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자안전 문화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7초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Nurses')

  • 박종덕;정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07-315
    • /
    • 2020
  • 본 연구는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중소병원 내 환자안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 강화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100-300명 미만 중소병원 5곳에 근무하는 총 191명의 간호사이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태도 및 자기효능감은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회귀분석결과,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태도(β=.39, p<.001), 자기효능감(β=.25, p<.001), 및 환자안전문화인식(β=.17, p=.006)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41.8%였다. 따라서,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증진을 위해 환자안전태도, 자기효능감 및 환자안전문화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과 환자안전문화 (Ethical Climat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between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

  • 이진숙;이소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237-242
    • /
    • 2021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윤리적 풍토, 환자안전문화를 확인하고, 환자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D시의 요양병원 간호사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은 3.45± .41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는 윤리적 풍토의 동료(r=.123, p<.001), 관리자(r=.241, p<.001), 병원(r=.241,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동료(β=.23, p=.003), 관리자(β=.55, p=.004), 병원(β=.43, p=.031)이었고, 설명력은 33.5%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융복합의 장기요양시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안전통제감이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afety Culture Perception, Safety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s Perceived for Nurses in Nursing Home)

  • 서영숙;도은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303-311
    • /
    • 2015
  • 본 연구는 융복합의 장기요양시설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의 안전문화인식과 안전통제감을 파악하고, 이들 변인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장기요양시설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46명을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안전통제감 등을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환자안전문화인식(${\beta}=.40$, p<.001), 안전통제감(${\beta}=.27$, p=.002), 최근 안전교육 경험(${\beta}=.19$, p=.015)과 연령(${\beta}=.19$, p=.027)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은 대상자의 안전관리활동에 34.5% 설명하였다(F=5.51, p<.001). 장기요양시설 간호사의 안전관리활동은 환자안전문화인식 및 안전통제감과 관련성이 높았으며, 이들 변인을 고려한 안전관리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Nursing Activity)

  • 조순덕;허성은;문덕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25-136
    • /
    • 2016
  •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융합적 관련성을 파악하여 병원에서의 환자안전사고 예방 및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위한 간호중재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B광역시 모병원에 근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5년 2월 16일부터 2월28일까지 설문조사한 자료 266부를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3.60점이었고, 환자안전간호활동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4.28점이었으며, 환자안전문화 인식의 하부영역인 사고보고빈도와 환자안전도 수준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병원조직 내 원활한 의사소통과 긍정적인 보고체계구축을 통하여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환자안전 교육과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병원 내 모든 직종을 포함한 간호사들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면 양질의 환자안전관리수행능력으로 질 높은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영향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Patient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 배한주;김지은;배영희;김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18-127
    • /
    • 2019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조직 의사소통이 환자안전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환자안전 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보건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K시에 위치한 200병상 이상의 중소병원 3곳에서 6개월 이상의 재직기간을 가진 간호사 210명을 편의추출 하였고, 2019년 2월 8일부터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02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3.60{\pm}.49$,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3.39{\pm}.41$, 조직 의사소통은 $3.29{\pm}.45$, 환자안전 간호활동은 $4.08{\pm}.50$이였고 환자안전 간호활동은 환자안전 중요성 인식(r=.597, p<.001), 환자안전문화 인식(r=.626, p<.001) 및 조직 의사소통(r=.559, p<.001)간에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 간호활동에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beta}=.258$, p<.001), 환자안전 문화인식(${\beta}=.323$, p=<.001), 조직 의사소통(${\beta}=.160$, p=.044)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53.067, p<.001), 이들 간의 설명력은 43.7%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병원 규모별 구체적 특성을 고려한 간호사들의 안전관리 자신감 증진, 비처벌적 환경 조성과 조직의 적극적인 의사소통 형성을 위한 환자안전 간호활동 증진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와 환자안전문화 활동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and patient safety cultural activities)

  • 박보영;강채린;변유경;성은서;이수영;이지은;함유진;윤미숙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5-127
    • /
    • 2023
  • 목적: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와 환자안전문화 활동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만족도와 환자안전문화 활동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치과위생사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 18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직무만족도는 총 2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환자안전문화 활동 문항은 총 25개로 안전문화활동 10개, 안전시설관리 1개, 진료전달체계 5개, 질관리 2개, 감염관리 4개, 방사선 안전관리 3개로 구성하였다. 설문은 5점 척도로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의 직무만족도 평균점수는 3.44점이었으며 점수가 가장 낮은 문항은 '내 능력에 비해 업무량은 많은 편이다(2.78점)'와 '나는 업무수행 시 업무 외의 일이 없는 것에 만족한다(2.78점)'이었다. 환자안전문화 활동 6개 영역 중 감염관리의 평균점수가 4.12점으로 가장 높고 방사선 안전관리의 평균점수는 3.10점으로 가장 낮았다. 임상경력이 3년 미만인 경우(4.01점)에 3년 이상 10년 미만 그룹(3.72점)과 10년 이상인 그룹(3.69점)에 비해 환자안전문화활동 점수가 높았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임상경력이 적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환자안전문화 활동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 치과위생사의 경우는 업무 전반에서 환자안전문화 활동이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환자안전문화 활동 영역에 대한 적극적인 실천 의지와 필요하지만 환자진료에서 병원관리까지 다양한 업무를 맡고 있는 치과위생사는 업무과중으로 인해 직무만족도가 떨어지고 업무수행의지를 저하시켜 환자안전문화 활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환자안전문화 활동 수행도 향상을 위해서는 환자안전문화 활동의 핵심 직종인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직무환경 개선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통제감이 안전이행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ce Effects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ontrol on Safety Performance in General Hospital)

  • 김윤이;이명인;진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201-211
    • /
    • 2016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통제감 및 안전이행 정도를 확인하고 안전이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종합병원간호사 342명에게 자가기입식 웹 설문조사방법으로 2014년 5월 9일부터 13일까지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안전통제감, 안전이행 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환자안전문화 인식 3.34점, 안전통제감 3.50점, 안전이행 정도는 3.53점으로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안전이행은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안전통제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463~.645, p<.001), 안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 결혼상태, 환자안전문화 인식 중 사건보고의 빈도와 전반적인 환자안전도에 대한 인식, 그리고 안전통제감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들의 안전이행에 대한 설명력은 52.0%로 나타났다(F=4.252, p=.004). 이에 병원에서 간호사가 안전이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여 추후 안전이행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비판적 사고성향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Nurses amo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 천고운;김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345-354
    • /
    • 2018
  • 본 논문은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비판적 사고성향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을 파악하고,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B시 3개 종합병원에서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2017년 8월 20일부터 9월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은 $3.32{\pm}0.32$점, 비판적 사고성향은 $3.50{\pm}0.31$점, 환자안전간호활동은 $4.28{\pm}0.46$점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문화인식은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근무경력(F=4.7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연령(F=3.89, p=.010), 직위(F=6.40,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직위(F=3.19, p=.04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간호사의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영향요인은 병원의 환자안전문화(${\beta}=.25$, p=.014), 상관/관리자의 태도(${\beta}=.20$, p=.046), 직위 ${\beta}=.14$, p=.040)였고, 설명력은 44.4%이었다. 간호 간병통합서비스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병원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 조성과 상관/관리자의 지지가 요구된다.

일 지역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환자 안전문화 인식에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Understanding on Patient Safety Culture in General Hospital Employees)

  • 정상진;류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81-289
    • /
    • 2017
  • 본 연구는 일 지역 종합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환자 안전문화의 인식 정도와 환자 안전문화 인식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이다. 자료조사는 G 광역시 소재 5개 종합병원으로 의료기관 인증 평가를 받고 인증된 종합병원 종사자 343명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12일부터 2017년 4월 2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t-검정과 분산분석, 사후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환자 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3.27{\pm}.27$7점 이었으며, 환자 안전문화 하위 영역별 인식 점수로는 사고횟수 인식이 가장 높았고 직속상관 및 관리자 안전 인식이 가장 낮았다. 환자 안전문화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병원 근무경력, 현부서 근무경력, 직업(전문)경력, 근무부서, 환자접촉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병원근무 경력, 직업경력, 현부서 근무 경력이 짧을수록 인식이 높았고, 직접접촉자에 비해 간접접촉 종사자의 환자 안전문화 인식이 높았다. 환자 안전문화 인식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병원경력에서 11년 이상, 6-10년이었고, 근무부서에서는 병동 종사자이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종합병원에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종사자의 환자 안전문화 인식이 중요하다.

요양병원 의료기관인증제 시행 후 환자안전, 의료의 질, 조직문화 및 병원경영성과의 변화 (Change in patient safety, quality of medical care, organization culture and hospital management performance after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for convalescent hospital)

  • 서영호;김건엽;김명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91-401
    • /
    • 2018
  • 이 연구는 요양병원 의료기관인증제 시행 후 요양병원의 환자안전, 의료의 질, 조직문화 및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을 파악함에 목적이 있다. 2015년 9월 말까지 요양병원 의료기관인증을 획득한 대구지역의 36개 요양병원 중 10개 기관을 임의로 선정하였으며 2016년 2월 15일부터 2016년 3월 25일까지 요양병원 종사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253명을 최종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으로는 일반적 특성, 인증이후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 조직문화, 경영성과의 변화가 포함되어 있다. 연구결과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의 변화정도에서는 진료지원체계가 3.9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조직문화의 변화정도에서는 인적자원문화가 3.78점으로 가장 높았고, 요양병원의 경영성과 부분에서는 내부프로세스 관점, 학습 및 성장관점이 3.7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병원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직종이 행정직보다 간호직, 직급이 국장보다 사원이거나 과장, 환자안전과 질 향상에서 기본가치체계가 개선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 조직문화에서 인적자원문화, 개방체계문화, 위계서열문화, 생산중심문화가 개선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 병원경영성과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영향 요인이라 응답하였다. 요양병원 의료기관인증제 시행 후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에는 높은 변화를 보여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조직문화의 4가지 유형 중 위계서열문화와 생산중심문화는 보통수준의 변화를 보였으며 병원경영성과 중 재무관점은 다른 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변화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