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 안정성

Search Result 4,26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Improvement of standardization plan for the stable of dam reservoir field (댐 이수안전도 표준화 방안 개선)

  • Sung, Ji Young;Kang, Boo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8-298
    • /
    • 2022
  • 최근 우리나라는 과거에 비해 기후변화 등의 사유로 가뭄과 홍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90년대에 들어서는 대규모의 홍수와 극심한 가뭄이 거의 매년 되풀이 되고 있어 지역간 물수급·공급의 불균형이 심각하여 국민이 활용가능한 수자원확보량과 공급가능량이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기후패턴 변화 및 지속적인 용수수요 증가로 인해 가뭄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으나, 신규 수자원개발은 지역갈등 유발 등 사회적 여건에 따라 불가하므로, 기존댐을 평가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는 것은 기존 수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그 가치를 재조명하고 감춰져 있는 수자원을 다시 찾아내어 활용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허나, 댐 용수공급 안정성을 재평가하기 위한 그간 수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용수공급 안정성(이수안전도) 기준은 댐 건설 당시 시대적 여건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 표준화된 기준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민의 물이용 보장 등 수요자 입장을 고려한 댐별 표준화된 이수안전도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판단되며, 본 과업을 통해 댐마다 달리 적용된 이수 안전도를 개선하여 형평성을 고려한 국민 물이용 보장 등을 구현할 수 있는 댐 이수안전도 표준화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표준화된 기준을 통하여 신규댐 설계, 기존댐 평가, 갈수 대책용량 결정 등과 관련하여 용수공급 능력 평가 시 혼란을 사전에 예방하고,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 시스템의 용수공급 안정성(이수안전도)을 평가하고 표준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지표를 개발하였고 이를 댐설계 기준 등 국가계획에 반영하여 지침 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Hydrofoil Arrangement and Longitudinal Moment Characteristics for Navigation Safety of High Speed Craft (고속선 운항 안정성을 위한 수중익 배치 및 종모멘트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Park, Hwa-Pyeong;Kim, Sang-Hyun;Lim, Geun-N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0 no.4
    • /
    • pp.443-450
    • /
    • 2014
  • In this study, we have discussed about the effect of hydrofoil arrangement and longitudinal moment characteristic on longitudinal motion stability of fully-submerged hydrofoil by the experiment of tandem hydrofoil model. First of all, tandem hydrofoil model that has canard wing arrangement has been made and characteristics of lift force and drag force by performing the lift force and drag force measuring experiment has also been estimated. Besides, tandem hydrofoil model's wing arrangement which has the initial stability and self stability of longitudinal motion has also been determined. In longitudinal stability experiment of tandem hydrofoil model, the motion characteristic of pitch and heave and the longitudinal stability of foil borne condition by variation of self stability of longitudinal moment and longitudinal distance are estimated. The result from the experiment and it's important conclusion can be described as below; Increase the self stability for longitudinal moment, the higher self stability for pitch motions in a constant pitch angles. By increasing the self stability for longitudinal moment, the range of fluctuation of pitch motion and heave motion for pitch angle also will change relatively small and longitudinal stability is excellent. Lastly, when the lift force of hydrofoil is remain constants, we can conclude that securing the enough self stability for longitudinal moment is essential for stable foil borne condition of tandem hydrofoil.

Determination of Weight of environmental/ecological assessment Factor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in Kore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GIS (인공신경망 및 GIS를 이용한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환경.생태적항목 가중치 분석)

  • Lee, Moung-Jin;Jeon, Seong-Woo;Won, Joong-S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237-240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2006년 전국을 대상으로 구축된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 생태적항목에 대한 각 항목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기본 분석 도구로 지리정보시스템(GIS)가 사용되었다.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 생태적항목은 다양성(생태자연도), 자연성(임상도, 녹지자연도, 생태자연도), 풍부도(생태계변화관찰 지역도), 희귀성(생태자연도), 허약성(수치지형도, 토지피복도), 군집구조의 안정성(임상도)등이 활용되어 구축되었다. 본 연구는 기 구축되어 사용되고 있는 국토환경성평가 지도의 환경 생태적항목을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고, 인공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여 각 평가항목간의 상대적 가중치를 구하였다. 인공신경망의 훈련 지역은 환경 생태적항목중 환경성이 높은 1등급 지역 및 환경성이 낮은 5등급 지역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50번의 가중치를 산정하였을 경우 허약성이 다른 항목들에 비해 1.58배 정도 높은 상대적 가중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가중치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환경 생태적 항목의 취약성도를 작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PDF

Stability Assessment of FKP System by NGII using Long-term Analysis of NTRIP Correction Signal (NTRIP 보정신호 분석을 통한 국토지리정보원 FKP NRTK 시스템 안정성 평가)

  • Kim, Min-Ho;Bae, Tae-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1 no.4
    • /
    • pp.321-329
    • /
    • 2013
  • Despite the advantage of unlimited access,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for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FKP that blocks the spread of the system for various applications. Therefore, we performed a long-term analysis from continuous real-time positioning, and investigated the error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siz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FKP shows significant changes in the positioning accuracy at different times of day, where the accuracy during daytime is worse than that of nighttime. In addition, the size and deviation of FKP correction may change with the ionospheric conditions, and high correlation between ambiguity resolution rate and the deviation of correction was observed. The receivers continuously request the correction information in order to cope with sudden variability of ionosphere. On the other hand, the correction information was not received up to an hour in case of stable ionospheric condit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outliers of FKP are clustered in their position with some biases. Since several meters of errors can be occurred for kinematic positioning with FK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ppropriate preparation for real-time applications.

플라스틱 부표의 해상 환경에 따른 특성 연구

  • Han, Ju-Seop;Yeo, Ji-Min;Yu, Yong-Su;Kim, J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222-223
    • /
    • 2017
  • 해외 선진국에서 부식에 강한 플라스틱 등부표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도입을 위하여 플라스틱 부표에 대한 장 단점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소재 부표류의 실제 해상 설치를 통하여 등부표의 안정성 분석, 표체 상부의 색도 변화 및 조패류 부착 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안정성 분석을 위하여 2축 디지털 경사계를 표체 상부 철탑에 설치하였으며, 플라스틱(JET-7000, PB-26) 등부표와 철재 표준형(LL-26(M)) 등부표에 대하여 일일 최대 경사각을 확인하여 각 등부표의 최대 경사각을 분석하였다. 플라스틱 부표의 해상 환경에 따른 특성 분석을 위하여 자외선에 의한 색도 변화, 해양생물의 부착정도 등을 관찰하였다.

  • PDF

Electrospinning for Smart Acid-Sensitive Fiber Webs (지능형 산-감응 섬유웹을 위한 전기 방사)

  • 소정현;이선화;정재윤;윤기종;조재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259-260
    • /
    • 2003
  • Smart 재료는 외부의 환경에 따라 재료 스스로 주어진 자극을 판단하여 응답할 수 있는 재료를 말한다. 기존의 재료들이 갖는 수동적 응답 기능을 넘어서 생물체처럼 환경에 반응한다는 점에서 뛰어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변색성 염료도 이러한 smart 재료 중의 하나로 광, 온도, 화학물질, 전기장 등의 외부 환경 조건의 변화에 따라 색상이 바뀌게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변색성 염료는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섬유나 필름에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항상 내구성이나 안정성 등에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중략)

  • PDF

Introduction of Small-Scale Pumped-Storage Generation Technology to solve the Problem of Renewable Energy Volatility (재생에너지 변동성 문제 해결을 위한 소규모 양수발전 활용 기술 소개)

  • Tae Gyu Hwang;Jong Seok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78-78
    • /
    • 2023
  • 기후변화 위기는 유사 이래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으로 범정부적 글로벌 문제로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범국가 차원 혹은 세계적 기업들에 의해 발표 혹은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위기와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대표적인 대응 방안 중 하나가 바로 재생에너지의 확대·보급 노력이다. 그러나 재생에너지는 날씨와 계절 등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는 에너지원으로써 간헐성, 변동성을 가지므로, 시간대별 발전량 예측과 전력공급 안정성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재생에너지 발전은 석탄화력 발전과 달리 전력의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위한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이하 ESS)가 있어야 한다. ESS는 전력공급 안정성 향상과 전력 수급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 설치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특히, 배터리 기반 ESS의 경우 높은 구축 비용과 한정적인 충. 방전수명으로 인하여 대용량 ESS로써의 역할 수행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ESS로 양수발전댐을 활용할 경우 장주기, 장수명, 대용량 에너지 저장에 매우 합리적인 수단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양수발전 댐 구축에는 토목공사로 인한 환경 훼손이라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본 고에서는 지역 분산형 소규모 양수발전(Pumped Storage Hydropower, 이하 PSH)댐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을 통해 지역 전력공급과 전력 수급을 조절하면서 변동성 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해당 기술은 지역별 특성에 맞춰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대규모 토목공사로 의한 환경적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소규모 PSH는 지역의 저수지 및 수자원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함으로써 변동성 큰 재생에너지의 유연화 대응과 동시에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 본 고에서는 재생에너지의 확대·보급에 따른 문제점과 대표적 ESS 기술들을 분석·소개한다. 지역분산형 소규모 PSH 기술개발 연구기획 내용 소개를 통하여 전력 생산 및 공급의 탈중앙화를 달성하고, 지역별 변동성 재생에너지의 안정적 활용과 지역 전력공급 특성 및 전력 수급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On the Computational Efficiency and Stableness of Burg's Algorithm for Maximum Entropy Spectral Analysis (최대엔트로피 스펙트럼 분석에 관한 Burg알고리즘의 계산효율과 안정성에 대하여)

  • Kim, Hee Jo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17 no.4
    • /
    • pp.237-243
    • /
    • 1984
  • Burg's algorithm for maximum entropy spectral analysis is studied with respect to its computational efficiency and stableness. The Burg's method is not only less efficient than the Yule-Walker's method but also sometimes unstable due to its mathematical irrationality. This irrationality is demonstrated by analyzing an artificial time series, and more stable and effective method is proposed. An efficient procedure using Goertzel's algorithm to compute power spectral densities is also proposed.

  • PDF

A Study on Preparation of Colloidal Gas Aphrons and Stability (Colloidal Gas Aphrons의 제조와 안정성에 대한 연구)

  • Yoon, Mi-Hae;Cho, Dae-Chu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9 no.6
    • /
    • pp.670-677
    • /
    • 2007
  • The stability of CGAs(colloidal gas aphrons) prepared from non-ionic and ionic surfactants was investigated. Those surfactants were sodium dodecyl sulfate(SDS), Triton X-100, Tween 80 and Quillaja Saponin. The stability of CGAs prepared from single surfactants or mixed surfactants(two components) using a CGA generate. was investigated as functions of temperature, surfactant concentration and stirring time. Saponin among the single surfactants has shown the longest duration time(143 min) and then, Triton X-100, SDS, and Tween 80 were followed by at room temperature. In case of CGAs heated up to $70^{\circ}C$, SDS endured for 116 min but Saponin lasted for only 105 mit which was a considerable reduction of the duration time of CGAs at room temperature. For mixed surfactant pairs, stability of any one pairs stood between the two. That meant no synergic effect for surfactant blending. At the higher temperature, Saponin+Triton X-100 was disclosed to be the lowest, 53 min meanwhile Saponin+SDS was the highest at ambient temperature. The CGAs, initially about 140 ${\mu}m$ in diameter, began to grow right after the agitation to be about 190 ${\mu}m$ owing to coalescence of the bubbles and then became to collapse. When heated, CGAs including Saponin tended to be smaller while the others to be larger. In summary, we found that the stability of CGAs or the duration time was greater for single surfactants and at room temperature rather than for mixed surfactants that caused substantial intermolecular interactions in the CGA structure and at the higher temperature.

A Technology of Plant Cultiv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USN (USN 기반의 식물 생장환경 관리시스템 기술)

  • Rhee, In-Baum;Ryu, Daehyun;Shin, Seung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194-197
    • /
    • 2010
  • 본 연구는 USN 기반의 그린하우스 내에서 식물을 재배함에 있어, 식물 생장의 효과적 요인을 추출 및 계량화함으로써 재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연구 수행을 위하여 그린하우스를 설치하고 내부에 다양한 센서를 장착한 후, 원격지에서 그린하우스 내부의 환경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분석된 결과를 웹사이트와 모바일 상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과제 수행을 통하여 거둔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린하우스 내의 환경정보를 원격지에서 안정적으로 수신하고, 이를 정보 유형별로 구분, 데이터베이스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였다. 둘째, USN 기반의 그린하우스를 실제 구성함으로써, 부품 간의 결합 및 관련 기술의 적용에 대한 적합성, 안정성 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그린하우스의 환경정보를 웹사이트 및 모바일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그린하우스 내의 식물 재배 환경을 관리함에 있어 장소의 제한을 해소함을 물론 USN 기술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