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기시스템

검색결과 862건 처리시간 0.036초

굴착중인 장대터널내 최적의 환기시스템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Optimum Ventilation System during Long Tunnel Construction)

  • 오병화;임한욱
    • 화약ㆍ발파
    • /
    • 제24권2호
    • /
    • pp.9-22
    • /
    • 2006
  • 길이가 대단히 짧은 터널을 제외하고는 터널을 시공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인위적인 환기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장대터널의 경우 굴착 진행에 따라 적절한 환기시스템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터널 연장이 4,580m인 능동터널은 본래 송기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계를 했지만,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송기식만으로 환기하는 데에는 한계가 예상되어 별도의 방식 검토를 수행하였다. 굴착중 터널의 소요환기량을 산정하고 이 소요환기량과 선택가능한 여러 가지 경우의 환기조합방식을 사례볕로 구성한 뒤 환기량과 유동성을 해석하고 비교함으로써 경제적으로도 우수한 최적의 환기조합안을 도출하였다. 환기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하여 각 환기시스템에 대한 경제적 효율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도로터널 횡류환기방식의 환기특성 및 시스템 설계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ntilation characteristics and design of transverse ventilation system for road tunnel)

  • 유지오;김효규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305-31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도로터널의 횡류환기 및 반횡류환기 방식의 설계 방안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치해석적인 방법에 의해서 환기특성을 고찰하고 소요환기량과 환기 시스템 용량의 관계를 검토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급 배기 횡류환기방식에서 환기시스템의 급 배기풍량은 이론적으로 소요환기량과 자연환기량의 차가 되나, 해석결과에 의하면 환기시스템 용량은 소요환기량과 자연환기량의 차보다 약 10%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제트팬을 설치하여 종방향 풍속을 증가시키는 경우, 환기시스템의 급배기 풍량은 감소하나, 터널풍속이 증가할 수록 터널 내 농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오염물질에 대한 배기효과가 감소하여, 횡류 환기시스템의 용량 감소효과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급기만 하는 반횡류식에서는 터널입구 풍향이 차량진행방향과 반대인 경우에는 환기시스템의 급기풍량은 소요환기량과 동일하나, 해석결과에서는 약 13.3% 이내의 범위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터널입구 풍속이 음수인 상태에서는 제트팬 댓수를 증가하여 도 환기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형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을 위한 환기시스뎀 전략 (Ventilation System Strategy for a Prospective Korean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 김진;권상기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5-148
    • /
    • 2005
  • 방사성 폐기물의 지층 처분장 건설 및 운영을 위한 개념 선정 단계에서는 폐기물 운반 및 거치뿐 아니라, 처분장의 건설/운영/폐쇄 기간 동안 지하 처분장의 작업 환경 및 위생, 안전, 그리고 처분장내의 수분 제거와 같은 향후 처분장의 환경을 위해 처분장 환기시스템에 대한 고려가 향후 처분장의 환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은 동굴처분 방식의 중-저준위 처분장 및 지하 심부에 위치하게 될 고준위 처분장에 대한 환기시스템 개념설계 기준 및 요구사항에 대한 내용이다.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환기 시스템에서 가장 주된 기본 설계 개념은 처분장 건설과 폐기물저장을 위한 작업활동을 위해 각각 독립적이고 분리된 환기시스템을 적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환기시스템의 설계과정에 대해 기술하고 환기회로 모델링 방법, 자연 환기, 환기 모니터링 시스템과 실시간 환기 시뮬레이션, 화재 시뮬레이션 및 비상 방재 시스템에 관한 사항도 논의하였다

  • PDF

지능형 돈사 환기 제어 시스템 (An Intelligent Ventilation System in an Enclosed Nursery Pig House)

  • 김석훈;이새봄;이건원;임광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429-430
    • /
    • 2014
  • 본 논문은 돈사 내부의 환기부를 연속적으로 작동한 상태에서 환기부의 입기팬 및 배기팬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킴으로서 축사 내부로 유입되는 환기량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 환기 운영 시에 축사 내부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유해가스에 의한 돈사 내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지능형 돈사 환기 제어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이다. 본 시스템에는 온도 측정 데이터를 일정간격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온도 변화의 특성을 추출하여 지능적으로 돈사의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지능형 환기 제어 모델, 사용자의 연령 및 상황을 고려한 가시적이고 직관적인 사용자 위주의 인터페이스 설계가 포함된다.

  • PDF

업무용 주방에서의 에너지소비량과 환기.공조시스템 (Energy Consumption and HVAC System in Commercial Kitchens)

  • 이상렬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2권2호
    • /
    • pp.40-50
    • /
    • 2003
  • 본고에서는, 업무용 주방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실태에 대하여 논하고, 업무용 주방의 환기.공조설비에 관한 연구가 왕성한 유럽과 일본에 있어서의 기준을 비교하여 각각의 특징이나 차이점 등에 대해서 소개한다. 더욱이 유럽에서 채택되고 있는 쾌적성이나 에너지절약을 배려한 환기.공조시스템의 적용예와 유럽에 있어서의 최근의 연구동향을 소개한다. 또한 작업구역의 환기효율이나 공조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환기.공조시스템에 대해서 검토한 사례를 보고한다.

  • PDF

보일러사도 환기시장 간다

  • 전국보일러설비협회
    • 보일러설비
    • /
    • 3호통권158호
    • /
    • pp.144-147
    • /
    • 2007
  • 원자재 가격 상승과 달러화 약세 등의 영향으로 내수시장과 수출시장 모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보일러 제조업체들이 일제히 환기시장으로 눈을 돌리면서 시장 쟁탈전이 뜨거워 지고 있다. 실내공기 오염악화를 이유로 공동주택과 관련 시설 등에 대한 환기시스템 설치를 의무화하는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법'이 지난해 발효되면서 주택 환기시스템 관련 수요는 매년 확대될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환기시장 규모는 2004년 500억원대에서 2005년1000억원 규모로 성장했고 지난해에는 2200억원대를 기록했다. 업계관계자들은 올해 환기시장의 규모를 약 3500억원대로 예상하고 있고 내년에는 5500억원대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시장에 진출한 보일러사들은 일제히 신제품을 발표하고 나섰고 최근에는 경동나비엔과 대성쎌틱이 새롭게 시장에 진입한 상태다. 주요 보일러사들이 출시한 환기시스템의 특장점과 마케팅 방향등에 대해 알아봤다.

  • PDF

무창육성돈사의 환기시스템에 따른 환기효율 평가 (Evaluation of Ventilation Systems in an Enclosed Growing Pig House)

  • 송준익;최홍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35-144
    • /
    • 2002
  • 본 실험은 우리 나라의 양돈농가에서 노동력 절감이라는 이점 때문에 자돈사 및 분만사의 무창돈사는 일반농가에까지 보급되고 있으나, 육성.비육돈사에 있어서 무창돈사는 거의 전무한 실정으로 질병의 근원적인 차단 및 관리를 위하여 지금까지 회피되어 왔던 무창 육성.비육돈사의 활성화를 위하여 환기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고안하여 최적의 환기시스템을 여름철 및 겨울철로 구분하여 건축하였으며, 자체적으로 고안한 환기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겨울철 및 여름철로 구분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창 육성.비육돈사에 있어서 돼지 생활공간(하부) 지점에서의 공기유속은 겨울철 최소환기 수준(1,440 $m^3/h$)으로 하였을 때 0-0.19 m/s 였으며, 여름철 최대환기 수준(24,000 $m^3/h$)에서는 0.07-0.42 m/s로 분포되어 여름철 및 겨울철의 무창돈사내 공기유속으로 보아 환기시스템이 우수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무창 육성.비육사의 환기시스템은 여럼츨 때는 측벽을 통한 환기와 겨울철은 천장을 통한 환기시스템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으며, 한쪽 측벽에 의한 배기시스템이라도 입기구는 양쪽 측벽을 통한 입기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환기시스템에 의한 Sick House 대책

  • Kimura, Hiroshi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2권9호
    • /
    • pp.46-51
    • /
    • 2003
  • "환기"는 생활용품 등으로부터의 오염물질 및 불특정 물질의 농도 저감이 가능하기 때문에 Sick House 대책으로서의 중요한 대책기술이다. 본 고에서는 집합주택을 대상으로 한 중앙공조 환기방식 및 배기 중앙 환기방식의 사례를 보여주고, 시스템의 구성기술과 오염물질의 농도 저감효과에 대해서 기술한다. 또한, 대표적인 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의 건자재로 부터의 발산량은 온습도, 환기량 및 건자재의 표면적 비율 등의 영향인자에 따라 변화하므로, 필요 환기량은 이들의 영향요인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기술한다.

  • PDF

공동주택의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성능평가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e Hybrid Ventila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s)

  • 전주영;김길태;김상희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1호
    • /
    • pp.89-96
    • /
    • 2012
  •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서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CFD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전용 $51m^2$, $84m^2$의 공동주택을 선정하였으며,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은 창틀자연급기와 각실을 덕트로 연결하여 배기하는 시스템(Hybrid 1)과 창틀자연급기와 욕실 거실배기가 혼합된 시스템(Hybrid 2)을 적용하였다. 이때 각 시스템별 배기구의 위치를 변수로 하여 CFD를 수행하였다. $51m^2$, $84m^2$ 모두 Hybrid 2가 Hybrid 1보다 환기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공기연령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Hybrid 1의 경우, 덕트 배기구의 위치가 각 실 입구에 설치하는 것보다 실 안쪽 모서리에 설치하여 기류이동을 많이 유발할 수 있는 유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Hybrid 2의 경우, 욕실 고정압팬에 덕트를 연결하여 거실중심에 배기구를 설치하는 시스템이 환기효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1m^2$의 경우 Hybrid 2가 Hybrid 1보다 20%의 향상된 환기효율을 나타낸 반면, $84m^2$의 경우는 14%의 향상된 환기효율을 나타내 공동주택 규모에 따른 적정한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디퓨저 배치방식에 따른 작업공간내의 환기성능 평가

  • 한화택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29권3호
    • /
    • pp.17-23
    • /
    • 2000
  • 개방형 사무실 건물에서, 총 환기량이 적정할지라도 국부적으로 환기가 부족하거나 또는 과다한 작업공간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것은 환기시스템을 설계할 때 작업공간의 배치와 관련된 정보를 활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모든 작업공간이 충분히 환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급기구나 배기구 그릴의 형태나 배치선정 등과 같은 다 양한 설계변수들이 작업공간의 HVAC 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야 한다. 본 원고는 최근 수행된 작업공간의 환기 성능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