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경 R&D

검색결과 2,483건 처리시간 0.043초

정부 보조금이 중국 환경보호 기업의 이윤 증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R&D 투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Government Subsidy on the Profit Growth of Chinese Environmental Protection Companies: Mediating Effect of R&D Investment)

  • 이나;채희만;장몽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287-29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 보조금과 R&D 투자가 중국 환경보호 기업의 이윤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161개 중국 환경보호 기업을 대상으로 중국 CSMAR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805개의 샘플을 채취한 통계자료를 이용해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정부 보조금은 중국 환경보호 기업의 이윤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부 보조금은 중국 환경보호 기업의 R&D 투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R&D 투자가 중국 환경보호 기업의 이윤 증가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정부 보조금을 통한 R&D 투자는 중국 환경보호 기업의 이윤 증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환경보호 기업에 대한 정부 보조금이 확대되고, 기업이 R&D 투자에 치중함으로써, 중국 환경보호 기업의 이윤 증가를 촉진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환경관련 R&D사업 운영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On Improving Efficiency of Environmental R&D Management System : A Survey Study)

  • 김홍균;임종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3권3호
    • /
    • pp.469-497
    • /
    • 2004
  • 환경 R&D 예산의 효율성 제고 방안의 연구를 위해 전주기방법에 입각하여 환경 R&D 사업의 운영체계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크게 네 가지 부문의 개선 노력이 요구되는 바, 첫째, 기술현황에 관한 기초자료를 축적 관리하는 전담조직의 운영, 둘째, 주기적 기술수요조사를 통한 과업선정체계의 강화, 셋째,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추진된 개발기술의 상용화 자금지원제도에 대한 홍보 알선 업무의 강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전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지원기관, 대상사업 및 재정지원의 확대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그러나 R&D 지원사업의 운영체계에만 국한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R&D 사업의 전반에 관한 포괄적인 추후 연구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 PDF

환경.에너지 과학 R&D 정보 역기능 요인 분석: 디지털 네트워크 정보검색(NIR) 환경 적응사례 (Disfunctional Factors of R&D Information Retrieval Utilization: the Case of Environmental Science Database & Networks)

  • 유사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29
    • /
    • 2002
  • 본 연구는 국내 환경·에너지 공학 분야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다양한 유형의 연구소 현황을 조사하고, 최근에 이루어진 연구결과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정보화 여부와 환경·에너지 R&D 정보 활용여부와 자원공유를 위한 연구기관들간의 협력적 네트워크 활용의 실태를 진단했다. 정보화와 정보 활용을 방해하는 역기능 요인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21세기 핵심 R&D 정보활용과 보다 전문적이고 수준 높은 연구환경을 고무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신규 R&D 기획 프로세스에 관한 주체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y Subject on the New R&D Planning Process)

  • 배준희;박정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3호
    • /
    • pp.243-250
    • /
    • 2019
  • 본 연구는 정부의 R&D 정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수립된 KIGAM R&D 기획 프로세스의 한계점으로 지적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기존 연구 문헌을 통해서 다양한 R&D 기획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았고, 인터뷰를 통해 각 기관별 특성 및 신규 R&D 기획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환경분석, 수요발굴방법, 과제 구성 및 선정방법 세 가지 측면에서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환경분석의 경우 전체적인 Mega Trend 분석을 하면서 기술 시장 별 Trend 분석을 강화해야 하고, 수요발굴방법의 경우 도전적이고 구체적인 목표 설정을 통해 수요를 찾아내야 한다. 또한 과제 구성 및 선정의 경우 융합연구과제, 중소기업지원, 자원분석, 장기과제 선정 등 여러 가지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도출 된 시사점은 향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신규 R&D 기획 프로세스에 사용될 것이다.

환경 R&D 예산관리를 위한 환경기술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Budget Management of the Environmental R&D)

  • 강성구;김영수;정성훈
    • 청정기술
    • /
    • 제11권2호
    • /
    • pp.91-104
    • /
    • 2005
  • 이번 연구는 새로운 과학기술행정체제 출범에 따라 국가 R&D가 종합관리되는 시점에서 환경 R&D 관리 효율화 방안을 모색했다. 예산 투자배분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국내외의 각 기관에서 사용하는 분류체계를 검토하였다. 다양한 기관에서 다양한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환경기술 분류체계가 각각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현 환경기술 분류체계 개선 필요성을 예산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환경 R&D의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하나의 분류체계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새 분류는 현 표준분류를 제외하고 국내외 모든 분류체계가 채택하고 있는 환경관리 분야별(매체별) 분류체계를 채택했으며 원칙적이고 포괄적인 분류가 되도록 하였다. 새 분류체계가 국가표준분류로 정착되면 국가 환경 R&D가 종합관리되어 환경 R&D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럼으로써 연구자 전문가들도 편리하게 환경 R&D 사업 현황을 알 수 있게 되어 중복연구를 피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연구하게 되어 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R&D기획의 범위에 대한 고찰 : 에너지·자원 생산기반기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ope of Government R&D Planning : Focused on the Energy and Resources Production Technology)

  • 박정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5호
    • /
    • pp.579-587
    • /
    • 2012
  • 본 연구는 우수한 R&D성과의 창출을 유인하기 위하여 정부 R&D기획의 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현재 정부 R&D기획은 과제발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연구팀의 구성, 공동연구, 지식유입 전략 등 R&D수행에 대한 개략적인 가이드가 없으며 연구책임자의 재량에 따라 전략이 수립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자원 생산기반 기술분야 특허의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우수한 R&D성과를 유인할 수 있는 R&D수행과 관련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편, 기술수명주기에 대한 개념을 도입하여 R&D수행과 관련한 전략 수립이 기술개발단계별로 차별화 되어야 함을 동시에 보이고자 하였다.

과학기술 환경이 기술이전에 미치는 영향: OECD 34개 국가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Environment on Technology Transfer)

  • 백승희;박영일
    • 기술혁신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1-156
    • /
    • 2014
  • 최근 창출된 R&D 성과의 기술이전을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 R&D 정책의 핵심적인 이슈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기술이전은 우수한 기술의 사업화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역할을 하지만, 국가들 간의 기술이전 실적에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국가 차원에서 기술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과학기술 환경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 환경을 크게 개방적인 환경, 용이한 창업 환경, 지식재산권이 보호되는 환경, 과학이 강조되는 환경으로 구분하여 기술이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OECD 34개 국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IMD로부터 2002년부터 2011년까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든 가설들이 지지되었다. 개방적인 환경과 용이한 창업환경은 기술이전에 대한 관심이나 의지를 제고하여 국가 차원의 기술이전 실적을 향상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지식재산권의 보호는 R&D 성과의 활용 확산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에서부터 과학이 강조되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R&D 성과의 창출뿐만 아니라 기술이전까지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인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기술이전을 촉진하기 위해 대부분 기술적인 역량을 강조한 측면에서 벗어나 제도적 환경의 영향력을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Cluster Analysis of Phytoplankton in Gamak Bay

  • Oh, Hyun-Taik;Yoon, Sang-Pil;Lee, Won-Chan;Jung, Rae-Hong;Hong, Suk-Jin;Lee, Young-Wu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77-279
    • /
    • 2008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