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자공간

검색결과 598건 처리시간 0.026초

세균성 이질의 탐색적 공간분석 (An Explorator Spatial Analysis of Shigellosis)

  • 박기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73-491
    • /
    • 1999
  • 세균성 이질은 국내 제1종 법정 전염병으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는 질환으로서 1998년 이후 그 발병 사례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99년 3월 부산시 사상구에서 집단 발병한 세균성 이질을 대상으로 하여, 각 환자들의 발병 시점과 장소의 분포패턴에 대한 지리학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환자분포의 특징적 공간패턴과 그들의 시계열적 확산 양상 등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론은 보건지리학과 지도학 및 공간통계학에 기반을 둔 공간분석기법을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자료는 해당 지역의 수치지형도, 지적도, 인구 센서스 자료를 포함한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었다. 인구분포를 감안한 밀도구분도를 바탕으로 개별환자의 위치자료와 동 단위로 집계된 자료를 자료의 형태에 따라 분석기법을 달리하였으며, 환자 발생 밀도, 상대적 위험지수 등을 지도화하여 역학자료의 시각적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환자분포의 공간적 중심위치와 분산의 변화 등 기술적 통계분석과 함께 제1차 공간속성을 커널추정법으로 찾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공간적 의존성’과 관련된 제2차 공간속성은 K-함수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여 군집성 등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역학조사시 GIS의 활용사례가 제시되었으며, 모집단 인구를 고려한 확률지도 작성 기법과 다양한 데이터 가시화 방법, 그리고 시계열별 발생 환자들의 지리적 변이를 분석 하는데 따르는 문제들이 논의되었다.

  • PDF

환자의 의식 몇 체재양태에서 보여지는 환자공간 (A Study on the Patient's Space from the Consciousness and Stay Features of Patients)

  • 고상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3권5호
    • /
    • pp.87-96
    • /
    • 1997
  • This considers to the patient's space in hospital from the Consciousness and Stay Features of Patients. It is not appropriate for a public space to explain many space and places in hospital for the patient, and that is the patient' space. In a thesis conside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behavior and an attribute of the patient's space.

  • PDF

근거중심 재활 공간 디자인을 위한 공간 환경 만족도 연구 -환자 중심 재활의료서비스를 위한 융복합적 접근 (A Study on the Spacial Environment Satisfaction for Evidence Based Design of Rehabilitative Health-Care Facilities -convergent approach for patient-centered rehabilitative healthcare service)

  • 이나경;서다솜;송경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327-337
    • /
    • 2017
  • 본 연구는 재활의료 기관의 공간 환경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환자들의 만족도가 미흡한 영역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궁극적으로 환자 중심의 재활의료 공간 환경 실현에 기여하고자 한다. 대전지역 6개 종합병원 및 전문재활기관의 물리치료실에서 치료를 받는 30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공간 환경 만족도를 7개 구성 부문요소로 분류하였고, 환자의 특성에 따라 비교 분석하기 위해 t-검정과 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층간 이동성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고 입원환자에게 있어서 특히 그러했다. 치료실이 위치한 층은 두 번째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쾌적성은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구성 부문요소이긴 했으나, 신경계환자의 경우 근골격계 환자보다 덜 만족하였다. 20대 환자가 60대에 비해 길 찾기에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실내디자인에 있어서는 50대가 70대에 비해 상대적 만족도가 떨어졌다. 이러한 조사결과와 분석은 향후에 환자들이 더 만족할 수 있도록 재활기관의 공간 환경디자인을 개선해가는 데에 있어서 근거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종합병원 병동부의 공공공간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 복도 및 휴게 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Public Space in Hospital Ward - Focused on the Corridor and Day Space -)

  • 김만영;양내원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6권10호
    • /
    • pp.15-21
    • /
    • 2000
  •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f hospital ward were concentrated on the bed room and there was no study on the day place and corridor space for the inpatient. According to the existing study, 50% inpatients move here and there freely and they want to have a rest in the day place or corridor of the general hospital.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ason why the inpatients prefer to rest in the day place, to survey the inpatients' behavior there and to stress the importance of exterior environment except the bed room in the public space of hospital.

  • PDF

전신 PET/CT 검사에서 공간선량률 측정 (Measurement of the Spatial Dose Rates During PET/CT Studies)

  • 박명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9권4호
    • /
    • pp.257-260
    • /
    • 2006
  • 전신 PET/CT 검사에서 $^{18}F-FDG$의 방사성의약품을 투여한 환자가 방사선원이 되기에 환자로부터 종사자의 피폭선량 예측을 위한 PET 검사실에서 환자 주변의 공간선량률을 측정 분석하였다. 연간 개인피폭선량은 대학병원의 핵의학 분야에 근무하는 종사자가 방사선종양학과와 소규모병원의 진단방사선 분야에 비해 검사 중에 환자로부터 방출되는 공간선량률에 의하여 개인피폭선량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PET/CT 검사에서 $^{18}F-FDG$를 이용하는 경우에 $^{99m}Tc$ 보다 공간선량률이 $4{\sim}6$배 정도로 훨씬 높고, 촬영실 전체에 공간선량률이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방사성의약품 투여 후 안정실이나 PET 검사 중에 촬영실 내에서는 항상 방사선 방어의 기본인 시간은 짧게, 거리는 멀리, 차폐를 고려하여 PET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환자로부터의 공간선량률에 따른 종사자의 개인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한 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 PDF

암 센터 이용 환자의 회복을 위한 움직임 프로그램 탐색 (Search for Movement Program for Recovery of Patient Using Cancer Center)

  • 전상완;이은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353-362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병원 암 센터 이용 환자의 회복을 위한 움직임 프로그램 구성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주제들이 무엇인지를 전문가적 합의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최종 확정된 움직임 프로그램 구성 요소의 중요도를 산출한 결과, 첫째, 움직임 촉진을 위한 환경에 대한 의견으로는 쾌적한 시설, 자연채광, 휴게실 공간, 자연친화적 공간의 시설적 측면과 질병에 대한 교육, 참여프로그램, 건강 피드백, 정보 유인물 등이 제시되었다. 둘째, 움직임 프로그램 구성 목적에 대한 의견으로는 암 예방 및 조기검진 홍보와 교육, 암 경험자의 효과적 치료방법 공유, 정확한 정보 전달의 인지적 측면과 심리적 지원 및 스트레스 해소, 삶의 질 향상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움직임 프로그램 고려사항에 대한 의견으로는 스트레스 해소, 암 환자의 요구도, 교육의 올바른 정보 전달, 삶의 질, 암 환자의 참여도 등이 제시되었다. 넷째, 움직임 프로그램 애로사항으로는 상이한 신체적 특성, 신체적 불편함, 소극적 참여의 환자 측면과 공간 협소 및 부족, 프로그램 전용 공간 부재 등의 공간측면 등이 제시되었다.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 유소영
    • 대한병원협회지
    • /
    • 제34권1호통권293호
    • /
    • pp.77-85
    • /
    • 2005
  • 병원 로비에 들어선 순간 곳곳에 숨겨진 환자를 위한 세심한 배려가 마음으로 느껴진다. 내원하는 환자와 방문객들을 위해 엘리베이터 앞에 도우미를 배치한 것이나 몸 뿐만 아니라 마음까지 황폐해지기 쉬운 환자들이 마음의 안정을 찾길 바라는 마음으로 곳곳에 배치한 그림들과 화분, 성탄시즌을 맞아 꾸며둔 로비의 난간까지...오로지 환자만을 위한 병원직원들의 사려깊은 마음이 따뜻하게 와닿는 공간이다.

  • PDF

호스피스의 환자공간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Patient Space in Hospice)

  • 김정수;김광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3권5호
    • /
    • pp.107-122
    • /
    • 1997
  • According as the aging procese have been high, last stage patient become more important. Therefore, todays hospice ward of hospital is glandized, specified too. However, its study is few performed in domestic and its architectural planning data is few obtain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present the standard of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hospice ward in hospital. As its method, the present conditions, the interview with staffs, space programs of 4 hospice ward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dd to 2 free standing hospice were selected, theirs architectural space programing were studied.

  • PDF

편측 공간무시 환자의 평가: KF-NAP(Kessler Foundation - Neglect Assessment Process)과 지필검사의 비교 (Assessments of Spatial Neglect : Comparison of KF-NAP (Kessler Foundation - Neglect Assessment Process) and Pencil-Paper test)

  • 정은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27-35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편측 공간무시 환자의 평가도구 중 KF-NAP (Kessler Foundation - Neglect Assessment Process)과 지필검사 (직선이분검사, 글자소거검사, 알버트 검사) 사이의 상관관계와 편측 공간무시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평가도구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4년 9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서울 소재의 병원 재활의학과에 입원한 32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성 19명, 여성 13명, 평균연령 61.8세). KF-NAP과 지필평가는 입원 7일 이내에 시행하였으며, 각 평가도구의 결과 값으로 편측 공간무시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편측 공간무시 정도는 KF-NAP 93.8%, 직선이분검사 53.1%, 글자지우기 53.1%, 알버트 검사 37.5%로 편측 공간무시에 대한 민감도가 가장 높은 평가도구는 KF-NAP이었다. KF-NAP은 직선이분검사(r=.430), 글자 지우기(r=.641), 알버트 검사(r=.398)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p<0.05). 결론 : KF-NAP은 환자의 일상생활 동안 편측 공간무시를 평가하는 도구로써 지필검사에 비해 편측 공간무시의 진단에 더 민감할 뿐 아니라 편측 공간무시의 중증도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따라서 편측 공간무시의 평가에 KF-NAP이 유용하게 사용되어져야 한다.

Technegas 스캐닝 후 중력환기에 의한 공간선량율 측정 (The Measurement of Spatial Dose Rate by Gravity Ventilation after Technegas Scanning)

  • 김성빈;원도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67-674
    • /
    • 2019
  • Technegas를 사용한 검사는 단순 확산 누적을 통해 폐 영상을 이미지화하기 때문에 검사를 마친 후에 검사실이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 작업 종사자와 검사를 기다리는 환자는 technegas 흡입으로 인한 내부 피폭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중력환기 전후의 시간경과에 따른 공간선량율 분포를 비교, 분석함에 따라 방사선사, 의료진, 대기 환자의 피폭선량 저감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중력환기 전후 환자의 호흡기 위치에서 거리별, 각도별로 공간선량율을 10분 동안 측정하고 평균값, 표준 편차 및 감소율을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중력 환기 전후 감소율은 최고 95.31%였고 가장 높은 감소율은 1 ~ 3분 사이에서 나타났다. 중력환기를 통해서 방사선 작업종사자, 대기환자, 환자 보호자 및 간호사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중력환기를 통한 피폭선량 감소 결과는 방호 최적화를 이루는 역할을 할 것이며 ICRP 103에서 권고한 의료 피폭 저감화에 부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