용구를 사용한 환자의 경우는 set-up 의 변화 및 오차를 수mm이내로 줄임으로써 재현성의 유지가 가능하며 복회음부 절제술 환자의 불안전한 자세로 인한 환부부위 통증을 감소시킴으로써 인위적으로 치료 자세를 유지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재현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킨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다. IV. 결론 및 고찰 본원에서 치료를 받고있는 직장암환자 중 복회음부 절제술 환자에게 고정용구를 사용함으로써, 고정용구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환자의 set-up 변화로 인한 resetup의 번거러움을 줄일 수 있었고 환자에게 인위적으로 치료 자세를 유지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는 set-up의 재현성을 유지해 보다 정확한 치료를 가능하게 했고 앞으로 이 고정용구를 보완, 개선시켜서 환자의 치료에 활용한다면 더욱더 질적으로 향상된 치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인체 압력중심 계측과 분석을 위한 평형판 시스템의 개발 (Balance plate system to monitor and analysis the center of pressure(COP) of the body)

  • 차은종;송춘희;이태수;이경무;김남균;김연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3-67
    • /
    • 1995
  • 신체 자세균형의 안정도를 반영하는 압력중심(COP)을 계측하기 위해 정삼각형 모양의 평형판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였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재질로는 강도와 가공성이 뛰어난 듀랄루민을 사용하였고 압력중심(COP)의 위치를 계측하는 힘센 서로는 공업용 로드셀 3개를 사용하였다. COP신호를 검출하는 전자회로를 제작하여 실험한 결과 평형판의 COP 위치측정 오차는 2% 미만이었다. 시스템의 임상응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상인 10명과 이학적 평가가 정상인 환자 4명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다. 자세안정도를 반영할 척도로써 COP신호의 표준편차($SD_x,\;SD_y,\;SD_r$)를 설정하여 자세가 불안정해짐에 따라, 그리고 시각의 영향이 배제됨에 따라 이 값들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환자의 경우에는 정상인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즉, 본 평형판시스템이 자세안정도를 정량적이고 예민하게 계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임상적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건강한 성인에서 자세변화와 검사방법의 이해도가 폐기능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 (A comparative study to evaluate the effect crook sitting position and understanding of test in pulmonary function test on healthy individuals)

  • 연정민;이옥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263-269
    • /
    • 2017
  • 폐기능검사는 호흡기 질환을 진단하는 검사방법으로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환자의 이해와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폐활량검사에서 환자의 이해도와 자세의 중요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2016년 110명의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1) 검사자의 설명만으로, 2) 동영상 상영과 검사자의 시연 후, 3) 자세에 제한을 주기 위하여 다리를 꼰 후 어깨를 구부린 상태로 측정하였다. 폐활량 검사기기를 이용하여 FVC, $FEV_1$, $FEV_1/FVC$, $FEF_{25-75%}$, PEF를 측정하였다. 대상자가 검사방법을 이해하기 전과 후의 FVC, $FEV_1$, $FEV_1/FVC$, $FEF_{25-75%}$, PEF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잘못된 자세에서 검사 시 FVC, $FEV_1$, PEF의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재현성은 대상자의 이해도와 자세이상에서, 적합성은 자세이상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폐기능 검사의 정확한 결과를 도출해 내기 위해서는 검사 시 환자의 정확한 이해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여야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정적자세 유지시 압력중심신호를 이용한 자세안정도 지표화 (Postural Stability Measures Estimated from the Center of Pressure Signal During Static Posture Maintenance)

  • 차은종;김경아;이태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59-566
    • /
    • 1999
  • 환자의 기능평가를 위하여 중요한 자세균형의 유지는 압력중심(COP) 의 동요 신호를 직접 연속적으로 계측함으로써 가능하다. COP 신호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자세안정도지표를 산출할 수 있으나 임상적으로 유용한 최소한의 지표종류로는 규명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가 서있는 상태의 정적자세를 유지할 때 압력중심 신호로부터 자세안정도지표를 산출하여 분석함으로써 임상적 유용성이 가장 큰 지표의 종류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양발을 편안히 벌리거나 (FS), 모두 모으거나(FT), 한쪽발 만으로(RL, LL)서있는 자세에 대해서 양쪽 눈을 뜨거나(EO) 감은(EC)8가지 정적자세를 취하며 30초간 자세균형을 유지시켰다. 자세형태에 따른 안정도의 척도로서 신체가 지면을 차지하는 면적(S)을 사용하였다. 자세안정도지표로서 1)position deviation, 2) position turn 3) velocity의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 18가지 지표를 설정하였다. 피검자는 20, 30, 40 ,50 대 정상인을 연령대 별로 각각 남·녀 5명씩 고르게 총 40명을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자세안정도지표 모두가 S와 비교적 높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바 인을 연령대 별로 각각 남·녀 5명씩 고르게 총 40명을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자세안정도지표 모두가 S와 비교적 높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바 (상관계수=0.6∼0.8, P<0.0001), S가 자세형태를 정량화 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모든 지표들에 있어서 시각의 영향이 뚜렷하였으며 특히 자세가 불안해질수록 상대적으로 시각의 영향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시각의 영향의 지표들간의 차이는 없었다. 반면 노화(연령증가)에 따른 안정도지표의 변화는 미미하였으며 위의 3가지 안정도지표분류 중 position deviation 지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정적자세유지시 안정도지표로는 position deviation 지표들이 가장 예민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position deviation 지표들과 연령과의 상관계수는 0.5이하로서 매우 느슨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연령증가에 따른 자제불안정도의 증가도 매우 작아서 그 임상적 응용가능성은 의문시되었다. 또한 위에서 제시한 3가지의 분류의 지표중 position turn 과 velocity 지표의 의미에 관해서는 향후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상부등 가동성이 만성 목 통증 환자들의 목 기능장애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Upper Thoracic Mobility on the Forward Head Posture,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Disability by Forward Head Posture)

  • 이은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57-26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부등 가동기법과 상부목 가동 기법중 전방머리자세를 동반한 목 기능장애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32명의 대상자를 상부목 가동군과 상부목 가동군 두 그룹으로 설정 연구를 총 4주간 주 3회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전방머리자세에서 두군 모두 유의한 효과를 보였고(p<.01), 상부등 가동군이 상부목 가동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5, 95% CI: .157-.341). 목 기능장애의 변화에서도 두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1), 상부등 가동군이 상부목 가동군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1, 95% CI: 1.273-8.728). 삶의 질 변화에서도 두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5), 상부등 가동군이 상부목 가동군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1, 95% CI: 4.234-18.391). 본 연구결과 전방머리자세를 동반한 목 기능장애 환자에게 상부목 가동군보다 상부등 가동군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전방머리자세를 동반한 목장애지수를 경험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더욱더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전방머리자세로 인한 2차적인 근골격계 질환 또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 균형능력에 기계적 승마치료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chanical Horseback Riding Training on Trunk Control and Balanc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송명수;강태우;김수미;노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487-494
    • /
    • 2013
  • 본 연구는 기계적 승마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15명의 뇌졸중 환자가 참여하였다. 연구 대상은 뇌줄중 환자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7명, 8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보존적 물리치료를 받았으며, 실험군에게 추가적으로 기계적 승마치료를 30분동안 시행하였다. 연구는 2013년 3월 4일부터 5월 3일 까지 약 8주간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평가 도구는 체간조절 검사, 뇌졸중 자세조절 검사, 버그 균형 척도, 일어나서 걷기 검사였다. 측정은 중재 전, 후로 실시하였다. 중재 후 군내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체간조절 검사, 뇌졸중 자세조절 검사, 버그 균형 척도, 일어나서 걷기 검사의 중재 전, 후 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실험군은 중재 전, 후 차이값이 체간조절 검사, 뇌졸중 자세조절 검사, 버그 균형 척도, 일어나서 걷기 검사에서 각각 $27.85{\pm}19.03$, $6{\pm}4.04$, $19.28{\pm}4.27$, $16.68{\pm}4.61$ 향상되었고, 대조군에서는 각각 $17.87{\pm}18.3$, $2{\pm}2.07$, $7.62{\pm}6.75$, $3.21{\pm}1.75$ 향상되었다. 두 군간의 중재 후의 평가 비교에서 중재 후 체간조절 감사, 뇌졸중 자세조절 검사, 버그 균형 척도, 일어나서 걷기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는 기계적 승마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 능력, 균형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여 앞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Mobile Chest AP 검사 시 환자자세와 입사각도에 따른 Levin-tube tip의 영상왜곡 분석 (The Image Distortion Analysis of Levin-tube tip by Patient position and Incidence Angle when taking Mobile Chest AP Projection)

  • 이진수;박형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467-47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L-tube insertion 환자의 흉부 AP 검사 시 tube tip이 환자의 자세나 방사선 조사각에 의해 왜곡되는 정도를 파악하고 정확한 임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검사 시 정확한 tube 각도를 유지하여 영상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실험 장비로 SHIMADZU사의 ELMO-T6S를 사용하였으며, Chest phantom의 표면에 1 mm 간격의 눈금격자를 부착한 L-tube를 부착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영상의 영상 획득 조건은 90 kVp, 4 mAs, SSD 120 cm로 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Phantom position은 table에서 supine, $30^{\circ}$, $45^{\circ}$, $60^{\circ}$로 변화시키고 각 position마다 Head 방향과 Feet 방향으로 수직, ${\pm}5^{\circ}$, ${\pm}10^{\circ}$, ${\pm}15^{\circ}$ 촬영을 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본 실험 결과로 L-tube tip의 위치는 환자의 자세와 방사선 입사각에 따라 달라지며 환자의 position이 30, 45, $60^{\circ}$일 때 보다 supine 일 때 tip의 위치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흉부 방사선 검사를 통해 L-tube tip의 정확한 위치를 보고자 할 때 잘못 된 입사각에 의한 영상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환자의 자세나 입사각을 조정해야 하며, 해당 시술을 확인하는데 정확한 평가 지표로 이용될 수 있도록 임상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방사선사들의 세심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악 우측 대구치 구개면의 직접 시진 시 환자 머리 각도에 따른 술자의 목 주변 근육활성도 변화의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Changes in the Muscle Activity around the Neck of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Patient's Head Angle at the Direct Visual Inspection of the Maxillary Right-side Molar Palatal Surface)

  • 이숙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09-216
    • /
    • 2018
  • 본 연구는 환자 구강내의 상악 우측 대구치 구개면 직접시진 시 환자 머리 각도의 변화에 따른 술자(치과위생사)의 목 주변 근육 활성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술자는 해당부위의 위치와 손고정, 기구 사용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인지를 하고 있는 예비 치과위생사인 치위생학과 4학년 학생들로 표면 근전도, 목 각도계를 이용하여 목 주변 근육 활성도 변화의 자료를 수집하여 SPSS statistics 20을 이용해 Shapiro-wilk 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의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환자 머리의 각도를 주었을 때 각도를 주지 않은 자세 보다 술자의 위등세모근, 목세움근, 어깨올림근 근활성도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술자의 머리 각도는 환자 머리 각도를 준 자세가 머리 각도를 주지 않은 자세 보다 머리 굽힘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치아 처치 시 환자 머리 각도의 변화를 주는 것은 술자의 목 주변 근육의 과도한 근활성도를 줄이고 근육 피로도를 낮출 것으로 예상됨으로 치아 처치 시 환자의 머리 각도 변화의 시행을 추천한다. 이는 잘못된 자세의 반복행위로 인한 근육의 통증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감마나이프 방사선 시술에서 측면에 위치한 병소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 임용석;이정일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3년도 제27회 추계학술대회
    • /
    • pp.39-39
    • /
    • 2003
  • 목 적 : 병소가 바깥쪽 측면(far-lateral targets)에 위치한 경우 감마나이프 방사선 시술이 어렵다. 저자들은 새로운 식을 도입하여 치료 좌표계를 변환시키고 환자를 측면으로 눕혀 시술이 가능함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 통상적으로 병소 위치가 X축 좌표 51.5mm-148.5mm 범위 내에 있는 경우, 감마나이프는 반듯이 누운 자세에서 시술을 한다. 그러나 병소가 바깥쪽 측면에 위치한 경우(51.5mm-148.5mm 범위를 벗어난 경우) 환자는 측면으로 굽혀진 상태에서만 시술이 가능하며 이때 환자 머리에 고정한 정위기구의 전면부분은 일직선 타입이어야 한다. 환자의 치료 자세가 90도 만큼 회전된 상태이므로 X축과 Y축이 서로 치환된다. 새로운 좌표계는 감마플랜에서 계산된 방사선 조사량의 각각 좌표계들이 새로운 식에 대입하여 얻어진다. 새로운 X축 좌표는 43mm 만큼 증가하였으며 범위는 30mm-170mm 이였다. 결과 : 환자를 측면으로 눕혀서 바깥쪽 측면 병소를 시술하는 방법은 방사선 조사 중심 위치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새로운 X축과 Y축 좌표계는 새로운 식으로 쉽게 치환 변환된다. 결론 : 측면으로 누워서 시술하는 방법은 X축 좌표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감마나이프 장비에서 X축의 이축 편위 (trunnion excursion) 한계 때문에 시술을 할 수 없는 경우의 수를 줄일 수 있었다. 이 방법은 바깥쪽 측면에 위치한 병소 시술에 매우 요긴하게 사용되며 특히 여러 개의 병변을 갖고 있는 전이성 뇌종양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