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경 의생활행동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8초

의생활자원 관점에서의 실과(기술ㆍ가정) 환경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rategy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Practical Arts(TechnologyㆍHome economics) Subject in a viewpoint of the Clothing & Textiles resources)

  • 정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1-146
    • /
    • 2004
  • 본 연구는 의생활 영역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의생활자원관점에서 실과(기술ㆍ가정) 교과에서 환경교육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의생활 자원의 소비, 의생활자원의 환경문제 및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과 규제와 기업의 섬유환경기술, 환경교육에 관한 자료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의생활 자원 관점에서의 환경교육 체제는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한 정부, 가정, 기업, 환경단체의 상호연계 체제로 이루어져야하며, 아울러 의생활 자원 관점에서 환경교육은 실과(기술ㆍ가정) 교과에서 담당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로, 실과(기술ㆍ가정) 의생활 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할 환경교육내용을 '의생활 환경자원의 인식(섬유소비량 생산과 환경문제)', '의류의 마련과 계획 및 구매(계획, 구매)', '의류의 관리(피복재료의 이해, 인체와 환경, 세탁과 환경오염, 정리와 보관)', '의류의 재활용 및 폐기(기부, 리디자인, 리사이클, 폐기)'의 4개영역의 12개 하위요소를 추출하여, 실과(기술ㆍ가정) 의생활 영역 환경교육내용의 분석 준거로 삼았다. 셋째, 의생활 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할 환경교육내용을 준거로 현행 실과(기술ㆍ가정)교과를 분석한 결과, 의생활과 관련한 환경 교육은 중학교 과정에서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생활과 관련한 환경교육 내용면에서는 초ㆍ중등 모두 재활용 부분에 집중되어 있으며 나머지 영역에서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과(기술ㆍ가정) 교과에서의 의생활영역의 환경교육 내용을 분석한 후 실과(기술ㆍ가정) 각 의생활 단원에서 다루어지지 않았거나 미흡한 내용의 환경교육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행동은 물론 과잉 행동에 직, 간접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식생활 환경은 아동의 영양 관리 및 아동의 성장, 발달 및 행동과 학습 행동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식생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여야 할 것이다.재 사용비율은 경기도, 충남에서는 거의 50% 수준에 육박한다. 골재 석산은 경기도, 경북, 경남, 충북에서 거의 비슷한 비율로 분포하며 오히려 전북에서의 골재 석산의 수는 적은 편에 속한다. 강원도가 골재석산의 수가 가장 적은 편이다.지렁이와 토양 미생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토양 중 반감기도 15일 이내로 토양 중에 노출 시 매우 신속하게 분해 소실되어 그 위해성은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며, 작물 재배지에서 밭고랑의 잡초 방제를 위해 비산방지 기구를 이용하여 살포할 경우에는 재배 작물에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0.65% 첨가했을 때 WG, SGR, FE, PER이 가장 높았으나, 이전의 실험(Takeuchi, 1980)과 동일한 수준인 n-3와 n-6를 각각 0.5%씩 첨가한 실험구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렇게 볼 때, 뱀장어 치어의 필수지방산은 LNA (n-3), LA (n-6)이고, 그 적정수준은 각각 0.35-0.5%, 0.5-0.65%임을 보여준다.George W, Bush)가 새로운 지도자로 취임하여 얼마 되지 않은 2001년 9월 11일 사상 초유로 본토에서 알 카에다 테러리스트 조직에 의해 공격받게 되었다. 뉴욕의 세계무역센터 빌딩 2개가 완전히 붕괴되고, 펜타곤에 민간 여객기가 충돌하여 많은 사람이 살상 당하고, 전체적으로 세계 80여 개국으로부터의 6천여 명이 살상되었다. 전 세계와

  • PDF

대학생의 소비가치가 환경의식 소비자태도와 환경 의생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Consumption Value on Consumer Attitudes Toward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lothing Environmental Behavior)

  • 박은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5
    • /
    • 2016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consumption value on consumer attitudes toward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lothing environmental behavio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36 college students living in DaeguCity and Kyoungbuk province.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Our findings are as follows. Consumption value of college students had factors as differentiated, consumption needs, utility, economies ostentation, others awareness, and belonging. Consumer attitudes towards environmental awareness were found as environmental importance, environmental product purchase, environmental product interest, and environmental action. Clothing environmental behavior were found as up cycle, buying eco-friendly clothing, active participation, saver purchase, and eco-friendly clothing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differentiated, others awareness, and belonging had significant effect of environmental product purchase and consumption needs, utility, and belonging had significant effect of environmental action. Differentiated, and others awareness had significant effect of up cycle, buying eco-friendly clothing, active participation, and eco-friendly clothing management. Gender of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sumption value, consumer attitudes toward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lothing environmental behavior.

  • PDF

대학생들의 세탁행동 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Laundry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 이혜숙;이정규;김성교;김명자;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47-161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세탁행동, 세탁인지도 및 환경보전을 위한 의생활 행동 실태를 파악하고,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에 따른 세 측면의 차이를 조사하여 주부가 아닌 성인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인 세탁관련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분석을 위한 설문지는 2003년 11월에 충북에 위치한 한국교원대학교 기숙사생들에게 직접 배포하여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세탁인지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세탁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여러 자원의 낭비와 인체 및 자연환경을 오염시키는 세탁행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들의 환경보전을 위한 의생활 행동은 낮은 수준이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에 따른 차이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세탁 관련 학습경험이 있는 학생이 학습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세탁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세탁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세탁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대학생들의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인 세탁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단순 지식 전달이 아닌 실제 생활에서 환용이 가능한 세탁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제7차 중학교 '기술.가정' 8학년 의생활 단원의 환경교육 내용에 관한 가정과교사의 인식과 수업실행도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the Rate of class practice of Home Economics teachers on the contents relevant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 of 'Clothing Life'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8 Grade in the 7th Curriculum)

  • 배현영;이종순;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1-43
    • /
    • 2010
  • 본 연구는 중학교 의생활 단원을 가르치는 교사들의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8학년 '기술 가정' 의생활 단원의 환경교육관련 내용에 관한 인식과 수업실행도 조사를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환경보전실천을 높일 수 있는 수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중학교 의생활 단원을 가르쳐본 경험이 있는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임의표집방법으로 2007년 12월~2008년 1월에 걸쳐 우편을 통해 260부의 설문지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과교사들은 우리나라의 환경문제가 심각하여 그로인해 피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환경단체에 가입하는 등의 실천의지와 환경보전 실천을 위한 의생활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과 지도 경력이 높을수록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중학교 '기술 가정' 의생활 단원에 대하여 가정과교사들은 의복의 기능과 옷차림, 간단한 의복 만들기 단원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모든 단원은 환경교육과 관련성이나 수업실행도, 환경보전실천도 모두 높다고 인식하였다. 가정과교사들이 연령과 경력이 높을수록 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이 더 높고 환경관련 수업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교사는 환경문제에 관심이 많은 만큼 의생활영역에 대해서 학생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실천을 높일 수 있도록 수업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제7차 중학교 '기술.가정' 의생활 단원의 환경교육관련 내용에 관한 학생 인식과 수업실행인식도 조사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the Class Practice Rate of Environmental Education-Relevant Contents in the Unit of 'Clothing Life' of the 7th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of Middle School)

  • 이종순;배현영;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1-185
    • /
    • 2009
  • 본 연구는 중학교 의생활 단원을 이수한 학생들의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 가정' 의생활 단원의 환경교육관련 내용에 관한 인식과 수업실행인식도 조사를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환경보전실천도를 높일 수 있는 수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중학교 의생활 단원을 이수한 전국 13개 중 고등학교의 중2, 중3, 고1 학생을 대상으로 임의 표집하여 2007년 12월$\sim$2008년 1월에 걸쳐 우편을 통해 550부의 설문지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우리나라와 현 거주지의 환경문제가 심각하여 그로인해 피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환경단체에 가입하는 등의 실천의지와 환경보전 실천을 위한 의생활 행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기술 가정' 의생활 단원에 대하여 '의복마련과 관리' 단원의 환경오염이란 단어가 제시된 일부 내용을 제외하고는 환경교육과 관련성이 없거나, 적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생활 단원의 환경교육 관련 수업실행인식도에서도 '의복계획과 구입' 단원을 제외하고 환경교육 관련 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보전 실천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서는 중학교 2학년생, 그 중에서도 여학생이 환경관심도나 수업실행인식도에서 좀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정과 교사들은 의생활 단원의 교육내용이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학생들이 잘 인식하고 학생들의 환경보전 실천을 위한 의생활 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

주부들의 환경보전을 위한 의생활행동 (A Study on the Housewives' Clothing Behavior for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 김용숙;신상옥
    • 복식
    • /
    • 제39권
    • /
    • pp.271-281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dimensions of the housewives' cloth-ing behavior for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 identify the effectiv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 for the establishment of clothing behavior guidelines for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reference analysis and empirical study. To develop theoreti-cal framework study. To develop theoreti-cal framework of dimension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behavior, references concerned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reference analy-sis showed that the dimension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bahavior were resource and energy saving, sold waste reduction, resource reuse or recycle, and green product purchase. The dimensions of housewives' clothing behavior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were identified by use of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enpirical study showed that the dimensions of clothing behavior for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wre clothing resource reuse or recycle, clothing management resource saving, clothing consumption resource saving, green product purchase, and clothing management resource saving was the highest and that of resource reuse or recycle was the lowes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aking environmental education or not, residing place, clothing seperate-collectiong at residing place were effective variables on clothing behavior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 PDF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중학교 가정교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Plan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for the Response to Climate Change)

  • 문인숙;심현섭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5-133
    • /
    • 2021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의생활 실천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단계로 진행하였다. 기후변화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현상과 원인, 영향(환경적·경제적·사회적), 대응(완화·적응)'를 기후변화의 교육 내용 체계로 선정하고, 이를 가정 교과 의생활 단원의 분석 준거로 활용해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① 교과서 6종을 자료유형(읽기 자료, 그림 자료, 활동 자료) 및 의복사용주기(생산, 구매, 사용, 폐기)에 따라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 추출한 의생활 영역에서의 기후변화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수업 자료 및 매체를 활용하여 총 12차시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가정 교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안은 기후변화의 현상과 원인, 영향, 대응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학생 스스로 깨닫고, 이를 의생활 행동 실천으로 이어 가정과 사회에 긍정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소비자의 환경의식과 의생활 행동과의 관련성 (Environmental Perception of Consumers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 박화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79-8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nvironmental perception of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taking socioo-economic variables into account. An instrument, based on previous research was administered to 213 housewives in Taegu area. In analyzing the data, factor analysis, t-test, ANOVA,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finding of this indicated that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of clothing consumption were significant in purchasing, managing, and disposal of clothing. Among socio-economics variables, income and educational level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variance of enviromental perception behavior of clothing consumption. The important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are provided.

  • PDF

중.고등학생들의 환경의식과 환경보전을 위한 의생활행동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Clothing Behavior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ir Home.)

  • 이강자;김용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clothing behavior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ir home, and to present the basic educational material for the reasonable clothing behavior which could help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is study was done by self-administered questionaires to the 439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done from March to April in 1997. Frequencies, percentag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chi$$^2$-test, t-test, and F-test were done for group differences,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follo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Environmental consciousness was higher 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at good graded students, and at the good news receivers who watch or listen to the mass media frequently. And also environmental consciousness was higher at the students who separate and dispose waste practically and at those who realize the need of environmental education. 2. Those who purchase clothes reasonably in their home, practising the clothing behavior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were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students sho watch or listen news frequently through the mass media. And those who manage clothes well in their home were the middle school students, metropolitan area residents, good news receivers, and residents in apartments. Those who separate and dispose waste well, those who have experienced much environmental education, those who know better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marks which are attatched to the low pollution products and those who realize the need of environmental education seriously, were almost the same students who buy and manage clothes reasonably in their home, practising the clothing behavior for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ose who feel much more environmental education seriously were those who reuse clothes practically in their home. 3. As the students had the high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level, the better they practised the clothing behavior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ir home. The major sources of the students'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environment were from the mass medea, and then from school teachers.

  • PDF

청소년들의 겨울철 교실 내·외 환경에서의 자각적 내한성과 착의행동 분석 (Analysis of Teenagers' Self-identified Cold Tolerance and Wearing Behavior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During Winter)

  • 홍민현;손수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26-140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self-identified cold tolerance and wearing behavior of teenagers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during winter, considering recent climate changes. A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four parts-general information, thermal and comfort sensation inside and outside classroom, self-identified cold tolerance, and wearing behavior to collect data from 322 students. Over several years, changes were noted in respondents' wearing behavior during winter outings, with the biggest being the purchase of a "long padded jacket" for warmth while outside. Most respondents showed similar wearing behavior, such as no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clothes worn in a classroom maintained at 20℃ (girls: 8.0±3.1 layer, boys: 6.5±2.1 layer) and outside (girls: 8.8±3.4 layer, boys: 7.1±3.0 layer), despite feeling differently about the thermal sensation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This difference may due to a teenager's lack of knowledge about temperature and their tendency to follow clothing trends. Female students were more sensitive to the cold and wore more garments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Gender-related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when educating teenagers about safe and healthy clot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